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음악에 등장하는 실존 지명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한반도
2.1. 서울특별시
2.2. 인천광역시
2.3. 경기도
2.4. 강원도
2.5. 충청도
2.6. 경상도
2.6.1. 부산광역시
2.6.2. 대구광역시
2.6.3. 울산광역시
2.6.4. 경상남도
2.6.5. 경상북도
2.7. 전라남도
2.8. 전라북도
2.9. 제주도
2.10. 평안도
2.11. 함경도
2.12. 황해도
2.13. 기타
3. 외국
3.1. 아시아
3.2. 유럽
3.3. 북아메리카
3.4. 남아메리카


1. 개요[편집]


음악에서 주요 배경으로 등장한 각지의 실존 배경 일람.


2. 한반도[편집]



2.1. 서울특별시[편집]


가수곡목가사
강홍식유쾌한 시골영감 (서울구경)이럭저럭 서울에는 도착했으나
검정치마내 고향 서울엔
고운봉명동 부르스궃은비 오는 명동의 거리
규현광화문에서
김건모서울의 달[1]
김승덕아베 마리아명동성당 근처에서 쓸쓸히 헤어졌네
김연자영동 부르스그날 밤 터미널엔 비가 내렸지
김연자아침의 나라에서오오 ~ 서울 코리아
김현철서울도 비가 오면 괜찮은 도시
김흥국59년 왕십리
나훈아남자의 인생광화문사거리봉천동까지 전철 두 번 갈아타고
홍대에서 버스타고 쌍문동까지 서른아홉 정거장
남백송, 심연옥전화통신여기는 청파동 청년 박이오
도미하이킹의 노래도봉산은 부른다 북악산도 부른다
동물원시청앞 지하철역에서
혜화동
[혜화동]: 어릴 적 함께 뛰놀 던 골목길에서 만나자 하네/덜컹거리는 전철을 타고[2]
루이스중화반점서울 마포구 아현동 중화반점
마크툽Subway Girl그때가 홍대에서 강남가는 2호선 지하철 안이었지
문주란공항대합실
공항에 부는 바람
공항의 이별
김포가도[3][4]
양재동 거리
문희옥강남 멋쟁이
사랑의 거리
[사랑의 거리] : 여기는 남서울 영동 사랑의 거리 [5]
바니걸스김포공항
박은옥서울의 달
박향림오빠는 풍각쟁이명치좌[6] 구경 갈 땐 혼자만 가구
방병영 보이즈나는 환승역이었네당산역에서 신도림역에서 등 서울의 환승역들
방실이서울 탱고
백난아서울의 로맨스
백년설나그네 설움낯 익은 거리다마는 이국보다 차워라[7]
백지영새벽 가로수길
버스커 버스커서울 사람들
브라운 아이즈비오는 압구정
배호돌아가는 삼각지
비 내리는 명동거리
안개 낀 장충단공원
서태지, 아이유소격동
설운도나침반종로로 갈까요 명동으로 갈까요 차라리 청량리로 떠날까요 [8]
소울스타강남역 10번 출구
싸이강남스타일오빤 강남스타일
심연옥한강못잊을 한강수야 옛꿈 싣고 흐른다
안다성, 박재란서울의 애인들
여운삼일로
오렌지 캬라멜강남거리
유산슬합정역 5번 출구너는 상수 나는 망원 한정거장 전에 내려
은방울자매마포종점밤깊은 마포종점 갈곳없는 밤전차
이문세광화문 연가덕수궁 돌담길에 아직 남아 있어요 / 눈내린 광화문 네거리 이곳에
이미자서울이여 안녕
이용서울종로에는 사과 나무를 심어 보자
이은하지하철을 타고종로에서 시흥[9]까지 / 남영 지나 용산역에 도착하니
이인권미사의 노래저 멀리 니콜라이 종소리 처량한데[10]
이효리서울
이해연단장의 미아리고개
일기예보좋아 좋아룰루랄라 신촌을 누비는
자우림일탈신도림역 안에서 스트립쇼를
장동휘소공동 노신사
장세정울어라 은방울울어라 은방울아 세종로가 여기다
장철웅서울 이곳은
정종숙무교동 이야기
정형돈강북멋쟁이강동은 강동의 이쁜이 있고 강서는 강서의 귀요미 있고 강남은 강남의 스타일 있고 강북은 강북의 멋쟁이 있지
정태춘, 박은옥92년 장마, 종로에서
서울역 이씨
조용필서울 서울 서울서울 서울 서울 아름다운 이 거리 서울 서울 서울 그리움이 남는 곳 서울 서울 서울 사랑으로 남으리
조항조사랑찾아 인생찾아서울 하늘 하늘 아래서 내 꿈도 가까이 온다
주현미비 내리는 영동교
신사동 그 사람
이태원 연가
지성우리의 서울
진방남꽃마차노래하자 꽃서울 춤추는 꽃서울 [11]
진송남덕수궁 돌담길
잘 있거라 공항이여
채규엽서울 노래
최헌HI SEOUL
최희준진고개 신사
처진 달팽이압구정 날라리
서울 구경[12]
토이오늘 서울은 하루 종일 맑음
포스트맨신촌을 못 가
패티김서울의 찬가
서울의 모정
한복남저무는 충무로
한혜진서울의 밤
현인럭키서울
서울야곡
형돈이와 대준이올림픽대로
혜은이덕수궁의 돌담길
제3한강교
UV이태원 프리덤
YMO京城音楽
Zion.T양화대교아버지는 택시 드라이버 어디냐고 물어보면 항상 양화대교
015B1월부터 6월까지이촌동 그 길 아직도 지날 땐
5월종로에서
(민요)경복궁타령
(민요)노들강변
(영화 괴물 OST)한강찬가


