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윤석주(축구선수)

덤프버전 :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김천 상무 FC 2023 시즌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단장 이재하 · 감독 정정용 · 수석 코치 성한수 · 코치 김치우 · 신상우
골키퍼 코치 정성윤 · 피지컬 코치 심정현 · 물리 치료사 김영효
의무 트레이너 남기원 · 전력 분석관 김민혁 · 부사관 유로몬
1 문경건(VC) · 6 임승겸(VC) · 7 최병찬 · 11 이유현 · 12 김륜성
14 윤석주 · 17 김준범 · 18 신송훈 · 19 이지훈 · 20 이준석 · 23 박민규 · 24 윤종규
25 김현욱 · 26 원두재(C) · 27 조영욱 · 28 김태현 · 29 정치인 · 30 김동현 · 31 강현무 · 32 김진규
34 김재우 · 35 이상민 · 36 구본철 · 37 이중민 · 38 김민준 · 39 강현묵 · 40 이영준 · 41 김준홍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김천 상무 No. 14
윤석주
尹碩珠 | Yoon Suk-Ju
출생2002년 2월 25일 (22세)
부산광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 조건178cm, 69kg
포지션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등번호포항 스틸러스 - 29번
경남 FC - 24번
김천 상무 FC - 39번(2022시즌), 14번(2023시즌)
학력포철동초 - 포철중 - 포철고
소속팀포항 스틸러스 (2021~)
경남 FC (2021 / 임대)
김천 상무 FC (2022~2023 / 군 복무)
국가대표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2경기 (대한민국 U-23 / 2022~)
가족아버지 윤희준, 어머니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4. 기록
4.1. 대회 기록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현재 김천 상무 FC 소속.


2. 선수 경력[편집]



2.1. 클럽 경력[편집]



2.1.1. 포항 스틸러스[편집]


파일:pohang_2021_29.png

비록 부산 아이파크 U-12 팀에서 축구를 시작했지만 초등학교 6학년에 포철동초로 전학간 뒤 홍윤상, 김준호 등과 함께 포철동초부터 포항의 유스 시스템에서 성장한 성골 유스이다.

포철고 3학년에는 팀의 주장을 맡아 제75회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 겸 2020 전국고등축구리그에서 대회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2020년 12월 4일, 포철고 동기 오재혁, 홍윤상, 김륜성, 김준호, 최민서와 함께 포항 스틸러스우선지명을 받고 1군으로 공식 콜업되며 프로 선수가 됐다.

이명주의 번호인 등번호 29번을 배정받으며 기대를 모았다.

2.1.1.1. 경남 FC 임대[편집]

하지만 프로에서의 첫 시즌 대부분의 선수들이 그렇듯이 1군에서 자리를 잘 잡지 못했고, 이에 경기 경험을 쌓기 위해 2021시즌 여름 이적시장에서 K리그2경남 FC로 임대를 떠났다. 등번호 24번.

7월 12일 K리그2 20라운드 안산 그리너스 원정 경기에서 풀타임을 소화하며 프로 데뷔전을 치렀고, 70분에 윌리안의 만회골을 어시스트 하며 프로 데뷔전에서 프로 첫 공격포인트를 기록했다.

이후 U-22 자원으로서 설기현 감독의 중용을 받았으나 10월 2일 서울 원정에서 선발 출전해 25분 만에 부상으로 아웃되고 그대로 시즌 아웃되며 아쉬운 마무리를 거뒀다.

2021시즌 경남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포함해 9경기 1도움.

2.1.1.2. 김천 상무 FC[편집]

2022 시즌 포항으로 복귀 후에도 1군에선 아예 기회를 얻지 못했고, 중고교 동기 김륜성과 함께 김천 상무 추가지원에 합격하면서 오는 6월 13일에 입대했다.

2022 시즌 등번호 39번을 받았고, 광복절 서울과의 홈경기에 후반 막판 교체 투입하며 김천 데뷔전이자 K리그1 데뷔전을 치렀다.

