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산 버스 5300

덤프버전 :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시간표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오산시 CI_White.svg 오산시 직행좌석버스 53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5300번노선도2.png
기점경기도 오산시 갈곶동(용남고속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신논현역.인터파크)
상행첫차05:20하행첫차06:15-20
막차00:10막차01:10
평일배차10~20분주말배차20~30분
운수사명용남고속버스라인인가대수15대[1]
노선용남고속차고지 - 원영화남아파트 - 원동.동부삼환아파트 - 원동초교.제일교회앞 - 오산역e-편한세상1단지아파트 - 오산역.오산터미널/오산역환승센터 - 오산시청.운암주공4단지 - 운암주공2.3단지.운천고 - 경부고속도로 → KCC사옥 → 신논현역.인터파크 → 강남역.도시에빛 →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 서초문화예술정보학교(구.뱅뱅사거리) → 양재역.엘타워빌딩 → 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용남고속버스라인에서 운행하는 오산시와 강남을 잇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 총 노선 길이는 99.7km. 위에 기재된 정류장에만 정차한다. 노선도


3. 역사[편집]



  • 하지만 의정부시 업체에서 해당 노선을 운행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보니 결국 2004년 4월 24일부로 노선과 차량을 용남고속에 매각했고, 이후 '을지로5가 - 고속터미널' 구간이 단축되어 '오산 - 운암단지 - 강남역 - 양재역'으로 노선이 바뀌었다. 2007년 사진

  • 이후 별 문제 없이 운행했으나, 수도권 통합 요금이 직행좌석버스까지 확대되자 시외버스인 이 노선이 환승할인을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한 민원이 지속적으로 들어왔고, 이를 회피하기 위해서인지 번호를 없애고 행선지판만 꽂아 운행했다. 용남고속이 이 노선을 형간전환하지 못한 이유는 요금 문제도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운행구간이 시계외 30km 규정에 걸려 시내버스로 운행 자체가 불가능했기 때문이다.[2] 당시 차량의 모습



  • 2014년 7월 16일부터 입석금지가 실시됨에 따라 출·퇴근시간에 전세버스가 투입, 운행 중이다.

  • 2018년 11월 19일에 2층 버스가 4대 투입되었으며, 기존 차량이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하는 2층버스로 대체됨에 따라 평일 기준 1일 86회 운행에서 72회로 운행 횟수가 감회됐다.

  • 2019년 12월 16일에 차고지가 이전되어[3] 시간표가 변경되고 구 차고지 정류장이 폐쇄되었다.


  • 2021년 1월 1일에 2층 버스가 2대 추가로 투입되었으며, 인가 대수가 15대로 늘어났다.

  • 2021년 5월 중순부터 5300번에서 운행하던 전세차량이 GBIS '5300(전세)'번에서 별도로 조회된다.[4]

4. 특징[편집]



  • 휴일 오후 기준으로 전 구간 완주 시 1시간 5분(오산 방면)~1시간 15분(강남 방면)이 소요된다.

  • 강남대로에서는 가로변 정류소에만 정차하며, 동부대로 연속화 이후 용인서울고속도로를 이용하거나[5],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다가 기흥동탄IC에서 빠져나와 311번 지방도를 이용하기도 한다.[6] 노선이 바뀌더라도 정류장의 변화는 없다.

  • 현대 유니버스[7]와 2층버스로 운행한다.[8]

  • 이 노선이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된 이후 서울-오산간 일반열차 수요를 꾸준히 흡수하여, 2013년 당시 일평균 1,066명이었던 오산-서울 간 일반열차 승객이 2016년에는 810명으로 줄어들었다.

  • 오산시민이 서울에 갈 때 가장 자주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 중 하나다.[9] 강남까지 한번에 가기 때문에 항상 서울에 놀러가거나 일하러 가는 오산시민들로 꽉 차 있다.[10] 신논현역, 강남역 등 지하철역과의 연계도 좋아서 오산에서 도심이나 강남으로 갈 때 이용하면 시간 단축이 상당하다. 다만 영등포나 여의도, 용산, 명동 등은 오산역에서 지하철을 타고가는 것을 권장한다. [11]

  • 대체제로 사당역으로 가는 M5532번 버스가 개통되었지만 이 버스 노선의 수요를 쉽게 흡수하지 못하는 듯하다. 당장 5300번은 무려 서울에서 주요역으로 꼽히는 역들인 신논현역, 강남역, 양재역을 모두 지나가는 황금노선인데다, 오랜시간동안 오산시민들이 서울로 가는 주 루트로 이용했기에 그런 듯 하다.[12] 결국 M5532번 버스는 공기수송이 되어버린 건 덤. [13]

  • 기.종점은 오산 고현 현대아이파크 106동 맞은편에 있는 용남고속차고지(실제주소 갈곶동 330번지)에서 출발한다. 5200번도 동일하다.

