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월롱역

덤프버전 :

월롱역
(서영대학교)
파일:GJLine_icon.svg
서울·지평 방면
금 촌
4.1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Wollong[1]
한자月籠
간체자月笼
가나月籠(ウォルロン
주소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통일로 980 (위전리 168-3)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위탁역)
(문산역 관리 / 코레일 서울본부)
운영 기관
경의선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의선1998년 1월 17일
경의선2009년 7월 1일
경의·중앙선2014년 12월 27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승강장 구조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경의선
월 롱

이 역과 금촌역 사이에 영태역이 신설 검토 중이다.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 교통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월롱역2.jpg
월롱역사

출발은 늦었지만 성장은 무럭무럭

월롱역은 1998년 무배치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오랫동안 지역 주민들이 기다려왔던 역이다. 인근 파주역이 파주읍 방향으로 이전되면서 현재의 자리에 신설되었다. 2000년 문산 지구 수해방지 공사로 일시적으로 영업을 중지하였으며,2007년 현재의 역사로 새롭게 신축, 준공되었다. 작은 규모로 시작한 역사이지만 2009년 경의선 전철이 개통되고 인근에 대학과 LG디스플레이 공장이 있어 유동인구가 특히 많은 역사로 손꼽힌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333번.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통일로 980(위전리 168-3) 소재.

부역명은 2013년 8월 15일부터 달렸는데, 서영대학교이며,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따라 부역명을 샀다.


2. 역 정보[편집]


파주시에서 LG디스플레이를 월롱면에 유치하면서[2] LG 출퇴근용으로 역이 필요하다고 해서 월롱역이 생기게 된 것이다. 월롱역이 생기기 전의 파주역은 월롱면 주민과 파주면 주민의 역 유치 운동으로 인해 현재의 파주역와 월롱역 중간점에 있었는데, 월롱역이 생기면서 파주역이 현 위치로 이전되었다. 역사는 2006년에 완공되었다.

역명에 잘 쓰이지 않는 한자(, )[3]가 있다보니 코레일 발매기에 월으로 나오는 것도 있었다.[4] 현재는 대부분 수정되었다.

2014년 하반기부터 2015년 7월 2일까지 에스컬레이터 및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를 하였다. 기존 승강장 북측으로 임시승강장을 짓고 선로를 임시로 철거하고 철거한 자리에 선로를 재배치해서 월롱화물취급소[5] 쪽에 더욱 가까이 붙여서 조정하는 방식으로 공사가 진행되었다. 아무래도 화물철도를 취급함에 있어서 문제가 있었던 모양이다. 2015년 말 완공 목표로 공사중이었으나 다행히 공사진척이 상당히 빨라서 2015년 7월 3일에 준공되었다.[6]

월롱역의 역 번호는 K333이고 다음역인 금촌역은 K331이다. 그 사이에 비어있는 번호가 있는데, 월롱역과 금촌역 사이에 먼 역간거리와 미군기지가 나간 이후 들어올 대학 캠퍼스를 위해 신설 추진중이라고한다. 현재 한국폴리텍대학을 일부 지역에 유치했으나 이것만으로는 역을 신설하기에 수요가 부족하다. 원래 이 부지에는 이화여대 파주캠퍼스가 예정되어 있었고 파주시에서 추가역을 개설할 계획이었으나 2011년 8월 이대 측에서 사업을 포기하고 일부 부지에 한해 한국폴리텍대학을 뒤늦게 유치하였으나 대부분의 부지는 현재 빈 땅으로 남아 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부역명인 서영대학교는 도보로 대략 1시간 30분이나 걸리는 곳에 있다. 월롱역에서 파주 버스 17파주 버스 069 노선 등을 타고 접근 가능하다.

금촌역과 이 역에서 LG디스플레이로 가는 셔틀버스가 운행한다.

월롱역 옆에 월롱화물취급소라는 건물이 있어서 북한으로 가는 원조물자를 취급하고 있으며 주로 비료와 쌀이 많이 온다. 그리하여 남북관계가 경색되기 전에는 밤에 가끔 용산역에서 출발한 화물열차가 이 역에 와서 쌀을 싣고 도라산역에서 대기하다가 아침에 북한으로 올라가기도 했었다.

출구는 하나밖에 없으며 왼쪽으로 나가면 택시정류장이 있다.[7] 주로 LG디스플레이 직원들과 부대 복귀 군인, 예비군 훈련 가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한다. 예비군 훈련장 가는 셔틀버스는 역 건너편에 있다. 모르겠으면 그냥 예비군들을 따라가자. 오른쪽으로 나가면 시내버스 정류장과 서영대학교 방면 전용 마을버스 정류장이 있다.

여기 정말 시골이다. 서울역에서 1시간 정도 거리로 서울 근교권인데도 수도권이라고 하기에는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 시골이다. 오죽하면 병원도 없어서 월롱면 자체가 의약분업 예외지역이다. 전철 들어가는 동네에 의약분업 안 하는 곳이 있다는 것도 아이러니다. 만에 하나 응급환자가 생기면 문산이나 금촌으로 가야 한다. 이쪽 지역에서 119를 부르면 문산이나 금촌 쪽 병원으로 후송한다.[8] 만약 역세권 바람 타고 그린벨트 풀리면 상황은 달라질 듯 하다.

