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렉산더 볼카노프스키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13대4대5대
조제 알도
(7차 방어)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0년 11월 20일~2015년 12월 12일)
코너 맥그리거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2015년 12월 12일~2016년 11월 26일)
조제 알도(2)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6년 11월 26일~2017년 6월 3일)
맥스 할로웨이
(3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2017년 6월 3일~2019년 12월 14일)
알렉산더 볼카노프스키
(5차 방어)
파일:호주 국기.svg
(2019년 12월 14일~)
1 코너 맥그리거는 UFC 사측에서 한번에 두 체급의 타이틀을 방어할 수 없다는 입장 때문에 페더급 타이틀을 박탈당했다.




알렉산더 볼카노프스키
Alexander Volkanovski
출생1988년 9월 29일 (35세)
뉴사우스웨일스 울런공
국적
파일:호주 국기.svg

거주지뉴사우스웨일스 울런공
신체[1]167cm[2] / 66kg[3] / 181cm[4][5]
종합격투기
전적
29전 26승 3패
13KO[6], 3SUB[7], 10판정[8]
2KO[9], 1판정[10]
링네임The Great[11]
등장곡Men at Work-Down Under
UFC 랭킹페더급 챔피언, P4P 3위
주요 타이틀 Cage Conquest 초대 웰터급 챔피언
Roshambo MMA 초대 웰터급 챔피언
Roshambo MMA 초대 라이트급 챔피언
AFC 초대 페더급 챔피언
PXC 초대 페더급 챔피언
Wollongong Wars 초대 라이트급 챔피언
UFC 5대 페더급 챔피언
기타 Roshambo MMA 라이트급 타이틀 방어 1회
AFC 페더급 타이틀 방어 1회
UFC 페더급 타이틀 방어 5회 (현재)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전적
3. 커리어
4. 파이팅 스타일
5. 여담



1. 개요[편집]


호주 국적의 現 UFC 페더급 종합격투기 선수. 현 UFC 페더급 챔피언이자 현 P4P 랭킹 3위에 랭크되어있다.


2. 전적[편집]


알렉산더 볼카노프스키의 총 전적
[ 펼치기 · 접기 ]

순서경기일대회명상대경기결과비고
12012. 05. 19.Revolution Promotions - Revolution at
the Roxy
파일:호주 국기.svg

게르하르트 보이트
3R 만장일치 판정승프로 데뷔전
22013. 02. 23.Southern Fight Promotions - Cage
Conquest 2
파일:호주 국기.svg

리건 윌슨
1R 2:49 TKO승
32013. 04. 06.Roshambo MMA 1 - In the Cage
파일:호주 국기.svg

안톤 자필
4R 2:19 TKO승
42013. 05. 10.AFC 5 - Australian Fighting
Championship 5
파일:호주 국기.svg

코리 넬슨
3R 0:13 TKO패
52013. 12. 14.AFC 7 - Australian Fighting Championship
파일:필리핀 국기.svg

루크 카투빅
3R 4:39 TKO승
62014. 02. 01.Roshambo MMA 2 - In the Cage
파일:호주 국기.svg

그렉 애조리
1R 길로틴 초크승
72014. 05. 17.AFC 9 - Australian Fighting
Championship 9
파일:호주 국기.svg

로돌포 마르케스
1R 3:41 KO
82014. 07. 26.Roshambo MMA 3 - In the Cage
파일:호주 국기.svg

제이 브랜니
1R 4:58 리어 네이키드 초크승
92014. 10. 24.PXC - Pacific Xtreme Combat 45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카일 레이즈
3R 만장일치 판정승
102014. 11. 01.WW - Wollongong Wars 2
파일:호주 국기.svg

데이비드 버트
2R 1:52 TKO승
112015. 06. 14.AFC 13 - Australian Fighting
Championship 1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제임스 비숍
1R 1:39 TKO승
122015. 12. 04.PXC - Pacific Xtreme Combat 50
파일:일본 국기.svg