2.2. 인천광역시[편집]


가수곡목가사
김트리오연안부두말해다오 말해다오 연안부두 떠나는 배야/저무는 연안부두 외로운 불빛
박경원이별의 인천항
보이비현대 유니콘스인천에는 지하철도 없었네 / 친구들과 도원야구장 앞에 서서
주현미내고향 인천항
월미도를 아시나요
최숙자눈물의 연평도
UV인천대공원
(만담)원자폭소 대잔치인천 앞바다에 사이다가 떴어도
(구전가요)성냥공장 아가씨[13]인천의 성냥공장 성냥공장 아가씨


2.3. 경기도[편집]


가수곡목가사
AKMUDINOSAUR나의 옛날 동네 옛날 동네 반지하엔[14]
이미자수원처녀
이인권선죽교
장범준일산으로
(미상)임진강
(민요)경기 아리랑
(민요)개성 난봉가


2.4. 강원도[편집]


가수곡목가사
김태희소양강 처녀해 저문 소양강에 황혼이 지면 외로운 갈대 밭에 슬피 우는 두견새야
김현철춘천가는 기차힘들게 올라탄 기차는 어딘고 하니 춘천[15]
나훈아강촌에 살고 싶네
바니걸스화진포에서 맺은 사랑
송가인비 내리는 금강산
양희은한계령
이해연한 많은 영동땅
창고강릉으로 가는 차표 한장을 살께
(가곡)그리운 금강산이제야 자유만민 옷깃 여미며 그 이름 다시 부를 우리 금강산/비로봉 그 봉우리 짓밟힌 자리/기괴한 만물상과 묘한 총석정/장안사 자고향도 예대로인가
(광고)야호 나는 대관령이 좋아
(동요)금강산
(민요)강원도 아리랑
(민요)정선 아리랑


2.5. 충청도[편집]


가수곡목가사
금잔디청풍명월남한강 굽이굽이 그림같은 청풍호[16]
김상진이정표 없는 거리[17]바로가면 경상도길 돌아가면 전라도길 이정표 없는 거리 저리가면 충청도길
김하정금산 아가씨
남상규추풍령
박경원만리포 사랑
박재홍울고 넘는 박달재
버스커 버스커꽃송이가[18]
벚꽃엔딩[19]
야우리송[20]
[꽃송이가]: 단대호수 걷자고 꼬셔
송춘희수덕사의 여승
안정애대전부르스[21]
오기택충청도 아줌마
이인권꿈꾸는 백마강
조미미서산 갯마을
조영남내 고향 충청도, 삽다리
주병선칠갑산
주현미월악산
탄금대 사연
허민백마강
(민요)흥타령[22]


