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웡키어

덤프버전 :

  • 어웡키어: Эвэды̄ турэ̄н (어워디 투런)
  • 러시아어: Эвенкийский язык

1. 개요
2. 표기 및 발음
3. 계통 및 문법
4. 예문
5.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러시아중국, 몽골어웡키족(에벤키족)이 사용하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 화자수는 약 1만 7천 명.

서쪽으로는 예니세이 강부터 동쪽으로는 오호츠크 해까지, 그리고 북쪽으로는 북극해에서 남쪽으로는 내몽골 자치구에 이르기까지의 굉장히 넓은 지역에서 사용된다. 러시아에서는 주로 사하 공화국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에서 쓰이고 있으며, 사하 공화국에서는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1] 한편 예전에 에벤키 자치구가 크라스노야르스크 크라이와 통합되기 전에도 자치구 내에서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된 적이 있었다. 러시아 내에서 에벤키어로 된 출판물이 간행되고 학교에서도 부분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러시아 거주 어웡키인의 90% 이상이 이미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등 위기에 처해 있다.


2. 표기 및 발음[편집]


문자의 경우 러시아에서는 키릴 문자를, 중국에서는 몽골 문자를 사용해 표기한다. 키릴 문자 표기의 경우 ng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Ӈ이 추가로 사용되며, /dʒ/에 해당하는 문자가 없어서 дя, дю처럼 д + е, ё, и, ю, я조합으로 /dʒ/ 발음을 표기한다. 이 때 /di/와 /dʒi/ 발음을 구별하기 위해 /di/는 ды, /dʒi/는 ди로 표기하고, /ti/ 역시 ты로 표기한다.

장음은 모음 위에 장음부호  ̄를 덧붙여서 표기한다.

【문자 목록 보기】
키릴 문자
(대문자/소문자)
몽골 문자발음
A a /a/
Б б ᠪ, ᠸ /b/, /w/
В в /v/
Г г ᠬ, ᠭ /g/, /ɣ/
Д д ᠳ, ᠵ /d/, /dʒ/
Е е /je/
Ё ё /jo/
Ж ж /ʒ/
З з /z/
И и /i/
Й й /j/
К к /k/
Л л /l/
М м /m/
Н н /n/
Ӈ ӈ /ŋ/
О о /ɔ/
П п /p/
Р р /r/
С с /s/
Т т /t/
У у ᠣ, ᠥ/ʊ/, /u/
Ф ф /f/
Х х /x/, /h/
Ц ц /ts/
Ч ч /tʃ/
Ш ш /ʃ/
Щ щ /ʃtʃ/
Ъ ъ
Ы ы /i/
Ь ь /ʲ/
Э э /ə/
Ю ю /ju/
Я я /ja/


3. 계통 및 문법[편집]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에 속하며, 주위의 북부 퉁구스어나 튀르크어처럼 접사를 붙여 인칭을 나타낸다. 퉁구스어족 문서 참조

어웡키어에서의 1부터 10까지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1умӯн 우문6нюӈун 늉운
2дю̄р 주르7надан 나단
3илан 일란8дяпкун 잡쿤
4дыгин 디긴9егин 여긴
5тунӈа 퉁아10дя̄н 잔


4. 예문[편집]


다음은 어웡키어로 번역한 세계 인권 선언 1조이다.

어웡키어 번역해석
Упкат илэл ты̄нмукирди, урэ̄лди мэ̄нӈи са̄рича̄ди балдыдяра. Нуӈартын дялитви, халдяндыви биси, мэмэгӣлвэр аяралды̄дяна тэдет о̄мамачитын.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5. 외부 링크[편집]



[1] 사하 공화국에서는 러시아어사하어가 국가언어(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языки)로 지정되어 있고, 어웡키어 외에 에벤어·돌간어·축치어·유카기르어가 지역 공용어(местные официальные языки)로 지정되어 있는데 사실 후자에 속하는 언어들은 모두 소멸위기에 놓인 언어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