야치 유스케
4R 3:43 트라이앵글 초크승
132016. 03. 19.AFC 15 - Wilkinson vs. Abdallah
파일:호주 국기.svg

제이미 멀라키
1R 3:23 KO승
142016. 07. 08.WW - Wollongong Wars 4
파일:호주 국기.svg

제이 브래드니
1R TKO승
152016. 11. 26.UFC Fight Night 101 - Whittaker vs.
Brunson
파일:일본 국기.svg

카스야 유스케
2R 2:06 TKO승UFC 데뷔전
162017. 06. 10.UFC Fight Night 110 - Hunt vs. Lewis
파일:일본 국기.svg

히로타 미즈토
3R 만장일치 판정승
172017. 11. 18.UFC Fight Night 121 - Werdum vs. Tybura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셰인 영
3R 만장일치 판정승
182018. 02. 10.UFC 221 - Romero vs. Rockhold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레미 케네디
2R 4:57 TKO승
192018. 07. 14.UFC Fight Night 133 - Dos Santos vs.
lvanov
파일:미국 국기.svg

대런 엘킨스
3R 만장일치 판정승
202018. 12. 29.UFC 232 - Jones vs. Gustafsson 2
파일:미국 국기.svg

채드 멘데스
2R 4:14 TKO승
212019. 05. 11.UFC 237 - Namajunas vs. Andrade조제 알도3R 만장일치 판정승
222019. 12. 14.UFC 245 - Usman VS. Covington맥스 할로웨이5R 만장일치 판정승UFC 페더급 타이틀전
232020. 07. 11.UFC 251 - Usman vs. Masvidal맥스 할로웨이5R 스플릿 판정승1차 방어전
242021. 09. 25.UFC 266 - Volkanovski vs. Ortega브라이언 오르테가5R 만장일치 판정승2차 방어전, UFC 첫 메인 이벤트
252022. 04. 09.UFC 273 - Volkanovski vs. Korean Zombie정찬성4R 0:45 TKO승3차 방어전
262022. 07. 02.UFC 276 - Adesanya vs. Cannonier맥스 할로웨이5R 만장일치 판정승4차 방어전
272023. 02. 11.UFC 284 - Makhachev vs. Volkanovski이슬람 마카체프5R 만장일치 판정패UFC 라이트급 타이틀전
282023. 07. 08.UFC 290 - Volkanovski vs. Rodriguez야이르 로드리게스3R 4:19 TKO승5차 방어전
292023. 10. 21.UFC 294 - Makhachev vs. Volkanovski 2이슬람 마카체프1R 3:06 KO패UFC 라이트급 타이틀전
302024. 02. 17.UFC 298 - Volkanovski vs. Topuria일리아 토푸리아6차 방어전




3. 커리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알렉산더 볼카노프스키/커리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파이팅 스타일[편집]


종합격투기의 모든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실력을 보유한 웰라운드 파이터다. 커리어 초기에는 12살에 입문했던 그레코로만형을 베이스로한 가드를 굳히고 케이지로 압박해 레슬링을 활용하는 전형적인 복슬러[13]였지만, 점차 타격 능력을 발전시키고 킥옵션까지 장착하면서 완성형 레슬라이커[14]가 되었다.

페더급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그야말로 The Great. 다른 선수와 차원이 다른 타격 능력과 수싸움을 자랑한다. 맥스 할로웨이를 타격에서 압도하고, 그래플링은 현 라이트급 최강의 그래플러인 이슬람 마카체프의 레슬링을 방어해낼 정도. 현재의 기량은 사이즈를 제외하면 MMA 웰라운더의 최종형태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페더급에서도 짧은 편에 속하는 리치와 키를 제외한다면 종합적인 신체능력 또한 매우 우수하다. UFC 역대 최고의 볼륨 스트라이커 중 한 명인 맥스 할로웨이를 상대로 5라운드 동안 거친 타격전을 벌이고도 남을 정도로 체력이 우수하며, 풋워크와 핸드스피드가 빨라서 야이르 로드리게스를 제외하면 스피드에서도 밀린 적 없다. 완력 또한 웬만한 페더급은 클린치에서 압도할 수 있고, 라이트급의 다게스탄 레슬러인 이슬람 마카체프와도 대등한 경쟁이 가능할 정도다.

