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 무타와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통 칼리파
제2대
정통 칼리파
제3대
정통 칼리파
제4대
정통 칼리파
아부 바크르우마르우스만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제5대
정통 칼리파
1
제6대
우마이야 왕조
제7대
우마이야 왕조
제8대
우마이야 왕조
하산 이븐 알리무아위야 1세야지드 1세무아위야 2세
제9대
우마이야 왕조
제10대
우마이야 왕조
제11대
우마이야 왕조
제12대
우마이야 왕조
마르완 1세아브드 알 말리크왈리드 1세술라이만
제13대
우마이야 왕조
제14대
우마이야 왕조
제15대
우마이야 왕조
제16대
우마이야 왕조
우마르 2세야지드 2세히샴왈리드 2세
제17대
우마이야 왕조
제18대
우마이야 왕조
제19대
우마이야 왕조
제20대
아바스 왕조
야지드 3세이브라힘 이븐 알 왈리드마르완 2세아부 알 아바스
제21대
아바스 왕조
제22대
아바스 왕조
제23대
아바스 왕조
제24대
아바스 왕조
알 만수르알 마흐디알 하디하룬 알 라시드
제25대
아바스 왕조
제26대
아바스 왕조
제27대
아바스 왕조
제28대
아바스 왕조
알 아민알 마문알 무타심알 와시크
제29대
아바스 왕조
제30대
아바스 왕조
제31대
아바스 왕조
제32대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알 문타시르알 무스타인알 무타즈
제33대
아바스 왕조
제34대
아바스 왕조
제35대
아바스 왕조
제36대
아바스 왕조
알 무흐타디알 무타미드알 무타디드알 무크타피
제37대
아바스 왕조
제38대
아바스 왕조
제39대
아바스 왕조
제40대
아바스 왕조
알 무크타디르알 카히르알 라디알 무타키
제41대
아바스 왕조
제42대
아바스 왕조
제43대
아바스 왕조
제44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탁피알 무티알 타이알 카디르
제45대
아바스 왕조
제46대
아바스 왕조
제47대
아바스 왕조
제48대
아바스 왕조
알 카임알 무크타디알 무스타지르알 무스타르시드
제49대
아바스 왕조
제50대
아바스 왕조
제51대
아바스 왕조
제52대
아바스 왕조
알 라시드알 묵타피알 무스탄지드알 무스타디
제53대
아바스 왕조
제54대
아바스 왕조
제55대
아바스 왕조
제56대
아바스 왕조
알 나시르알 자히르알 무스탄시르 1세알 무스타심
제57대
아바스 왕조
제58대
아바스 왕조
제59대
아바스 왕조
제60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시르 2세알 하킴 1세알 무스탁피 1세알 와시크 1세
제61대
아바스 왕조
제62대
아바스 왕조
제63대
아바스 왕조
제64대
아바스 왕조
알 하킴 2세알 무타디드 1세알 무타와킬 1세알 무스타심
제63대2
아바스 왕조
제65대
아바스 왕조
제64대2
아바스 왕조
제63대3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 1세알 와시크 2세알 무스타심알 무타와킬 1세
제66대
아바스 왕조
제67대
아바스 왕조
제68대
아바스 왕조
제69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타인알 무타디드 2세알 무스탁피 2세알 카임
제70대
아바스 왕조
제71대
아바스 왕조
제72대
아바스 왕조
제73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지드알 무타와킬 2세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
제72대2
아바스 왕조
제73대2
아바스 왕조
제74대
오스만 왕조
제75대
오스만 왕조
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셀림 1세쉴레이만 1세
제76대
오스만 왕조
제77대
오스만 왕조
제78대
오스만 왕조
제79대
오스만 왕조
셀림 2세무라트 3세메흐메트 3세아흐메트 1세
제80대
오스만 왕조
제81대
오스만 왕조
제80대2
오스만 왕조
제82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1세오스만 2세무스타파 1세무라트 4세
제83대
오스만 왕조
제84대
오스만 왕조
제85대
오스만 왕조
제86대
오스만 왕조
이브라힘 1세메흐메트 4세쉴레이만 2세아흐메트 2세
제87대
오스만 왕조
제88대
오스만 왕조
제89대
오스만 왕조
제90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2세아흐메트 3세마흐무트 1세오스만 3세
제91대
오스만 왕조
제92대
오스만 왕조
제93대
오스만 왕조
제94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3세압뒬하미트 1세셀림 3세무스타파 4세
제95대
오스만 왕조
제96대
오스만 왕조
제97대
오스만 왕조
제98대
오스만 왕조
마흐무트 2세압뒬메지트 1세압뒬아지즈무라트 5세
제99대
오스만 왕조
제100대
오스만 왕조
제101대
오스만 왕조
제102대
오스만 왕조
압뒬하미트 2세메흐메트 5세메흐메트 6세압뒬메지트 2세
^^ 1 :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이지만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알 무타와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Abbasid_Caliphate_Caliphal_Banner.svg
아바스 왕조 이집트 통치자
[ 펼치기 · 접기 ]