U-22 룰의 혜택을 받으며 K리그1 12경기, 대전과의 승강 플레이오프 1경기 등 총 13경기에 나섰으나 팀의 강등을 막지 못해 2년 만에 K리그2로 복귀하게 됐다.

2023 시즌을 앞두고 포철고에서 달던 등번호 14번을 달았다.

하지만 시즌 내내 주전 경쟁에서 아예 밀리며 FA컵에서만 출전 기회를 얻었고 5월까지 리그에서 한 경기 출전에 그쳤다.

그러나 정정용감독 부임과 6월 최선임급들의 전역이 맞물리며 5월부터 출전 기회를 얻어가고 있다.

7월 1일 부천 FC 1995원정에서 하프타임에 김진규와 교체돼 투입했고 후반 16분 조영욱에게 스루패스를 연결하며 김천 소속 첫 공격 포인트를 기록했다.

김천의 국가대표급 3선 라인업인 주장 원두재, 김진규, 강현묵, 김동현과 경쟁하며 많은 기회를 받지는 않았지만 U-22 자원으로서 간간히 출전 기회를 얻고 있다.

11월 26일 서울과의 홈경기에서 전역식을 치뤘으며 이날 김천이 극적인 역전 우승을 거두며 프로 데뷔 첫 우승을 경험했다.

김천에서 K리그1 12경기, 승강 PO 1경기, K리그2 16경기, FA컵 2경기에 나섰다.

2.1.2. 통산 클럽 기록[편집]


2023년 9월 20일 기준

시즌소속리그클럽리그FA컵대륙대회합계
경기득점도움경기득점도움경기득점도움경기득점도움
2021K리그2경남 FC (임대)901--901
2022K리그1김천 상무 FC (입대)1200--13100
2023K리그21601200-1801
합계37022000003902

1: 승강 PO 1경기



2.2. 국가대표 경력[편집]



2.2.1. 2019 FIFA U-17 월드컵 브라질[편집]


등번호 6번을 받았다.

8강까지 5경기에 모두 풀타임을 소화하는 등 팀의 핵심 자원으로 활약했다. 특히 백상훈, 오재혁과 중원 주전조로 활약했고 두 선수가 메짤라로 움직였다면 윤석주는 후방에서 든든한 수비력과 안정감 있는 빌드업을 선보이며 8강 진출이라는 대업에 기여했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충실한 기본조건을 갖추었다. 커팅 능력이 우수하고 정확한 킥을 바탕으로 한 빌드업 능력이 좋으며 수비에서 공격으로의 전환 속도도 빠르다.


4. 기록[편집]



4.1. 대회 기록[편집]




5. 여담[편집]


  • 황선홍 감독 시절 포항의 코치로 있었던 윤희준[1] 코치의 아들이다.


6.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margin: -10px -10px -5px; padding: 2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D313A 0%, #CD313A 30%, #CD313A 70%, #CD313A)"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wiki style="margin-top: -12px; float: right"
[[대한축구협회|[[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align=right&height=75]]]]
{{{#!wiki style="margin:-5px -10px; float: center"{{{#!wiki style="margin:-5px -10px; float: center"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김정수호
(2019 FIFA U-17 월드컵 브라질 - 최종 명단)}}}}}}
1 신송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D313A; font-size: .8em"
C}}} · 2 이태석 · 3 손호준 · 4 이한범 · 5 홍성욱 · 6 윤석주 · 7 김용학
8 오재혁 · 9 최민서 · 10 홍윤상 · 11 정상빈 · 12 유승현 · 13 김륜성 · 14 이준석
15 방우진 · 16 엄지성 · 17 이종훈 · 18 문준호 · 19 백상훈 · 20 이승환 · 21 김준홍
{{{#0B090C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
[[코치|{{{#ffffff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정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수석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최철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
{{{#ffffff {{{-2 스태프}}}}}}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백영철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서동명}}}