단신임에도 불구하고 타격거리를 상당히 길게 잡는 편이다. 풋워크를 전후좌우로 활용이 가능하고 잽, 롱가드같은 부지런한 앞손 활용으로 거리조절하며 셋업과 페이크를 부지런하게 주준다. 상대가 들어오면 사우스포를 상대로 체크훅, 오서독스를 상대로 원투나 오버핸드로 카운터친다. 하이 가드 이외에도 패리의 활용도 우수한 편이다. 먼저 들어가는 상황에서도 레벨체인지 셋업을 주면서 들어가 유효타를 얻어내고 빠지거나 클린치를 섞는다.

빠른 펀치와 풋워크만 견제할 수 없는 것이, 스텝과 함께 들어오는 앞발 레그킥은 위력은 상대적으로 약할지언정 펀치와 연계하여 쓸 수 있기 때문에 타격 거리가 짧은 볼카노프스키의 중요한 옵션이다. 능동적인 타격전을 벌일 때 앞발 레그킥-원투는 자주 볼 수 있는 셋업이다. 타격의 가짓수도 상당한 편이다.

볼카노프스키의 스타일을 설명함에 있어서 빼 놓을 수 없는 부분은 그래플링 능력이다. 원래 어렸을 때 레슬링을 했었고, 주짓수 역시 블랙벨트[15]에, 그래플링에 필수적인 완력과 체력도 최상위권인 만큼 볼카노프스키의 그래플링 능력은 상당한 수준을 자랑한다.

그래플링 오펜스적인 부분에서는 클린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볼카노프스키는 강한 완력과 체력을 바탕으로 하는 강력한 클린치 게임을 보여주며, 타격을 퍼붓는 상대방에게 적절한 클린치를 시도하여 붙잡고 케이지에 가둬서 컨트롤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볼카노프스키의 클린치 게임은 상대방과의 타격 템포를 조절하고 볼카노프스키가 타격 주도권을 가지게 하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작용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안다리를 활용해서 상대를 테이크다운 시키는 모습은 거의 매 경기마다 볼 수 있는 볼카노프스키가 즐겨 사용하는 테이크다운 패턴이다. 그리고 자유형 스타일의 태클도 적절히 사용한다. 그라운드 포지셔닝과 컨트롤 능력 역시 뛰어난 편으로, 여기서 비롯되는 파운딩 능력은 볼카가 가진 큰 장점 중 하나이다. 야이르 로드리게스를 태클에 이은 그라운드 포지션 점유 후 파운딩으로 마무리했다. 페더급 최고의 주짓떼로인 브라이언 오르테가도 후반부 체력이 빠진 상태에서는 볼카에게 그라운드에서 컨트롤당하며 수 많은 파운딩을 허용했으며, 한 체급 위의 뛰어난 그래플러인 마카체프 역시 체력에서 밀린 5라운드 막바지에는 하위에 깔린 상황에서 이스케이프를 시도하지 못하고 어떻게든 시간을 끌며 파운딩을 방어하며 버티는 것에만 집중했다.