-
(불명)

-
(불명)

제54대
알 마문

-
(불명)
||
||




아바스 왕조 제10대 칼리파
알 무타와킬
جعفر بن محمد المعتصم بالله
파일:Al-Mutawakkil.png
이름아부 알 파딜 자파르 이븐 무함마드 알 무타심 비라흐
جعفر بن محمد المعتصم بالله
출생822년 3월 31일
아바스 왕조 바그다드
사망861년 12월 11일 (향년 39세)
아바스 왕조 사마라
재위 기간아바스 칼리파
847년 8월 10일 ~ 861년 12월 10일 (14년)
전임자알 와시크
후임자알 문타시르
별명알 무타와킬 알아 알라(المتوكل على الله: 하나님을 의지하는 자)
부모아버지 : 알 무타심
어머니 : 슈자
종교이슬람 수니파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아바스 왕조 10대 칼리파. 아바스 왕조 황금기의 마지막 칼리파이다.


2. 생애[편집]


822년 2월 또는 3월 바그다드에서 아바스 왕조 8대 칼리파 알 무타심과 호라즘 출신의 노예 첩인 슈자 사이에서 출생했다. 그는 847년 8월 이복형 알 와시크가 사망할 때까지 별다른 역할을 맡지 않았기 때문에, 초기 생애는 불분명하다. 847년 8월 10일 알 와시크가 수종에 시달리다 후계자를 지명하기 전에 사망했다. 이에 관료들은 논의 끝에 알 와시크의 어린 아들들 대신 그를 칼리파로 세우기로 결의했다.

그는 칼리파가 된 직후 형을 치료했던 무함마드 이븐 아브드 알 말리크를 긴급 체포해 칼리파를 잘못 치료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혐의로 전 재산을 압수했다. 무함마드는 가혹한 고문에 시달리다 847년 11월 2일에 사망했다. 또한 칼리파가 되기 전에 자신을 모욕했던 알 자이야트를 체포해 가혹한 고문을 가하여 살해했다. 849년 바그다드에서 열린 연회에서 저명한 튀르크 장군 이타크 알 카자리가 술에 취한 나머지 자신한테 고꾸라졌다는 이유로 체포해 감옥에 집어넣었다. 이타크의 집에서 금화 디나르 백만 닢이 발견되자 그는 분노해 이타크를 태양빛과 열이 가득한 사막 한 가운데에서 철창에 가둔 채 방치하도록 했다. 결국 이타크는 갈증에 시달리다가 그해 12월 21일에 사망했다. 얼마 후 마흐무드 이븐 알 파라즈 알 나이사부리가 자신이 예언자라고 주장하며 봉기했다가 바그다드에서 체포되었고, 감옥에 수감된 뒤 잦은 구타에 시달리다 850년 6월 18일에 사망했다.

