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용호초등학교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대한 내용은 대구용호초등학교 문서
대구용호초등학교번 문단을
대구용호초등학교#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용호초등학교
龍湖初等學校
YongHo Elementary School
파일:용호초 교포.png

개교1964년 9월 22일
유형단설 초등학교
성별남녀공학
형태공립
교장김이규
교감김기옥
교훈세계를 향해 꿈을 펼치는 슬기롭고 참되며 힘찬 어린이
교화장미
교목소나무
학생 수470명[1]
교직원 수36명[2]
관할 교육청부산광역시남부교육지원청
주소부산광역시 남구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로42번길 94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3.2. 교화
3.3. 교목
3.4. 교훈
3.5. 교가
4. 학교 시설
4.1. 용호마루
4.2. 미래관
4.3. 운동장
5. 사건 사고
5.1. 1980년 압사 사고
6.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로42번길 94 (용호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다.


2. 학교 연혁[편집]


날짜연혁
2023.02.10제58회 졸업식 104명
2021.03.01제22대 김이규교장 부임
2021.03.0125(2)학급 편성 학생수 551명
2021.02.19제56회 졸업식 93명(총18443명)
2020.03.0127(2)학급 편성 학생수 572명
2020.02.21제55회 졸업식147명(총18,350명)
2020.01.05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경계석 설치
2019.12.312019학년도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9.12.302020년 학교공간혁신 연구학교 선정
2019.08.01학교 외벽 도색작업, 배수구 덮개 정비
2019.02.20방과후 연계형 돌봄교실 구축
2018.11.21전 학년 학생사물함 교체, 음수대 교체공사
2018.08.30천정형 공기정화 장치설치
2018.05.21씨름장 고무기둥 안전 경계석 설치, 학습 준비물실 구축
2018.03.01제21대 김희숙 교장 부임
2017.03.012017학년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실습 협력학교 운영
2017.02.28도서관 확장사업(3실), 보건실 현대화 사업, 위클래스 설치, 서관 캐노피 설치
2016.12.31학교종합감사 우수기관 교육감표창
2016.03.01부산교육대학교 실습협력학교 운영
2014.03.01창의경영학교(건강증진 모델학교) 운영(3년차)
2013.03.04온종일 돌봄교실, 스마트교실 설치, 수석교사실 리모델링
2012.12.31학교경영우수 교육장 표창
2012.11.28부산연구학교박람회 개최(건강증진부문)
2012.11.14원북원부산 독서릴레이 우수기관 표창
2012.10.18통학로 모범운영학교 표창
2012.01.31학교중앙현관 리모델링
2011.07.11급식실 현대화사업
2011.03.02IPTV 활용 시범학교 지정 운영
2010.07.29다목적 강당(용호마루) 신축사업
2010.03.012010학년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실습 협력학교 재지정
2010.01.15학교외벽 도색작업
2009.12.312009년 우수 지식기관 교육감 표창
2009.09.01남관 교실, 복도 원목마루판 시공
2009.09.01급식실 식탁 및 의자 교체
2009.07.10영어체험실 현대화사업
2009.04.01제1과학실험실 현대화사업
2009.03.10방송실 현대화사업
2009.03.012009학년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실습 협력학교 지정
2008.12.312008학년도 학교평가 우수학교 수상
2008.04.14제2과학실험실 현대화사업
2007.12.31부산광역시교육청 지정 우수연구학교 교육감 표창
2007.10.10학교숲 가꾸기 연구학교 운영 보고
2007.09.06첨단컴퓨터실 조성
2007.08.31다목적실(미래관) 개축사업
2007.05.31도서실 리모델링 사업
2006.12.20교실수업개선 최우수학교 시상
2006.03.01녹색학교 2년차 운영, 원어민교사 영어교육 실시
2005.11.04교실수업개선 연구학교 발표
2004.01.29교원업무경감 최우수학교 수상
2003.03.01부산교육대학교 실습협력학교 운영
2002.03.01교실수업 중심학교 운영
2001.12.31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1999.12.08평생교육 시험학교 발표
1995.03.01에너지절약 시험학교 운영
1992.06.06전국 소년체전핸드볼 우승
1990.12.31학교체육활동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1982.02.24백운초등학교 분리
1979.02.23용산초등학교 분리
1964.09.22개교(7학급 350명, 대연교에서 분리)


3. 교훈 및 상징[편집]



3.1. 교표[편집]


파일:용호초 교포.png
  • ▶노란색은 부산 용호동의 명승지 오륙도와 갯벌을 나타내며, 파란색은 세계로 미래로의 영원한 발전을 상징함. 가운데 무궁화는 지속적으로 번창하는 용호초등학교의 힘찬 기상을 상징함.


3.2. 교화[편집]


파일:장미.jpg
  • 붉은 장미는 해맑고 아름다운 용호 어린이의 열정과 사랑을 상징한다.