파주여자고등학교파주광일중학교를 비롯한 영태2리나 영태5리 지역은 월롱면임에도 불구하고 이 역보다 금촌역이 훨씬 가까우며, 위전리와 인접한 영태1리 지역은 이 역이 더 가깝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GJLine_icon.svg비고
2009년1,806명[9]
2010년2,871명
2011년3,812명
2012년3,666명
2013년4,176명
2014년4,412명
2015년4,623명
2016년4,838명
2017년5,279명
2018년5,315명
2019년4,887명
2020년3,387명
2021년3,797명
2022년4,823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면에 위치한 역임에도 무임승차 비율이 굉장히 낮고 주변 역세권이 처참한 데 비해서는 이용객이 꽤 있다. 그 이유는 역 이용객의 대부분이 근처 LCD 단지 등의 노동자와 서영대 학생들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예비군 훈련장 셔틀버스가 월롱역에 오기 때문이기도 하고 바로 근처 LCD 단지가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에서 손꼽는 LCD 단지여서 직원이 매우 많은데 월롱면 전체 인구(13,000명)가 디스플레이 단지 근무인원(30,000명)보다 적을 정도로 워낙 깡촌이다보니 여러 가지를 해결하려면 무조건 외부로 나가야 하는데, 이들에 한해 전철이 매우 사랑받고 있다. 덕분에 곡산역 못지않은 역세권을 가지고 있음에도 이용객 수는 근처 파주역을 가뿐히 발라버릴 정도로 많으며, 경의중앙선 직결 후에는 비록 휴일 한정이긴 하지만 경의선 서울역의 승하차량을 넘어서고 있다.
  • 금촌역 이남 지역에 비해 인구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뎠다. 서울로 나가는 버스가 발달한 금촌역 이남과 달리, 여기는 서울과의 거리가 비교적 먼데다 인구가 적어서 서울로 가는 길이 보다 불편했기 때문에 일찍이 경의선으로 쏠리는 수요가 많았기 때문이다.
  • 물론 어디까지나 상대적일 뿐, 상대적으로 이용률이 조금씩 높아지는 것은 사실이다. 2017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은 5,279명으로 5,000명 고지를 넘었으며, 이 숫자는 신촌역, 서강대역, 수색역서빙고역, 응봉역, 양원역 등 서울시내 상당수의 경의·중앙선 역보다 높다. 경의선 서울역과의 격차도 1천명이 되지 않으며, 휴일에는 서울역보다도 이용객이 많다.[10] 코레일의 2016년 수송통계에서는 일평균 수송인원(승차+유입)에서 월롱역이 2,864명으로 2,368명에 그친 경의선 서울역을 앞서고 있으며, 경의선 서울역의 한시적 단축 운행 기간[11]의 통계를 배제하더라도 월롱역이 서울역보다 61명이 많다.


5. 승강장[편집]



파주
||4321
금촌

1·2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완행금촌·일산·서울역·용문 방면
3·4완행파주·문산 방면

실질적으로는 가운데의 2,3번 승강장만 사용중이다. 스크린도어도 2,3번 승강장에만 가동 중이며 1,4번 승강장은 펜스로 막혀 있다.

6. 연계 교통[편집]


파일:월롱역버스지도.png

월롱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구분노선
① 월롱역
(31173)
마을
시내
직행좌석
공항
② 월롱역(마을)
(31348)
마을
③ 월롱역
(31171)
마을
시내
직행좌석
공항
④ 월롱역.월롱파출소
(31169)
마을
⑤ 월롱역.월롱파출소
(30788)
마을

[1] LED 안내기 탑재 차량 기준, 전동차 내에서는 'WOOLLONG'으로 오기재되었다.[2] 헌데 LG는 정작 파주역에서 더 가깝다.[3] 대그릇 롱(籠) 자를 쓰는데, 농구할 때 그 농이다. 참고로 개롱역도 籠 자를 쓴다.[4] 가끔 다이어리 같은 곳에 첨부되어 나오는 노선도에도 월으로 나오는 것이 있다.[5] 파주 북쪽에 있는 컨테이너 야적장[6] 「경의선 월롱역 여객이동편의시설 3일부터 이용」, 2015-07-02, 아시아경제[7] 파주시에서는 파주시청의 제재로 인해 카카오택시를 이용할 수 없으며, 전화로만 콜을 부를 수 있다. 콜비도 1000원이 합산되니, 택시 정류장이 있어 택시가 대기하고 있는 것을 고맙게 여겨야 할 일이다.[8] 물론 접합수술 등은 짤없이 닥터헬기로 국립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이나 일산백병원, 화정 명지병원, 신촌 세브란스병원 등으로 후송이 불가피하다.[9] 개통일인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0] 최소 일산역까지 가는 평일과 달리, 휴일에는 서울역 지선 열차의 대부분이 대곡역 착발이라 곡산 이북에서는 사실상 없는 열차나 다름없는 신세가 되었기 때문이다.[11] 2016년 5월 16일~동년 7월 15일


7. 둘러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