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도아케르

덤프버전 :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 || 베네벤토 공국
-2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1BAA60>
[[살레르노 공국|{{{#FFF 살레르노 공국}}}]]
[[바리 토후국|{{{#FFF 바리 토후국}}}]]
||
}}} ||<|2> 아말피 공화국 ||
}}} ||
-2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사보이아 백국|{{{#FFF 사보이아 백국}}}]]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밀라노 공국|{{{#FFF 밀라노 공국}}}]]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파르마 공국|{{{#FFF 파르마 공국}}}]]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모데나 레조 공국|{{{#FFF 모데나 레조 공국}}}]]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피사 공화국|{{{#FFF 피사 공화국}}}]]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시에나 공화국|{{{#FFF 시에나 공화국}}}]]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피렌체 공화국|{{{#FFF 피렌체 공화국}}}]]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토스카나 대공국|{{{#FFF 토스카나 대공국}}}]]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제노바 공화국|{{{#FFF 제노바 공화국}}}]]
||
}}} || 로마 공화국 ||



[ 펼치기 · 접기 ]

기원전 9세기~기원전 753년에트루리아
기원전 753년~기원전 509년로마 왕국
기원전 509년~기원전 27년로마 공화국
기원전 27년~기원후 395년로마 제국
395년~476년서로마 제국
476년~493년오도아케르 왕국
493년~536년동고트 왕국
536년~756년동로마 제국
584년~751년
||
756년~1798년교황령
1798년~1799년로마 공화국
1799년~1809년교황령
1809년~1814년프랑스 제1제국
1814년~1849년교황령
1849년~1850년로마 공화국
1850년~1870년교황령
1870년~1929년
1929년~현재바티칸 시국





[ 펼치기 · 접기 ]

R / DAZSP
일리리아 왕국일리리아 왕국
달마티아 왕국일리리아 왕국
일리리아 전쟁
로마 공화국
일리리아 왕국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로마 제국일리리아 왕국로마 제국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동고트서로마 제국
5C 말오도아케르동고트오도아케르
동고트 왕국
6C동로마 제국랑고바르드 왕국동로마 제국
아바르 칸국
슬라브
동로마 제국남슬라브
8C크로아트 족
9C동로마 제국크로아트 족프랑크 왕국
크로아트 공국동프랑크중프랑크 왕국
10C크로아트 왕국신성 로마 제국
헝가리신성 로마 제국
11C동로마 제국크로아트 왕국
동로마 제국베네치아크로아트 왕국헝가리 왕국
12C헝가리-크로아트 왕국
동로마 제국헝가리-크로아트 왕국
13 ~ 14C라구사헝가리-크로아트 왕국
몽골 서정군의 침입
헝가리-크로아트 왕국슬라보니아
/ 헤르만
헝가리-크로아트 왕국
15 ~ 16C / 17C
베네치아 공화국헝가리-크로아트 왕국
오스만 제국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18C베네치아 공화국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베네치아 공화국
19C프랑스 제1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크로아티아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20C : 유고슬라비아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나치 독일
크로아티아 독립국
헝가리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현대크로아티아 공화국
두브로브니크 공화국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크로아티아 공화국
※ S는 동부 슬라보니아 평야 일대, P는 풀라/이스트리아 반도, D는 달마티아 해안 지방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국기 · 국장 · 국호
역사역사 전반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오도아케르 왕국 · 동고트 왕국 · 동로마 제국 · 랑고바르드 왕국 · 교황령 · 프랑크 왕국 · 신성 로마 제국(중세 이탈리아 왕국) · 베네치아 공화국 · 제노바 공화국 · 피사 공화국 · 피렌체 공화국/토스카나 대공국 · 모데나 레조 공국 · 파르마 공국 · 나폴리 왕국-시칠리아 왕국/양시칠리아 왕국 · 밀라노 공국 ·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 사보이아 백국/사보이아 공국/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 이탈리아 통일 · 이탈리아 왕국 · 파시스트 이탈리아
사회사회 전반(남북문제) · 인구 · 마피아
정치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이탈리아 의회(상원 · 하원) · 행정조직 · 내각
지리행정구역() · 이탈리아 반도 · 시칠리아 · 사르데냐 · 루비콘 강 · 아디제 강 · 테베레강 · 알프스(몬테 비앙코) · 에트나산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G7 · G20 · 유럽연합
경제경제 · 이탈리아 리라(폐지) · 유로
교통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말펜사 국제공항 · 밀라노 리나테 공항 · 베네치아 마르코 폴로 국제공항 · 크리스토포로 콜롬보 국제공항 · ITA 항공 · 철도 환경 · 트레니탈리아(레 프레체 ·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 · 이탈로 · 로마 지하철 · 펜돌리노 · 아우토스트라다
국방왕국군 · 왕립 해군 · 전투식량 · 이탈리아군 · 베르살리에리 · 공군 · 해군 · 헌병군 · 징병제(폐지) · 전투식량 · 군가 · 졸전 기록(연혁 · 일화) · NATO
문화문화 전반 · 영화(스파게티 웨스턴 · 지알로) · 이탈로 디스코 · 유로비트 · 요리(지리적 표시제)
언어이탈리아어 · 라틴 연합 · CELI · CILS · 롬바르드어 · 리구리아어 · 시칠리아어 · 피에몬테어 · 사르데냐어 · 프리울리어 · 라딘어
스포츠이탈리아 올림픽 대표팀 · 이탈리아 축구 연맹 · 세리에 A · 코파 이탈리아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이탈리아 남자 배구 리그 · 이탈리아 여자 배구 리그
관광관광 전반 · 피사의 사탑 · 콜로세움
치안·사법이탈리아 국가경찰 · 이탈리아 교정경찰대 · 사법 전반 · 이탈리아 헌법재판소
민족이탈리아인(아프리카계) · 이탈리아계 미국인 ·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이탈리아계 브라질인 · 이탈리아계 러시아인 · 이탈리아계 멕시코인
기타이탈로필리아





