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산JC

덤프버전 :

안산 분기점
安山 分岐點
Ansan Junction
목포 방면
팔곡JC
← 5.2 km
파일:Expressway_kor_15.svg 서울 방면
서서울TG
1.4 km →
인천 방면
안산IC
← 1.9 km
파일:Expressway_kor_50.svg강릉 방면
둔대JC
4.8 km →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 장하동
관리기관
서해안선한국도로공사 수도권본부 화성지사
영동선한국도로공사 수도권본부 군포지사
개통
1995년 12월 28일

1. 개요
2.1. 서울 방향(상행선)
2.2. 목포 방향(하행선)
3.1. 강릉 방향(상행선)
3.2. 인천 방향(하행선)
4. 역사
5. 둘러보기 틀


1. 개요[편집]


서해안고속도로 32번. 영동고속도로 6[1]번.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장하동에 걸쳐 있는 서해안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분기점. 명칭은 소재지인 안산시에서 유래했다.

일부 구조가 제거된 클로버스택형 구조로, 서해안선 목포방향-영동선 강릉방향간 연결램프가 빠져있다. 대신 둔대 분기점, 팔곡 분기점을 이용해서 통행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분기점 문서 참조.

서울방향으로는 폐쇄식 마지막 분기점이며 무안방향으로는 첫번째 폐쇄식 분기점이다. 서울방향은 이후로는 개방식 구간이다.

2011년 한국에서 서해안고속도로 목포방면에 최초로 노면 색깔 유도선을 적용했다. 1~3차선은 목포, 4~5차선은 강릉, 6~7차선은 인천방향이라 3차선과 4차선 사이에서 사고가 빈발하던 곳이었는데[2], 이곳에 노면 색깔 유도선을 깔아 사고를 크게 줄임으로써 전국적으로 확대될 수 있었다.

2. 서해안고속도로[편집]



2.1. 서울 방향(상행선)[편집]




2.2. 목포 방향(하행선)[편집]




3. 영동고속도로[편집]



3.1. 강릉 방향(상행선)[편집]




3.2. 인천 방향(하행선)[편집]




4. 역사[편집]


  • 1991년 11월 29일 신갈안산고속도로 개통으로 현 안산 분기점 부근에 수인산업도로와 직접 이어지는 인터체인지가 개통되었다.1:23 당시에는 이곳이 안산IC였다.
  • 1994년 7월 6일 서해안고속도로 서창 분기점~안산 분기점 구간이 개통하여 신갈안산고속도로와 직결되었다. 이에 앞서 구 안산IC는 수인산업도로 하행→신갈 방면 진입 및 인천 방면→수인산업도로 하행 진출이 폐지되었다.
  • 1995년 12월 28일 서울안산고속도로 일직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 개통과 함께 서울안산고속도로와 신갈안산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의 분기점으로 개통하였다.
  • 1996년 12월 17일 서해안고속도로 포승임시 나들목 ~ 안산 분기점 구간 개통과 함께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되었으며 구 안산IC는 완전히 폐지되고 현재의 안산IC가 신규 개업하였다.#
  • 2001년 8월 25일 안산 분기점을 동서로 지나는 고속도로는 영동고속도로로 편입되었고, 남북으로 지나는 고속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에 편입되었다.

5. 둘러보기 틀[편집]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1:59:08에 나무위키 안산JC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변경전 5번[2] 네비게이션에서 강릉 방면 진입 시 오른쪽 방향 이후 왼쪽 방향으로 안내하여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