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나라

덤프버전 :

1. 개요
2. 梁
2.1. 춘추시대 소국 중 하나인 양(梁)
2.2. 전국시대 위나라(魏)의 별칭
2.3. 한나라의 봉국(封國)
2.4. 육조시대의 육조 중 하나인 소량
2.5. 육조 양나라의 후신인 괴뢰국 후량(後梁)
2.6. 수말당초의 할거왕조 후소양(後蕭梁)
2.7. 수말당초의 할거왕조 양양(梁梁)
2.8. 수말당초의 할거왕조 심양(沈梁)
2.9. 5대10국시대의 왕조 후량(後梁)
3. 涼
3.1. 전량(前涼)
3.2. 후량(後涼)
3.3. 남량(南涼)
3.4. 북량(北涼)
3.5. 서량(西涼)
3.6. 수말당초 이량(李涼)


1. 개요[편집]


중국사에 등장하는 여러 나라들의 이름. 특징으로는 대부분 왕조가 단명하였다.


2. 梁[편집]


[ 펼치기 · 접기 ]

황하 문명
하(夏)
상(商)
주(周)서주(西周)
동주(東周)춘추전국시대춘추시대
전국시대
진(秦)
장초(張楚)
후초(後楚)
서초(西楚) | 십팔제후왕
한(漢)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삼국시대
위(魏) | 촉(蜀) | 오(吳)
진(晉)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시대
남북조시대송(宋)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한(侯漢)
후량(後梁)
서위(西魏)동위(東魏)
진(陳)북주(北周)북제(北齊)
수(隋)
당(唐)
무주(武周) | 호연(胡燕)
오대후량(後梁)십국탕구트요(遼)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
송(宋)북송(北宋)서하(西夏)
남송(南宋)서요(西遼)금(金)
원(元)
북원(北元)
명(明)
순(順) | 서(西) | 남명(南明) | 후금(後金)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
청나라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국민정부(國民政府)
우한정부(武漢政府)
일치시기
소비에트 지구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만주국
(滿州國)
중화민국(中華民國)
대만(臺灣)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2.1. 춘추시대 소국 중 하나인 양(梁)[편집]


춘추시대 제후
[ 펼치기 · 접기 ]


||<|3><tablewidth=100%><tablebgcolor=#c00><bgcolor=#000> 진(秦) ||<-5><bgcolor=#000080> 진(晉) ||<bgcolor=#6a5acd> 연(燕) ||
||<|2><bgcolor=#da3f3a> 주(周) ||<|2><bgcolor=#f59700><color=#373a3c> 정(鄭) ||<bgcolor=#008080> 위(衛) ||<bgcolor=#db7093> 조(曹) ||<bgcolor=#9acd32><color=#373a3c> 노(魯) ||<|2><bgcolor=#bf2f7b> 제(齊) ||
||<bgcolor=#75a64a> 채(蔡) ||<bgcolor=#808080,#7f7f7f> 진(陳) ||<bgcolor=#0d98ba> 송(宋) ||
||<-5><|2><bgcolor=#008000> 초(楚) ||<-2><bgcolor=#ff0000> 오(吳) ||
||<-2><bgcolor=#8B0000> 월(越) ||
||<-7><#8B0000> 관련 틀: 춘추오패

삼황오제 · · ·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남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지금의 섬서성 한성현 남쪽에 있던 소국으로 진나라(晉)와는 인접하고 있었으며 진혜공에게 도움을 준 국가이기도 하다. 혜공의 장인이 되는 국가로 잦은 토목공사로 백성들이 따르지 않았으며, 결국 진나라(秦) 진목공의 공격을 받아 멸망했다.


2.2. 전국시대 위나라(魏)의 별칭[편집]


전국시대 군주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bgcolor=#c00><bgcolor=#000> 진(秦) ||<-2><bgcolor=#4169E1> 조(趙) ||<bgcolor=#6a5acd> 연(燕) ||
||<-2><bgcolor=#4682B4> 위(魏) ||<|3><bgcolor=#bf2f7b> 제(齊) ||
||<bgcolor=#da3f3a> 동주(周)
서주(西周) ||<bgcolor=#008080> 위(衛) ||
||<-2><bgcolor=#0b3861> 한(韓) ||
||<-4><bgcolor=#008000> 초(楚) ||
||<-4> 관련 틀: 초한쟁패기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수도 대량(大梁)이 양이었기 때문. 위혜왕을 양혜왕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여기있다.