2.6. 경상도[편집]


가수곡목가사
김상희경상도 청년
박재홍경상도 아가씨
황정자처녀 뱃사공낙동강 강바람이 치맛폭을 스치면
최숙자나룻배 처녀낙동강 푸른 물에 노 젓는 처녀사공


2.6.1. 부산광역시[편집]


가수곡목가사
강병철과 삼태기항구의 일번지여기가 부산항인가 / 사랑의 일번지는 남포동이 아니더냐
고봉산아메리칸 마도로스
용두산 엘레지
[아메리칸 마도로스]: 무역선 오고가는 부산항구 제2부두
김수희남포동 부르스
김장수그때 그 부산
나훈아내 고향은 부산입니더
자갈치 아지매
남인수울며 헤진 부산항
이별의 부산정거장
돌브레인더위 먹은 갈매기38도 39도 불타는 광안리
레게 강 같은 평화부산 바캉스Everybody come to 해운대!! (Oh, Oh)
Everybody come to 광안리!! (Oh, Oh)
Everybody come to 동백섬!! (Oh, Oh, Oh, Oh)
부산 바캉스!!
Everybody come to 남포동!! (Oh, Oh)
Everybody come to 자갈치 시장!! (Oh, Oh)
문성재부산 갈매기부산 갈매기 부산 갈매기 너는 정녕 나를 잊었나
방운아부산 행진곡
백야성잘 있거라 부산항
손인호함경도 아가씨
해운대 엘레지
[함경도 아가씨]: 부산항구 갈매기의 노래소리 슬프구나 영도다리 난간에서 누구를 기다리나 / 동아극장 그림같은 피눈물젖은 고향꿈
순순희광안대교
서면역에서
해운대
윤시내부산찬가[23]여기는 부산 희망의 고향 꿈 많은 사람들이 정답게 사는 곳
윤일로추억의 영도다리
이혜리자갈치 아지매
조용필돌아와요 부산항에[24]꽃피는 동백섬에 봄이 왔건만
형제 떠난 부산항에 갈매기만 슬피우네
오륙도 돌아가는 연락선마다/돌아와요 부산항에 그리운 내 형제여
허민마음의 부산항
현당태종대의 밤[25]
현인굳세어라 금순아이 내 몸은 국제시장 장사치기다


2.6.2. 대구광역시[편집]


가수곡목가사
김수찬대구 아가씨
리듬파워동성로
유유정내 사랑 팔공산
장민대구 머스마
조은성팔공산
패티김능금꽃 피는 고향대구는 내 고향 정다운 내 고향
현인비내리는 고모령
(가곡)동무생각청라언덕 위에 백합 필 적에


2.6.3. 울산광역시[편집]


가수곡목가사
김상희울산 큰 애기
오은정울산 아리랑
윤수일태화강 연가
황금심울산 아가씨[26]


2.6.4. 경상남도[편집]


가수곡목가사
강은철삼포로 가는 길[27]
고운봉남강의 추억
나현재통영 아가씨
노브레인Come on Come on 마산스트리트여
박재홍돌아가자 하동포구
송창식밀양 머슴 아리랑
은방울자매삼천포 아가씨
이규남진주라 천리길
이미자삼백리 한려수도
황포돛대[28]
[삼백리 한려수도]: 노을진 한산섬에 갈매기 날으니
하춘화마산항엔 비가 내린다
하동포구 아가씨
(민요)무안 용호놀이
(민요)밀양 아리랑
(민요)진주난봉가


2.6.5. 경상북도[편집]


가수곡목가사
도미신라의 북소리말고삐 매달리며 이별하던 반월성 / 궁녀들의 눈물이냐 첨성대별은
백년설복지만리포석정 놀이터엔 / 안압지라 거울에는
원방현봉덕사의 종소리
이시스터즈울릉도 트위스트
이화자가거라 초립동문경새재 넘어간다
정광태독도는 우리땅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동경 백삼십이 북위 삼십칠 평균기온 십삼도 강수량은 천팔백 독도는 우리땅
조미미바다가 육지라면[29]
진성안동역에서
최백호영일만 친구
현인신라의 달밤
불국사의 밤
[신라의 달밤]: 아 신라의 밤이여 불국사의 종소리 들리어 온다/고요한 달빛 어린 금오산 기슭에서 노래를 불러 보자
홍인숙부석사의 밤