3.3. 교목[편집]


파일:소나무.jpg
  • 항상 푸른색을 띠는 소나무의 기상은 굳은 절개와 의지를 상징한다.[3]


3.4. 교훈[편집]


세계를 향해 꿈을 펼치는 슬기롭고 참되며 힘찬 어린이



3.5. 교가[편집]


파일:용호초교가.png
https://youtu.be/zxKNny6-XW4[4]
[ 가사 펼치기 · 접기 ]
1절
동해의 푸른 물결 넘노는 고장
희망의 아침해가 솟아오른다
대지[1]의 정기가 한 곳에 모여
새 나라 새 일꾼이 자라나는 곳
용호는 우리 학교 길이 길이 빛내자[공통]
용호는 우리 학교 길이 길이 빛내자

2절
오륙도 찾아드는 들새들처럼
아침마다 모여드는 용호의 새싹
해륙의 정기를 한 몸에 받아
씩씩하게 자란다 우리의 희망
용호는 우리 학교 길이 길이 빛내자[공통]
용호는 우리 학교 길이 길이 빛내자
[1] [공통] A B



4. 학교 시설[편집]



4.1. 용호마루[편집]


남관 2층과 이어져 있는 2010년에 지어진 다목적 강당.
입학식, 졸업식, 학예회, 체육 수업[5]을 여기서 한다.

  • 구비 시설로는 샤워실, 화장실, 준비물 창고[6], 방송 준비실이 있다.[7],
  • 무대로 이어지는 제2창고대기실[8]이 있다.[9]
  • 무대 아래에 공간이 있다.[10] 서랍처럼 여닫을 수 있다.

  • 안전 뜀틀, 티볼 타격 연습용 네트[11], 침대구르기용 매트가 있다.
  • 구석에 하나씩 에어컨이 있다.
  • 천장에 빔 프로젝터가 부착되어 있고 따라서 무대 뒷쪽에도 반사판이 내려온다.
  • 2, 3층 커튼[12] , 무대 커튼은 전동이다. 각각의 리모컨으로 작동되는 듯.

저녁에는 배드민턴 동호회가 사용한다.
배드민턴 방과후반이 사용한다.
축구 방과후반이 우천 시 사용한다.


4.2. 미래관[편집]


2007년에 지어진 다목적실.[13] 보통 용호마루를 사용 중인 반이 있거나, 가벼운 활동, 용호마루에 없는 준비물[14]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문을 열고 들어오면 양쪽에 에어컨이 있고 앞에 무대가 있다.


4.3. 운동장[편집]


운동장이 정말 넓다. 여느 학교처럼 모두 모래로 이루어져 있다.

  • 오른쪽에는 철봉이 있다. 하지만 정말 더럽다.
    • 철봉 앞에는 단거리 달리기 트랙이 있다. 총 4레일. 이어달리기 트랙으로도 쓰기 위해 반원 라인이 양쪽에 있다.[15]

  • 왼쪽에는 농구 골대 2개가 있다. 농구장처럼 마주보고 있지 않고 둘 다 철봉 방향을 보고 있다.
  • 작은 씨름장도 있다. 철봉과 마찬가지로 더럽다.

교문이 항상 저녁까지 열려 있는데, 저녁에 운동하러 오시는 어르신들, 배드민턴 동호회를 위해 열어놓는 듯.


5. 사건 사고[편집]



5.1. 1980년 압사 사고[편집]


1980년 2월 11일 개학 조회를 참석하기 위해 내려오던 학생들이 계단에서 넘어져 5명이 사망하고 20명이 부상당했다. #


6. 출신 인물[편집]



[1] 기준 2023년[2] 기준 2023년[3] 원래는 가이즈카 향나무였으나, 일제잔재 청산을 이유로 2019년 변경했다.[4] 1절 밖에 녹음이 되어 있지 않다.[5] 가끔 운동장에서 할 때도 있다.[6] 축구공, 배구공, 피구공, 탱탱볼, 찜뿌공, 고깔, 배구 네트 등이 있다.[7] 모두 무대에서 바라볼 때 왼쪽에 있다.[8] 셔틀콕, 배드민턴 네트, 화이트보드가 있다.[9] 무대에서 바라볼 때 오른쪽에 있다. 문, 스위치와 가깝다.[10] 티, 티볼공, 베이스(루), 접이식 의자, 배드민턴 라켓이 있다.[11] 거의 축구 골대로 쓰인다. 롯데자이언츠의 것이다.[12] 무대를 제외한 3방 3층으로 설치되어 있다.[13] 용호마루보다 오래되었기도 하고 좁기 때문에 여기서 행사를 하지 않는다.[14] 탁구용품, 원반, 난타[15] 트랙 라인이 땅에 박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