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매

덤프버전 :


오 국군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5%>
초대 국군

태백 ||
2대 국군

중옹 ||
3대 국군

계간 ||
4대 국군

숙달 ||
||
5대 국군

주장 ||
6대 국군

웅수 ||
7대 국군

가상 ||
8대 국군

강구이 ||
||
9대 국군

여교의오 ||
10대 국군

가로 ||
11대 국군

주요 ||
12대 국군

굴우 ||
||
13대 국군

이오 ||
14대 국군

금처 ||
15대 국군

||
16대 국군

파고 ||
||
17대 국군

구비 ||
18대 국군

거제 ||
초대 왕

수몽 ||
2대 왕

제번 ||
||
3대 왕

여제 ||
4대 왕

여매 ||
5대 왕

||
6대 왕

합려 ||
||||||||
말대 왕

부차 ||
||<-4><bgcolor=#ffffff,#191919> ||
||<-4><bgcolor=#ff0000>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오(吳)나라 22대 국군
4대 왕
오왕 여매
吳王 餘昧
희(姬)
고발(姑發)
여매(餘昧) / 이매(夷昧)[1]
아버지오왕 수몽(吳王 壽夢)[2]
생몰 기간음력기원전 ???년 ~ 기원전 527년
재위 기간음력기원전 543년 ~ 기원전 527년 (17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의 제22대 군주이자, 제4대 왕. 고발수몽의 아들. 고발제번, 고발여제의 동생. 고발계찰의 형이다. 고발료의 아버지.
.

2. 생애[편집]


오왕 여매 6년(기원전 538년), 초영왕이 경봉(慶封)을 죽였다.

오왕 여매 7년(기원전 537년), 초나라가 오나라의 우루(雩婁)에 이르렀다.

오왕 여매 8년(기원전 536년), 초나라가 오나라를 쳐서 건계(乾谿)에 주둔했으나 오군에게 패했다.

오왕 여매 17년(기원전 527년), 고발여매가 무거운 병에 걸려 죽어가면서 중원의 문화를 배우러 유학을 갔다가 돌아온 고발계찰에게 왕위를 물려주려 했으나 고발계찰은 달아나면서 거절해서 어쩔 수 없이 아들 고발주우(姑發州于)에게 물려주었고 '고발주우'는 '고발료'로 개명하니 그가 바로 오왕 료다.[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0:39:35에 나무위키 여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춘추(春秋)의 기록.[2] 달리 숙고(孰姑) 승(乘)이라하기도 한다[3] 고발료가 고발수몽의 서장자라는 말이 있으나 나이 상으로 보면 말이 되질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