이탈리아 국왕
Patricius | 파트리키우스
파일:external/www.akg-images.de/AKG200585.jpg
왕호파트리키우스(Patrician)
오도아케르(Odoacer)
주군제노[1]
생몰
년도
435년 ~ 493년
재위
기간
476년 ~ 493년

1. 개요
2. 생애
2.1. 왕위에 오르다
2.2. 치세
2.3. 몰락
3. 평가



1. 개요[편집]


게르만계 스키리족 출신의 서로마 제국 장군. 오도아케르는 로마식 이름이고, 본래 이름은 아우다와크르스(Audawakrs).[2]

오도아케르는 서고트, 반달족, 훈족에 의해 쇠약해진 서로마를 완전히 붕괴시킨 인물이며 서로마 붕괴 이후 유럽의 정치 지형은 대변화를 맞이했다.


2. 생애[편집]




2.1. 왕위에 오르다[편집]


그가 소속되어 있던 스키리 부족이 약소부족이었던 탓에 동고트족에게 박살난 뒤 서로마 제국 군대에 들어가 그곳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수십 년간 서로마 제국의 장군으로 복무하면서 높은 자리에 오른 오도아케르는 당시 로마의 실력자였던 리키메르의 휘하에 있었는데 리키메르가 갑자기 사망한 후[3] 군도바트가 리키메르의 뒤를 이었으나 금세 오레스테스에게 실권이 넘어갔다.

오도아케르는 이 새로운 실력자인 오레스테스와는 경쟁 관계였고 이후 오레스테스가 자신의 아들 로물루스를 황제로 세우면서 둘 사이의 긴장이 최고조에 달하게 되었다.

오레스테스가 병사들에게 땅 지급을 미루는 사이에 이에 불만을 품은 야만족 군대가 그를 리더로 옹립한 덕에 오레스테스를 공격해 죽이고 황제를 폐위한 다음 자신이 이 되었다. 사실 오도아케르는 마음만 먹으면 허수아비 황제를 새로 앉힐 수 있었다. 적당한 로마인을 앉혀 놓고 실권을 자기가 쥐면 동로마 제국에게 공격을 받을 이유는 없었을 텐데 어째서 그런 위험한 일을 범했는지는 의문이다. 다만 이전에 플라비우스 리키메르가 옹립했던 마요리아누스 황제가 서로 권력 다툼을 했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자기가 직접 왕이 되는 게 더 권력을 쉽게 장악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

로마 제국 서방 정부의 황제가 더 이상 세워지지 않음으로 인해 서로마 제국은 476년에 멸망했다. 하지만 이 멸망 시점에 대해 이견도 많이 있는데 일전에 오레스테스에게 쫓겨난 율리우스 네포스를 로마 최후의 황제로 보기도 한다. 네포스는 쫓겨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자신이 황제라고 주장하고 있었고 로물루스가 폐위되자 동로마 황제 제노도 네포스를 서로마 황제로 인정하는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네포스가 살해된 480년을 서로마 제국의 멸망 시점으로 본다.

