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용마산역

덤프버전 :

용마산(용마폭포공원)
파일:Seoulmetro7_icon.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Yongmasan (Yongma Falls Park)[1]
한자龍馬山(龍馬瀑布公園)
간체자龙马山
가나龍馬山(ヨンマサン
주소
서울특별시 중랑구 용마산로 지하227 (면목동 1316-5)
운영 기관
7호선서울교통공사
개업일
7호선1996년 10월 11일
역사 구조
지하 4층 (심도: 29.8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 교통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7호선 723번. 서울특별시 중랑구 용마산로 지하227 (면목동 1316-5)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용마산역.jpg
대합실

파일:15 용마산.jpg
역 안내도

행정동상 면목4동에 위치하고 있다. 역 이름은 인근에 있는 야산인 용마산에서 유래했다.

1998년 5월에 중랑천의 범람으로 당시 개통되었던 7호선 구간의 대부분이 침수되는 사고가 있었는데 이 역이 침수의 확산을 막은 일등공신이었다. 지대 자체가 높은 곳에 위치하고 선로 또한 용마산역이 양 옆 사가정역, 중곡역보다 해발고도가 살짝 높기 때문에 지상으로나 지하로나 침수확산의 피해를 막을 수 있었던 것이다.

2013년 5월에 1번 출구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를 시작했고 2014년 6~7월경 완공되었다. 공사를 하면서 1번 출구 위쪽의 통로도 같이 철거해서 불편함은 있었지만 엘리베이터는 1층 ↔ 지하 1층을 왕복할 수 있다.

2016년 1월 23일부터 에스컬레이터 착공 시연과 함께 심야 주박역으로 전환되었다.

2019년 12월 25일에 병기역명으로 용마폭포공원이 붙었다. 2020년 3월 중순 역사 내 역명판 변경, 2020년 5월 상순 안내방송 변경이 이루어졌으며, 2020년 7월 중순부터 차내 노선도에 5호선 하남 연장과 더불어 병기역명이 새롭게 붙었던 낙성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마곡나루역의 변경사항을 반영하였다.

7호선 계획당시 임시역명은 '용마역'이었다.

상술했듯 선로/승강장 해발고도 자체가 양 옆 역들에 비해 높은 탓에 오르막이 조성되어서 이 역에 진입하는 열차는 양방향 다 시속 45km/h로 속도가 제한된다. 발차시 80km/h로 복귀.


3. 역 주변 정보[편집]


파일:용마산역 주변.jpg
2번 출구

용마폭포공원과 제일 가까운 역이며, 여름에는 인기가 상당하다. 특히 아차산, 용마산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다.

역 주변은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높은 언덕에 위치해서 상권이 생기기 어려운 지형이다(실 상권은 여기가 아닌 아래쪽 면목로에 형성). 지형 때문에 이 역에서 나가려면 수많은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인근의 중, 고등학교 현장학습 및 체육대회가 열리면 대표적 출발 장소로 활용된다.


3.1. 출구 정보[편집]


파일:Seoulmetro7_icon.svg 용마산(용마폭포공원)역 출구 정보
1면목4·7동주민센터
용마중학교
중곡초등학교·면남초등학교
면목성원상떼빌, 경남아너스빌
면목삼익아파트·두원아파트
중랑문화원, 중랑구민회관
중랑구정신건강증진센터
2면목도시개발아파트
용마폭포공원
면목4동
면목종합사회복지관
현대아파트·용마산하늘채아파트
용마산금호어울림아파트
3중곡동 방면
중랑청소년센터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Seoulmetro7_icon.svg비고
[ 2000년~2009년 ]

2000년11,802명
2001년13,924명
2002년14,520명비고
2003년15,518명
2004년15,131명
2005년14,922명
2006년14,606명
2007년14,348명
2008년14,148명
2009년13,831명

2010년13,926명
2011년13,840명
2012년13,092명
2013년12,708명
2014년12,597명
2015년12,704명
2016년12,613명
2017년12,408명
2018년12,443명
2019년12,435명
2020년9,837명
2021년10,230명
2022년10,783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중랑구 전역에서 절대적인 교통의 축을 담당하는 7호선 역답지 않게 하루 평균 이용객이 12,000명 정도로 저조한 편이다. 이는 7호선 강북 구간에서 장암역 다음으로 적고, 서울 구간에서 반포역과 꼴찌 다툼을 하는 수치이다. 그 이유는 용마산역 동쪽에 이름답게 용마산이 가로막고 있어 역세권이 매우 좁기 때문이다. 이곳의 역세권은 면목4동이 전부로서, 역세권 인구가 22,000명 정도로 주변 역들의 절반이 한참 안 되는 수준이다. 이를 보면 배후 인구에 비하면 수요가 상당히 나오는 편으로, 절대 7호선의 선호도가 낮아서 그런 게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역이 주변 지형에 비해 높은 언덕배기에 자리 잡고 있는 탓에, 2003년 이후 2010, 2014년을 제외하고는 계속 이용객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5. 승강장[편집]


파일:용마승강장다시.jpg
7호선 승강장

파일:55210793_2be66d2f89_o.jpg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의 승강장

파일:용마산역 역명판.jpg
7호선 역명판

사가정
중곡



6. 연계 교통[편집]


다음 정류장승차위치운행 노선
면목동용마산역(07-209)320, 2012, 2227, N62
용마폭포공원용마산역(07-208)320, 2012, 2227, N62


7. 둘러보기[편집]







[1] Waterfall이 공식적으로 맞으나 Falls로 병기역명이 정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