851~852년, 아르메니아인들이 반란을 일으켜 아바스 총독을 살해했다. 이에 부그하 알 카비르 장군을 보내 이들을 진압하게 했다. 부그하는 반란군을 토벌한 뒤 853년 트빌리시를 공격해 황폐화시켰으며, 반란군 수괴 이샤크 이븐 이스마일을 생포했다. 그러나 855년 5월 22일, 동로마 제국 함대가 환관 다미아누스의 지휘하에 나일강 삼각주의 동쪽 끝자락에 있는 다미에타로 파견해 사라센 함선들을 모조리 불태우고 무기고를 파괴하며 많은 포로를 잡아들였다. 856년 킬리키아 아나자르부스에 동로마군이 들이닥쳐 무슬림들을 살해했다. 아랍 문헌에 따르면, 약 300척의 함대로 이뤄진 제국 함대가 에게 해와 시리아 해안 일대를 3차례 이상 공격했다고 한다. 그는 이 일련의 사태에 분노했고 힘스에 살던 기독교인들을 동로마 제국과 내통하고 있다는 혐의를 씌워 추방했다.

856년, 부자흐(Bujah)에서 금광 개발에 동원되었던 현지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켜 세금 납부를 중단하고 상이집트 일대를 혼란에 빠뜨렸다. 그는 알쿰미를 파견해 이들을 진압하게 했다. 7척의 보급선과 함께 나일 강을 따라 거슬러 진군해 험난한 지형에 숨은 반란군을 끈질기게 추적하여 모조리 토벌하고 광산을 탈환했다.

파일:1520263944170361300.jpg
이라크 사마라의 마스지드 유적과 말위야 미나레트
파일:사마라.유적.png
대 모스크 일대. 시내 남부에도 발굴 조사가 한창이다.
파일:1003px-Abbasid_Samarra_Map.svg.png파일:사마라.궁전.png
사마라 시내 북쪽의 궁전 유적

이렇듯 동로마 제국의 침략과 잦은 반란에 시달리는 와중에도, 그는 수도 사마라 일대에 많은 건축물을 남겼다. 그중 대표작은 848 ~ 852년에 걸쳐 완성된 대 모스크 (마스지드)로, 무려 17개의 회랑을 갖춘 당대 최대 규모의 사원이었다. 또한 나선형의 말위야 (ملوية)[1] 미나렛은 52m의 높이를 자랑하며 당대 서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그외에도 사마라에 20여개의 궁전을 세웠고 도시를 북쪽으로 확장시켰다. 9세기 중반 무렵 사마라는 바그다드, 콘스탄티노폴리스, 장안 등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사마라의 유적지구 넓이만 1만 5천 헥타르가 넘는데 그 대부분이 그의 시대에 지어졌다. 그의 치세동안 사마라 일대의 건축에 들어간 예산은 2억 디르함에 달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859년부터 사마라 시내에서 북쪽으로 15km 가량 떨어진 옛 아시리아 ~ 페르시아 도시 유적 인근에 알 자파리야[2]라는 신도시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먼저 세워진 아부 둘라프 모스크 (جامع أبو دلف)는 사마라 대모스크에 버금가는 규모를 자랑한다. 두 사원의 넓이는 각각 5만 제곱미터에 이른다. 또한 둘다 높은 나선형의 미나렛이 특징인데 둘라프의 미나렛은 33m 로 말위야의 축소판이다. 자파리야의 운하 건설은 유대계 기술자인 신드 이븐 알리가 맡았다. 860년경 조로아스터교에서 신성히 여기는 천년이 넘은 측백나무를 베어 자신의 궁전 기둥으로 쓰이게 하였다. 이에 조로아스터교 신자들은 분노했고, 얼마 후 해당 목재가 도착하기 전에 그가 사망하면서 신의 징벌을 받았다는 소문이 돌았다.