디펜스적인 부분에서는 오펜스보다도 더 뛰어난 모습을 보인다. 호주 주짓수계의 자랑이자 ADCC 2회 은메달리스트인 주짓수 코치 크레이그 존스와 훈련하면서 볼카노프스키의 그래플링 방어 능력은 굉장한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오르테가의 서브미션을 몇차례나 방어하는데 성공했는데, 이 과정에서 어떻게든 버티는 엄청난 정신력도 보여줬지만, 동시에 기술적으로 대응하며 틈을 만들어 빠져나가는 서브미션 방어 능력도 보여 주었다. 마카체프와의 경기에서도 1라운드와 4라운드에 백을 잡힌 상황에서 초크를 계속 방어했으며, 4라운드에는 오히려 뒤에 있는 마카체프를 주먹으로 치며 도발하는 어디서도 보기 힘든 기가 막힌 장면을 보여 주었다. 현 라이트급 최강의 레슬러인 마카체프를 상대로 여러번의 테이크다운을 방어하는데 성공했으며, 넘어간 이후에도 그라운드에서의 컨트롤을 방어하며 일어나는 모습 역시 여러번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가장 큰 장점은 다름 아닌 파이트 IQ. 최상급으로 평가받는 존 존스와 비견될 정도의 격투 지능을 선보인다. 상대의 수비적인 반응에 대응해 자신의 타격 셋업을 경기 중에 수정하는 것은 물론, 상대의 공격에 즉각적인 대응법을 내놓는 능력 또한 발군이다. 실제로 로드리게스와의 경기에서는 로드리게스의 킥이 3라운드부터 살아나자 아예 킥이 날아오는 타이밍에 한 발짝 더 파고들어 카운터를 날리는 대응법을 선택했고, 그대로 적중하여 승기를 잡았다.[16] 경기 후반부에 마카체프의 태클은 막아낸 것 또한 볼카노프스키의 뛰어난 파이트 IQ를 엿볼 수 있는 예시.[17] 뛰어난 체력 덕분에 이런 고속 사고 또한 경기 내내 가능하다.

대쪽같은 성격처럼 경기에서도 사전에 세운 전략을 무척 충실히 수행하는 경향을 보이며, 벤텀급의 페트르 얀이 하는 것과 같이 임기응변성이 강한 변칙적인 기술들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자신이 이길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도 코너의 지시가 있기 전까지 사전 전략에 집중하는 타입이다. 실제로 정찬성과의 경기에서 더 일찍 피니시를 노릴 수 있었음에도 더 확실할 때까지 기다리라는 코너의 지시를 철저하게 수행했다.

TKO로 패배한 적이 있고, 할로웨이와의 2차전에서 2번이나 다운되는 모습을 보여 준 적이 있기에 맷집이 좋은 편은 아니라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TKO로 패배한 경기는 웰터급 경기였고, 할로웨이와의 2차전 때는 경기 당일 새벽에 USADA가 불시 검문을 오는 바람에 수면제를 먹고 다시 잠들어서 경기 당시 잠이 덜 깬 것 같은 컨디션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애초에 타격 디펜스가 수준급이라서 매우 큰 공격은 허용하지 않는 편이고 회복력과 정신력이 워낙 좋기 때문에 아직까지 맷집이 발목을 잡은 적은 없다.

그러나 마카체프와의 2차전에서 마카체프의 헤드 킥에 맞고 1라운드 만에 KO로 패배하고 말아 우려가 현실이 되었다. 그러나 한 체급 위의 챔피언이 날린 헤드 킥에 맞고 다운되지 않는 게 더 이상한 거라는 의견도 있다. 여하튼 볼카노프스키의 맷집이 나쁜 건 아니지만 할로웨이나 디아즈 형제 같은 강철 턱은 아니라는 게 중론이다.

약점이 많지 않은 볼카노프스키지만 작은 키 때문인지 상대들이 킥을 준비해 오는데, 킥 허용이 잦고 킥 허용으로 인해 불리했던 적이 있기 때문에 킥이 약점으로 새롭게 언급되고 있다. 야이르 로드리게스에게도 킥을 허용했을 때 잠시 당황했었고, 맥스 할로웨이와의 2차전 1라운드에 킥을 맞고 다운도 당했었다. 결정적으로 마카체프에게 헤드 킥 KO패를 당한 뒤로는 킥이 약점이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사실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면, 볼카노프스키는 사이드 스텝과 머리 움직임이 많기 때문에 옆으로 오는 공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는데 체급 내에서 키가 작은 편이기 때문에 상대 선수 입장에서는 헤드 킥을 날리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한 것이다.