다른 견해로는 서로마 최후의 군벌인 시아그리우스클로비스 1세가 이끄는 프랑크족에게 수아송 전투에서 참패한 시점인 486년을 서로마제국의 멸망 시점으로 보기도 한다. 시아그리우스 본인은 딱히 황제를 자처한 적이 없지만 그의 군대가 (서)로마군이라는 명분을 가지고 있었던 마지막 세력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오도아케르가 서로마 황제의 관을 반납함으로써 동로마 황제의 신하를 자처했으므로, 일단 서로마가 유지는 되었으나 그가 테오도리크에게 제거된 뒤 테오도리크가 진짜로 동고트 왕국을 세워 독립하면서 소멸됐다고 보는 견해도 존재한다.


2.2. 치세[편집]


파일:오도아케르 왕국.jpg

그는 허수아비 황제를 세우지도 않았지만 그렇다고 자신이 황제로 즉위하지도 않았다. 그는 실권을 장악한 후 동로마 제국을 받든다는 명분으로 동로마의 황제 제노가 수여한 '파트리키우스'라는 호칭을 사용하였다.

왕이 된 후에는 북이탈리아를 본거지로 삼으면서 그곳을 병사들에게 봉토로 지급하고 군대를 재건하여 네포스가 살해된 후 혼란에 빠진 달마티아와 시칠리아를 수복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기존 지배 계급의 특권을 계속 보장하고 그들에게 행정을 맡겨 나라를 안정화시켰다. 하지만 그는 로마인과 적극 동화되지는 않았고 이민족들의 침략도 적극적으로 방어하지 않으며 피해를 방치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런 점들이 로마인의 외면을 불러 그의 통치가 오래가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


2.3. 몰락[편집]


오도아케르는 서로마를 멋대로 멸망시켰다는 점 때문에 동로마 제국과의 사이가 좋지 않았던 데다 그가 군사적 성과를 거두면서 계속 세력을 확장해 나가자 동로마 제국의 제노 황제는 그를 제거할 계획을 세웠다.

견제 세력을 찾고 있던 제노는 동고트족의 지도자였던 테오도리크와 협약을 맺고 그를 동로마 제국의 장군으로 받아들이며 오도아케르의 축출을 명령했다. 드디어 489년에 테오도리크는 알프스를 건너 이탈리아 반도로 침공해 들어갔다. 오도아케르는 그와 맞붙었으나 연전연패했으며 여기에 서고트족의 왕이었던 알라리크 2세까지 테오도리크를 지원하자 오도아케르는 난공불락의 도시인 라벤나에 은신하게 되었다.

테오도리크의 공성에 맞서서 3년간 라벤나에서 버티던 오도아케르는 라벤나의 주교 요한의 주선으로 테오도리크와 협상을 하게 되었다. 여기서 오도아케르는 안전을 보장받고 테오도리크와 공동 통치자가 되었다. 그러나 테오도리크는 라벤나 입성 10일 후 오도아케르와의 연합을 축하하는 잔치를 벌이다가 흥이 오를 때쯤 갑자기 오도아케르를 검으로 목 아래쪽으로부터 옆구리까지 단칼에 세게 베어내려 죽여 버렸다. 동시에 오도아케르의 친위세력도 테오도리크의 부하들에게 공격을 받아 잔치가 벌어지는 동안에 모조리 살해됐다. 장례식을 축하 잔치로 대신한 셈. 이에 대한 테오도리크 자신의 평가는 다음과 같았다.

"그 불쌍한 놈은 마치 뼈가 없는 것 같았다."


오도아케르가 몰락하면서 동로마는 한시름을 덜었으나 테오도리크도 만만찮은 야심가로 동로마와는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했기 때문에 훗날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시기에 또 한 번 큰 전쟁이 일어나게 되었다.


3. 평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3:02:21에 나무위키 오도아케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명목상.[2] 원시 게르만어 아우다와크라즈(Audawakraz)에서 유래했다. 아우다와크라즈는 라는 뜻의 아우다즈(audaz)와 깨어 있다는 뜻의 와크라즈(wakraz)의 합성어였다.[3] 독살당했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