한편, 그는 선대 칼리파들이 시아파에게 관용을 베풀었던 것과는 달리 12 이맘파의 10번째 이맘인 알리 알 하디를 사마라로 소환하여 가택 연금했다. 이는 메디나 총독 압둘라 이븐 무함마드가 시아파들이 그를 칼리파로 내세워 반란을 꾀한다고 밀고한 데서 비롯되었다. 다만 시아파들이 대대적인 봉기를 일으킬 것을 우려하여 죽이지는 않았다. 또한 시아파의 상징이었던 후세인 이븐 알리의 모스크를 파괴해, 시아파들이 그곳을 순례하는 걸 막았다. 또한 알 무타심에 의해 투옥되었던 한발리파의 시조 아흐마드 빈 한발을 석방하고 무타잘리 학파에 대한 지원을 축소했고 알 마문 치세 말기부터 도입되었던 미흐나(종교 재판)를 폐지했다.

850년, 그는 기독교인와 유대인들에게 '꿀색' 모자와 벨트를 착용해야 하며, 재산의 10분의 1을 몰수하고 궁정에서 더 이상 일할 수 없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가 얼마나 광범위하게 시행되었는지는 파악하기 어렵다. 학자들은 대체로 박해의 증거가 없다고 여기지만 이집트 태생의 영국의 이슬람 학자 밧 예올(Bat Yeʼor)은 알 무타와킬의 치세 동안 비무슬림은 지즈야를 3배나 지불해야 했으며, 교회는 수시로 약탈당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반란을 진압하고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을 이끌기 위해 튀르크 장성들과 노예 병사들을 계속 의지했다. 그러나 말년에 튀르크 장성들의 권세가 갈수록 강해지는 걸 경계하여 트집을 잡아 처형했고, 튀르크인들은 차츰 그에게 반감을 품었다. 그는 849/850년에 장남 알 문타시르를 후계자로 지명했지만, 차남 알 무타즈를 점차 총애했다. 알 무타즈는 아바스 왕조의 기존 엘리트들의 지지를 받은 것으로 보이며, 알 문타사르는 튀르크 장성들과 노예 근위대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861년 가을, 그는 튀르크 장군 와시프의 영지를 몰수하고 알 무타즈를 지지하는 알 파르트 이븐 카칸에게 넘기라고 명령했다. 이에 튀르크 장성들은 곧 대대적인 숙청을 벌어질 징조라고 여기고 그를 암살하려는 음모를 꾸몄고, 아버지로부터 숱한 모욕을 당하고 심지어 죽이겠다는 협박까지 받은 알 문타시르 역시 가담했다. 얼마 후 와시프와 다른 튀르크 장성들이 12월 12일에 체포되어 처형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이를 전해들은 공모자들은 거사를 개시하기로 했다. 알 타바리에 따르면, 알 무타즈의 지지자인 알 파르트와 우바이드 알라는 튀르크 여성으로부터 음모를 경고받았지만 무시했다고 한다.

861년 12월 10일 밤, 튀르크 병사들은 그와 알 파르트가 식사 중이던 방에 침입했다. 알 파르트는 칼리파를 지키려다가 살해되었고, 그 역시 곧바로 살해되었다. 공식적으로는 칼리파가 술을 마시다가 질식사했다고 발표되었다. 다음날 알 문타시르가 칼리파로 등극하고 동생들이 칼리파 계승권을 포기하도록 강요했다. 그러나 알 문타시르는 862년 6월 7일에 급사했고, 아바스 왕조는 대혼란에 휩싸였다.


3. 기타[편집]


어쌔신 크리드: 미라지에서 등장. 고대 결사단에게 조종당하는 꼭두각시이다. 감추어진 자들에게 자신을 증명하려던 바심 이븐 이샤크가 왕궁에 잠입하여 조각의 환상을 보았을 때 바심을 죽이려 들었으나, 그 때 바심을 구하려던 네할에게 사망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0:34:37에 나무위키 알 무타와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랍어로 뱀의 똬리 혹은 뒤틀린 이란 뜻이다[2] 무타와킬의 본명은 자파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