또한 사우스포를 상대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마카체프와 1차전 당시에도 타격 전에서 볼카노프스키가 주도할 것이라는 예상과 다르게, 크게 우위를 점하지 못했었는데 기본적으로 반대 스탠스의 선수들이 경기를 가질 때 서로의 몸이 열린 채로 대치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서로의 거리가 멀어지기에 마카체프와의 거리 조절에 어려움을 겪었고, 평소 오소독스 스탠스의 파이터를 상대로 다양한 옵션을 보여 준 것과 달리 전진할 때 쉬프팅 이후 레프트 훅 등의 한두 가지의 단조로운 옵션만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것을 읽어낸 마카체프의 카운터에 여러 번 후속 동작이 끊기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8]. 그리고 2차전에서는 마카체프에게 계속 각을 내어주며 미들 킥을 동반한 압박에 전혀 대응을 하지 못했고, 계속된 미들 킥에 스탠스가 점차 낮아지고 결국 헤드킥에 관자놀이를 제대로 가격당하여 KO패를 당했다. 마카체프를 상대로 타격 전에서 본인의 장점인 앞손 활용과 스탭을 전혀 살리지 못 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볼카노프스키가 마카체프 이전에 마지막으로 사우스포를 상대했던 마지막 경기가 무려 2016년에 있었던 UFC 데뷔전이었다. 7년 동안 사우스포인 상대를 딸랑 두 번 만나봤다는 점에서 아무리 볼카노프스키라 하더라도 왼손잡이에 대한 경험은 다소 일천하다는 의미가 될 수 있으며, 마카체프를 상대로 그러한 면을 여실히 드러냈다는 점에서 사우스포에 대한 보완도 분명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5. 여담[편집]















[1] UFC 공식 프로필[2] AFC 경기에서는 165cm로 표기되었다.#[3] 경기 당일 체중은 75~76kg(166.5파운드)이고, 평소 체중은 80~82kg이라고 한다.[4] UFC 프로필 기준. AFC에서는 175cm 혹은 164cm로 표기되었다.#[5] UFC 프로필은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 181cm인지는 의문이 조금 있는 편. 할로웨이와 마주 보고 있는 상황에서 리치가 175cm인 할로웨이보다 팔 길이가 확연히 짧아 보였다.[6] 2KO, 11TKO[7] 길로틴 초크(1), 리어 네이키드 초크(1), 트라이앵글 초크(1)[8] 만장일치(9), 스플릿(1)[9] 1KO, 1TKO[10] 만장일치(1)[11] 알렉산더 대왕에서 따왔다.[12] AFC 웰터급 토너먼트에서 패배[13] 복싱과 레슬링을 겸비한 선수[14] 레슬링과 스트라이킹(타격)을 둘 다 겸비한 선수[15] 자신의 체육관 헤드코치인 조 로페즈에게 수여받았다.[16] 일반적으로 발차기는 차는 도중 거리가 가까워지면 다리 길이 때문에 타격이 제대로 타점에 도달하지 않는다[17] 마카체프가 자신의 몸이 정면으로 열리는 스트레이트 타이밍을 노리고 태클을 들어온다는 것을 파악하고, 그 타이밍에 역으로 카운터를 넣어 슬립성 다운까지 이끌어냈다.[18] 2라운드에 엘보우를 크게 맞고 플래시다운을 당하기도 했다[19] 호주의 세미프로 럭비 리그 클럽인 워릴라 고릴라즈에서 뛰었다.[20] 이런 점은 정찬성과 비슷하다. 정찬성도 평소에는 한국에 있는 자신의 체육관에서 운동하지만 경기가 잡히면 미국 애리조나 피닉스에 있는 파이트 레디로 가서 트레이닝캠프를 진행한다.[21] 오르테가가 과거에 약물에 적발된 사실을 최근에 알게 되었다며 사기꾼을 보니 화가 난다며 화난 척 연기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