[ 펼치기 · 접기 ]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입단 연도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윤평국YOON Pyeongguk1992년 2월 8일189cm, 88kg2022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심상민SIM Sangmin1993년 5월 21일172cm, 78kg2019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용환KIM Yonghwan1993년 5월 25일175cm, 67kg2019
5파일:호주 국기.svgDF그랜트Alexander Ian GRANT1994년 1월 23일191cm, 82kg2021
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종우KIM Jongwoo1993년 10월 1일181cm, 70kg2023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인성KIM Insung1989년 9월 9일180cm, 74kg2023
8파일:브라질 국기.svgMF오베르단Oberdan Alionço DE LIMA1995년 7월 30일175cm, 70kg2023임대
9파일:브라질 국기.svgFW제카José Joaquim DE CARVALHO1997년 3월 10일192cm, 83kg2023
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백성동BAEK Sungdong1991년 8월 13일167cm, 66kg2023
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고영준GOH Youngjun2001년 7월 9일168cm, 69kg2020
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승대KIM Seungdae1991년 4월 1일175cm, 64kg2022[b]주장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신원철SHIN Wonchul2000년 4월 2일175cm, 70kg2023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승욱PARK Seungwook1997년 5월 7일184cm, 78kg2021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한찬희HAN Chanhee1997년 3월 17일185cm, 75kg2023
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신광훈SHIN Kwanghoon1987년 3월 18일178cm, 73kg2021[c]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강현제KANG Hyeonje2002년 8월 31일183cm, 75kg2023
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윤민호YOON Minho1999년 10월 17일170cm, 64kg2022
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찬용PARK Changyong1996년 1월 27일186cm, 81kg2022
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황인재HWANG Injae1994년 4월 22일188cm, 80kg2020
22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건우PARK Keonwoo2001년 8월 9일171cm, 70kg2022
2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조재훈CHO Jaehun2003년 6월 29일180cm, 71kg2021
2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정재희JEONG Jaehee1994년 4월 28일174cm, 70kg2022
2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정현KIM Junghyun2004년 6월 29일183cm, 73kg2023
2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박형우PARK Hyeongwoo2004년 9월 13일173cm, 68kg2023
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윤재운YOON Jaewoon2002년 4월 1일177cm, 77kg2023
32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이승환LEE Seunghwan2003년 4월 5일186cm, 78kg2022
33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이호재LEE Hojae2000년 10월 14일192cm, 84kg2021
3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규백LEE Gyubaeg2004년 2월 10일185cm, 83kg2022
3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홍윤상Hong Yunsang2002년 3월 19일178cm, 68kg2021
4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조성훈CHO Sunghoon1998년 4월 21일189cm, 85kg2019
44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송한록SONG Hanrok2004년 1월 7일182cm, 76kg2023
4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하창래HA Changrae1994년 10월 16일188cm, 82kg2018부주장
5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최현웅CHOI Hyeonwoong2003년 10월 9일188cm, 76kg2023
6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준호KIM Junho2002년 12월 11일182cm, 70kg2021
77파일:브라질 국기.svgFW완델손WANDERSON[d]1989년 03월 31일172cm, 60kg2019
8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규표KIM Kyupyo1999년 2월 8일176cm, 70kg2019
95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양태렬Yang Tae-Ryoul1995년 5월 25일179cm, 73kg2018
구단 정보
대표이사: 최인석 / 감독: 박태하 / 홈구장: 포항스틸야드
출처: 포항 스틸러스 홈페이지
[b] 유스 출신으로 2013년 포항에서 프로데뷔[c] 유스 출신으로 2006년 포항에서 프로데뷔[d] 풀 네임은 Wanderson Carvalho DE OLIVEIRA






[1] 부산 아이파크에서 10년 간 프로 생활을 하며 주장으로 활약하기도 한 부산의 레전드. 전남 드래곤즈에서 프로 은퇴했으며, K리그 & 리그컵 통산 252경기를 뛴 수비수였다. 2021년 제주한라대학교 축구부 초대 감독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