  • 경부고속도로를 시원하게 잘 달리는 노선 중 하나이며, 대개 시속 105km 안팎으로 달리며 2층버스도 시속 90km에 근접하는 속도를 낸다.[14][15]

  • 직행좌석버스 입석금지 대책으로 아침 5회(오산역 왕복 1회 포함), 저녁 6회(서울 KCC정류소 출발 오산행 편도 3회 포함) 전세버스가 운행 중[16]이다. 아침시간대 전세버스는 정류장의 혼잡을 이유로 기존 5300번의 서울구간을 반대로 회차[17][18]했으나, 2016년 6월부터는 기존 5300번과 동일하게 운행 중이다.



5. 시간표[편집]


오산 버스 5300번 시간표
2023년 2월 20일 기준
(2층버스, 전세버스, 용남전세)
평일/휴일 운행 시간표
[ 모바일 버전 시간표 ]
오산 버스 5300번 시간표
2023년 2월 20일 기준
(2층버스, 전세버스, 용남전세)
평일 운행 시간표
5:208:4016:4021:10
5:409:0013:1016:5021:30
6:069:4013:3017:2022:10
6:1410:0017:3022:30
6:5010:5114:3018:1522:50
7:2011:4215:3019:1523:10
7:3012:0019:3023:30
7:5012:3416:0520:3023:50
8:1012:5016:2020:5024:10
5:589:2017:0021:50
6:2210:1713:5017:45
6:4010:3414:1018:00
7:0011:0814:5018:45
7:1011:2515:1019:00
7:4012:1715:5020:10
5:508:5016:3019:50
8:0018:30
8:25

오산 버스 5300번 시간표
2023년 2월 20일 기준
(2층버스)
토요일 운행 시간표
5:209:3016:5021:00
5:409:4513:2017:0521:20
6:2010:1513:4017:3522:00
6:4010:3017:5022:20
7:3011:1514:4018:3522:40
8:1512:0015:4019:2023:00
8:3012:1519:4023:20
9:0012:4516:2020:2023:45
9:1513:0016:3520:4024:10
6:0010:0017:2021:40
7:0010:4514:0018:05
7:1511:0014:2018:20
7:4511:3015:0018:50
8:0011:4515:2019:05
8:4512:3016:0020:00

오산 버스 5300번 시간표
2023년 2월 20일 기준
(2층버스)
일요일/휴일 운행 시간표
5:209:0016:4521:10
6:009:3013:3017:1521:50
6:159:5013:5017:3022:10
6:3010:1017:5022:30
7:0010:5014:3018:3022:50
7:3011:3015:1019:1023:15
8:0012:1019:5023:40
8:3012:5016:1020:3024:10
5:409:1517:0021:30
6:4510:3014:1018:10
7:1511:1014:5018:50
7:4511:5015:3019:30
8:1512:3015:5020:10
8:4513:1016:3020:50
[ PC 버전 시간표 ]
오산 버스 5300번 시간표
2023년 2월 20일 기준
(2층버스, 전세버스, 용남전세)
평일 운행 시간표토요일 운행 시간표일요일/공휴일 운행 시간표
5:208:4016:4021:105:209:3016:5021:005:209:0016:4521:10
5:409:0013:1016:5021:305:409:4513:2017:0521:206:009:3013:3017:1521:50
6:069:4013:3017:2022:106:2010:1513:4017:3522:006:159:5013:5017:3022:10
6:1410:0017:3022:306:4010:3017:5022:206:3010:1017:5022:30
6:5010:5114:3018:1522:507:3011:1514:4018:3522:407:0010:5014:3018:3022:50
7:2011:4215:3019:1523:108:1512:0015:4019:2023:007:3011:3015:1019:1023:15
7:3012:0019:3023:308:3012:1519:4023:208:0012:1019:5023:40
7:5012:3416:0520:3023:509:0012:4516:2020:2023:458:3012:5016:1020:3024:10
8:1012:5016:2020:5024:109:1513:0016:3520:4024:105:409:1517:0021:30
5:589:2017:0021:506:0010:0017:2021:406:4510:3014:1018:10
6:2210:1713:5017:457:0010:4514:0018:057:1511:1014:5018:50
6:4010:3414:1018:007:1511:0014:2018:207:4511:5015:3019:30
7:0011:0814:5018:457:4511:3015:0018:508:1512:3015:5020:10
7:1011:2515:1019:008:0011:4515:2019:058:4513:1016:3020:50
7:4012:1715:5020:108:4512:3016:0020:00
5:508:5016:3019:50
8:0018:30
8:25