2.3. 한나라의 봉국(封國)[편집]


양왕, 삼국지/지명/예주#양국(梁國) 문서 참고.


2.4. 육조시대의 육조 중 하나인 소량[편집]


양(남조) 문서 참고.


2.5. 육조 양나라의 후신인 괴뢰국 후량(後梁)[편집]


[ 펼치기 · 접기 ]

전구지 前仇池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양무수양난적양의양초습양국
제6대제7대제8대말대
양준양세양통양찬
후구지 後仇池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양정양성양현양보종양난당
제6대말대
양문덕양보치
탕창 宕昌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양근양미홀양호자양미지양미기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양미박양미힐양미승양미합양미옹
제11대제12대제13대말대
양미태양헌정양미정양노감
등지 鄧至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상서치상서자상굴탐상서팽상남제
등지 鄧至염위 冉魏
말대추존추존초대말대
상첨함원제고제평제해빈후
환초 桓楚
추존초대제2대말대
선무제무도제환진환석수
대 代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목제보근왕대왕평문제혜제
제6대제7대제8대말대부흥
양제열제소성제헌명제탁발규
초촉 譙蜀적위 翟魏선우조 鮮于趙왕씨 정권 王氏
초대초대초대추존초대
성도왕하남공선우걸태상황태평제
우문부 宇文部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보회막나막괴보발구불권
제6대제7대
막규실독관걸득귀일두귀
단부 段部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일륙권걸진무목진취륙권섭부진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말파단아단료단란단감
말대
단근
서연 西燕
항목 참조



북조 서위(북주)의 괴뢰국이었다. 강릉만을 지배. 후량 문서 참고.


2.6. 수말당초의 할거왕조 후소양(後蕭梁)[편집]




수말당초 소량의 황족 소선이 중흥시킨 양의 후신 왕조 후소양. 시즌 3


2.7. 수말당초의 할거왕조 양양(梁梁)[편집]


수말당초 양사도가 세웠기 때문에 양양(...)이라 일컫는다.


2.8. 수말당초의 할거왕조 심양(沈梁)[편집]


수말당초 심법흥이 일으킨 단기정권으로 통칭 심양.


2.9. 5대10국시대의 왕조 후량(後梁)[편집]


오대(五代)
후량
(後梁)
후당
(後唐)
후진
(後晉)
후한
(後漢)
후주
(後周)


주전충(주온)이 당나라 애종을 폐위시키고 만든 나라. 문서 참고.


3. 涼[편집]


[ 펼치기 · 접기 ]

황하 문명
하(夏)
상(商)
주(周)서주(西周)
동주(東周)춘추전국시대춘추시대
전국시대
진(秦)
장초(張楚)
후초(後楚)
서초(西楚) | 십팔제후왕
한(漢)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삼국시대
위(魏) | 촉(蜀) | 오(吳)
진(晉)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시대
남북조시대송(宋)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한(侯漢)
후량(後梁)
서위(西魏)동위(東魏)
진(陳)북주(北周)북제(北齊)
수(隋)
당(唐)
무주(武周) | 호연(胡燕)
오대후량(後梁)십국탕구트요(遼)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
송(宋)북송(北宋)서하(西夏)
남송(南宋)서요(西遼)금(金)
원(元)
북원(北元)
명(明)
순(順) | 서(西) | 남명(南明) | 후금(後金)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
청나라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국민정부(國民政府)
우한정부(武漢政府)
일치시기
소비에트 지구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만주국
(滿州國)
중화민국(中華民國)
대만(臺灣)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오호십육국시대 서량(西涼) 지역, 즉 현 감숙성에 세워졌던 국가들. 전량, 북량 정도만이 좀 길게 존속했다. 벽지에 세워진 지역정권들의 모습을 벗어나는 데에 성공한 나라는 하나도 없었다.

남량의 왕족들은 서진과 싸웠던 독발수기능의 후손들이다.


3.1. 전량(前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전량(오호십육국시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후량(後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후량(오호십육국시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남량(南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남량#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북량(北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북량#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서량(西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서량#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수말당초 이량(李涼)[편집]




수말당초 이궤가 세운 단명왕조이다. 통칭 이량(李涼).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4:27:48에 나무위키 양나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