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덤프버전 :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 대회
[ 펼치기 · 접기 ]



폐지 대회
[ 펼치기 · 접기 ]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정식 명칭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Afro-Asian Club Championship)
창설1986년
폐지2000년
참가 자격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 구단,
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
최종 우승 구단파일:모로코 국기.svg 라자 카사블랑카(1998)
최다 우승 구단파일:이집트 국기.svg 자말렉 SC(2회)

1. 개요
2. 연혁
2.1. 역대 우승 구단
2.2. 우승 횟수
2.2.1. 구단
2.2.2. 국가



1. 개요[편집]


아프리카의 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과 아시아의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 구단이 맞붙는 슈퍼컵 형식의 대회였다. 유럽의 유러피언컵 우승 구단과 남미의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구단이 맞붙는 인터컨티넨탈컵을 모델로 창설했다.

1986년부터 1999년까지 대회를 개최하지 않은 1990, 1991, 1999 시즌을 제외하고 총 11회 개최했다. 1986, 1987 시즌은 단판전으로 승부를 가렸으며 1988 시즌부터는 홈 앤 어웨이 1, 2차전을 통해 승부를 가렸다. 대회는 아시아 축구 연맹이 2006 FIFA 월드컵 개최국 선정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신 독일을 지지하자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이에 대해 반발하며 2000년 7월 30일 공식 폐지했다.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이 폐지한 후 그 역할은 대륙별 최상위 클럽 대항전 우승 구단이 참가하는 FIFA 클럽 월드컵이 대신한다.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의 초대 우승은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 구단 대우 로얄즈다. 대우 로얄즈는 FAR 라바트를 상대로 2 : 0 승리했는데, 이때의 FAR 라바트는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에 모로코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했던 선수 7명이 주전으로 참가했다. 그리고 당시 모로코 국가대표팀은 조별 리그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


2. 연혁[편집]



2.1. 역대 우승 구단[편집]


연도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결과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경기장
1986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우 로얄즈2-0파일:모로코 국기.svg FAR 라바트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스타디움
1987파일:일본 국기.svg 후루카와 전기0 -2파일:이집트 국기.svg 자말렉 SC파일:이집트 국기.svg 카이로, 카이로 국제 경기장
1988파일:일본 국기.svg 요미우리 FC1-3
0-1
파일:이집트 국기.svg 알 아흘리 SC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니시가오카 스타디움
파일:이집트 국기.svg 카이로, 카이로 국제 경기장
1989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사드0-2
1-3
파일:알제리 국기.svg ES 세티프파일:알제리 국기.svg 콩스탕틴, 617 경기장
파일:카타르 국기.svg 도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1992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1-2
2-2
파일:튀니지 국기.svg 클뢰브 아프리캥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스, 엘 멘자 올림픽 경기장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1993파일:이란 국기.svg 파스 테헤란0-0
0-2
파일:모로코 국기.svg 위다드 카사블랑카파일:이란 국기.svg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파일:모로코 국기.svg 카사블랑카, 모함메드 5세 경기장
1994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농민은행1-2
1-0[A]
파일:이집트 국기.svg 자말렉 SC파일:이집트 국기.svg 엘 마할라 엘 쿠브라, 엘 마할라 경기장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카시콘 은행 경기장
1995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농민은행1-1
0-3
파일:튀니지 국기.svg 에스페랑스파일:태국 국기.svg 수판부리, 미상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스, 엘 멘자 올림픽 경기장
1996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천안 일화 천마0-0
5-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올랜도 파이러츠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요하네스버그, FNB 경기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서울 올림픽 주 경기장
1997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러스2-1
0-1[A]
파일:이집트 국기.svg 자말렉 SC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야드
파일:이집트 국기.svg 카이로, 카이로 국제 경기장
1998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러스2-2
0-1
파일:모로코 국기.svg 라자 카사블랑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야드
파일:모로코 국기.svg 카사블랑카, 모함메드 5세 경기장


2.2. 우승 횟수[편집]



2.2.1. 구단[편집]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파일:이집트 국기.svg 자말렉 SC211987, 19971994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농민은행111994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부산 아이파크101986-
파일:이집트 국기.svg 알 아흘리 SC101988-
파일:알제리 국기.svg ES 세티프101989-
파일:튀니지 국기.svg 클뢰브 아프리캥101992-
파일:모로코 국기.svg 위다드 카사블랑카101993-
파일:튀니지 국기.svg 에스페랑스10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성남 FC101996-
파일:모로코 국기.svg 라자 카사블랑카10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러스02-1997, 1998
파일:모로코 국기.svg FAR 라바트01-1986
파일:일본 국기.svg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01-1987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베르디01-1988
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사드01-1989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01-1992
파일:이란 국기.svg 파스 테헤란01-1993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올랜도 파이러츠01-1996


2.2.2. 국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18:26:46에 나무위키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원정 다득점 승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