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성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턴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양성지(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 문서
양성지(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번 문단을
양성지(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리공신
[ 펼치기 · 접기 ]

1471년 3월 2일 성종에 의해 책록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1등)
권감김국광신숙주윤자운
정현조조석문최항한명회1
홍윤성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2등)
김질송문림심회윤사흔
이정이침정인지1정창손1
한계미한계희한백륜구치관
순성명량좌리공신 (3등)
강곤김겸광강희맹노사신
박중선서거정성봉조신승선
양성지윤계겸이극배이극증
이숭원임원준정효상한계순
한치형1홍응
순성좌리공신 (4등)
구문신김교김길통김수녕
김수온김순명류수류지
박거겸선형신정2신준
심한어유소오백창우공
윤필상1이극돈3이석형이수남
이숙기이승소이철견이현
이훈정난종정숭조한보
한의한치례한치의한치인
함우치허종황효원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82년 성종의 인신을 위조해 남의 재산을 탈취한 혐의로 인한 제명
3 1504년 조카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511년 중종 때 복권






1. 개요
2. 생애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梁誠之, 1415년 ~ 1482년

전라도 남원 출생. 호는 눌재(訥齋),[1] 시호는 문양(文襄). 같은 훈구파한명회, 신숙주, 권람에 비해 인지도는 낮지만 당대에 '세조의 제갈량'이라고 불린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2. 생애[편집]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초기 집현전 학자들 중 하나이다. 세조 ~ 성종 시기 팔도지리지동국지도를 완성한 것으로 유명하다. 앞의 서적들에서 보듯 지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병학에도 조예가 있었다. 명나라에 대한 사대에 신중하게 생각하여 자주적인 국가를 만들자는 사상을 지녔다. 세조에게 상소를 올려 환구단에서 제사를 올리게 한 인물이며, 세조를 시작으로 대한제국에 이르기까지 환구단에서 제사 지내지 않은 왕이 없을 정도다. 특히 이는 국방 사상에 영향을 주어, 조선 전기의 대표적 군사 체계인 진관 체제를 만들게 된다. 이는 조선 후기의 실학과 맞닿아 정조의 개혁에 영향을 주었다. 집현전 학사 시절에는 고려사 편찬에도 참여하였으며, 의학서인 의방유취를 편찬하는데도 기여한 조선 전기의 전형적인 다재다능 문신이다. 특히 그의 사상은 시대를 앞서나간 면이 있었는데, 백정이 양민이 되는 길을 열어주자거나, 의창과 같은 사회 복지 제도를 주장하기도 했다. 그리고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사고를 관청 옆이 아니라 산간 깊숙한 곳으로 옮겨 외적의 침입으로 소실되는 사태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130년 후 그의 주장이 현실화되고 말았다. 이후 지방에 새로 설치된 사고는 모두 산속에 자리했다.

다만 조선 중기에는 폄하되는 면이 있었는데, 그의 가문이 이후 훈구파로 분류되기도 하였으며, 이 때문에 사육신의 충절을 존숭하는 분위기의 조선 중후기에는 사림파에 의해 비난받기도 했다.[2] 게다가 외가 4대손으로 자손을 잘못 두기도 했으나 정조가 양문공예외보를 내도록 할 만큼 뛰어난 인물도 많다.

한명회, 신숙주, 권람 같은 네임드들을 제치고 바로 그 제갈량에 비유된 흠좀무한 인물임에도 어째 사극에서는 코빼기도 안 보인다. 한명회, 신숙주, 권람의 이미지가 너무 후덜덜해서 양성지가 누군지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안타깝다. 양성지 묘역 및 신도비는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대포리에 있다. #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6:20:56에 나무위키 양성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종 때의 인물인 박상(朴祥)도 호가 눌재이고 저서 역시 '눌재집'이다. 로마법 학자인 최병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도 호가 눌재인데, 양성지나 박상의 호를 따라서 지은 것은 아니고 짓고 보니 우연의 일치로 호가 같았다고 한다.[2] 실제로 그는 세조에게 아부했다는 이유로 자주 탄핵되곤 했으며, 청백리라고는 할 수 없는 인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