6. 연계 철도역[편집]



7.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7:03:40에 나무위키 오산 버스 53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평일에는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하는 차량(파트)과 전세버스가 추가로 투입되어 19대로 운행한다.[2] 당시 오산-천안 시내버스 노선은 현재까지 존재하는 노선은 현재까지도 없으나 규정상 천안면허로 만들 수는 있었던 반면(심지어 오산 면허로도 천안시 일부지역을 시계외 규정에 걸리지 않고 만들 수 있었다.) 오산-서울 직행좌석버스 노선은 규정 때문에 오산면허로도, 서울면허로도, 제 3의 시군이나 광역시 면허로도 만들 수 없었다.[3] 갈곶동235-1 → 갈곶동 330번지 일원[4] 2022년 3월 기준으로 다시 본선에 통합되었다.[5] 경부고속도로 양재IC부터 수원신갈IC구간이 대형사고나 공사, 주말 나들이 차량 증가 등으로 극심한 정체를 겪을 때[6] 오산IC에서 오산경찰서구간 지하차도 공사등으로 오산IC 주변 도로가 엉망진창일 때 낮 시간에만[7] 3003번 출신 노블 차량도 3대 있다.[8] 2014년 7월 16일부터 실시된 입석금지의 대책과 CNG 충전 소요시간 등의 영향으로 49인승 차량이 이 노선을 시점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9] 다른 수단은 5200번, 1311번 버스이다. 이쪽은 주로 신장, 세마동 사람들이 이용한다.[10] 예전에, 평택에 직행좌석버스가 없던 시절엔 평택시민 및 심지어 일부 충남시민(천안시, 아산시)까지도 각각 버스와 전철 이용 후 환승으로 자주 이용했었다.[11] 영등포나 여의도는 이 버스를 타고 신논현역에서 환승해서 9호선 김포공항행 급행을 타면 20분만에 갈 수 있다. 시간이나 요금면에서 1호선 전철보다 손해가 있기 때문에 영등포권은 1호선을 권장하는 것이다. 여의도까지는 5300번과 1호선을 같이 고려할 수 있지만, 영등포 원도심이나 용산구 나 사대문안은 1호선을 타자. 서울역이나 명동의 경우 버스로 간다면 이 노선보다는 M5532번을 타고 사당역에서 4호선 환승으로도 갈 수 있다.[12] 게다가 이 노선은 막차 시간도 22시 50분으로 이르다. 5300번은 평일 막차 00시 10분, 주말은 23시 10분이다.[13] 하지만 옆 평택시 M5438번의 개통과 더불어 서울남부터미널-송탄-서정동 시외버스 감차로 인한지 이 노선도 출/퇴근시간대 수요가 조금 있긴 하다. 하지만 2번, 2-2번등으로 갈곶동까진 와야하니 시외버스를 한번에 탈때보다 시간이 쫌 더 걸린다. 이런 방법으로 사당역에서 평택지제역까지 완주하면 약 100~110분 정도 소요된다. 그럴빠에 M5438번타고 강남와서, 2호선 이용하는게 낫다.[14] 이는 경부고속도로 계통 용남고속 노선들의 공통 사항이다.[15] 버스가 다 똑같지 않냐고 할 수 있지만, 5300번과 5200번은 2차로로 차로 변경을 해 앞 버스를 추월하기도 한다.이거 불법 아니였나[16] 전세버스도 BIS 상 5300번으로 조회되며, 차량번호가 경기 76아로 시작하는 차량(화성시 차적)이 전세버스다.[17] 양재시민의숲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역삼동.우성아파트 → 강남역 → 신논현역 순.[18] 1550번, 1570번과 같은 회차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