2.7. 전라남도[편집]


가수곡목가사
남진내 사랑 고흥
버스커 버스커여수 밤바다
손인호눈물의 목포항
송춘희영산강 처녀
이난영목포는 항구다
목포의 눈물
이미자낭주골 처녀
동백꽃 피는 항구
유달산아 말해다오
흑산도 아가씨
[낭주골 처녀]: 월출산 신령님께 소원 빌었네 / 용당리 나룻배로 오실 그 님을[30]
[동백꽃 피는 항구]: 진남관 바라보며 꿈을 그리던[31]
장윤정목포행 완행열차
최정자목포의 설움
하사와 병장해남 아가씨
하춘화영암 아리랑
(민요)조도닻배노래
(민요)진도 강강술래
(민요)진도 다시래기
(민요)진도 둥덩기타령
(민요)진도 방아타령
(민요)진도 상여소리 [진도의]
(민요)진도 씻김굿 [진도의]
(민요)진도 아리랑
(민요)진도 오곡타령


2.8. 전라북도[편집]


가수곡목가사
김용만남원의 애수
김용임내장산
김태곤송학사
나훈아고향역[32]
박지연무주 구천동
손인호비 내리는 호남선
중식이나는 반딧불우주에서 무주로 날아온
황정자남원의 봄사건
(민요)남원산성


2.9. 제주도[편집]


가수곡목가사
남인수서귀포 칠십리
이해연제주 뱃사공[33]
조미미서귀포를 아시나요[34]
최성원제주도의 푸른 밤[35]떠나요 둘이서 모든 것 훌훌 버리고 제주도 푸른 밤 그 별 아래
황금심삼다도 소식
혜은이감수광[36]
(민요)검질매는 소리[37]
(민요)너영나영[38]
(민요)멜 후리는 소리[39]
(민요)영주십경가
(민요)이어도 사나


2.10. 평안도[편집]


가수곡목가사
나훈아대동강 편지
평양 아줌마
손인호한 많은 대동강
유세윤평양냉면
이해연내가 마지막 본 평양
최갑석평안도 사나이
한정무대동강 달밤
(민요)양산도양덕 맹산 흐르는 물은 감돌아든다 하고 부벽루하로다
(북한가요)지새지 말아다오 평양의 밤아


2.11. 함경도[편집]


가수곡목가사
강산에라구요...
명태
[라구요...]: 두만강 푸른물에 / 눈보라 휘날리는 바람찬 흥남부두[40]
[명태]: 함경도 명천지방에 사는 태씨 성의 어부가[41]
김정구눈물젖은 두만강
이해연뗏목 이천리
압록강 칠백리
한 많은 영동땅
[뗏목 이천리]: 압록강 이천리에 뗏목이 뜬다
[한 많은 영동땅]: 관북땅 문안가던 저 강남제비
백년설만포진 길손
채규엽명사십리
현인굳세어라 금순아눈보라가 휘날리는 바람찬 흥남부두에
(민요)신고산 타령
(북한가요)대홍단 감자둥글둥글 왕감자 대홍단 감자 너무 커서 하나를 못 다 먹겠죠


2.12. 황해도[편집]


가수곡목가사
이애리수황성옛터[42]황성옛터에 밤이 되니 월색만 고요해
이해연황해도 노래
(민요)군밤타령연평바다에 어허라얼싸 돈바람 분다
(민요)몽금포타령
(민요)연평도 난봉가[43]
(민요)해주아리랑


2.13. 기타[편집]


가수곡목가사
김상희관광열차천안도 삼거리부여 낙화암 / 대전역 세갈래에 이별 슬픈 목포항 /
다도해 섬을 돌아 삼천포 부두 / 부산항 뒤에 두고 굽이 굽이 낙동강
김수희남행열차비 내리는 호남선 남행열차에
김혜연서울 대전 대구 부산
남백송서울행 삼등실광주야 잘 있거라 / 이리야 잘 있거라 / 대전아 잘 있거라
남백송, 심연옥전화통신아베크는 대천 바다 인천 월미도
박향림코스모스 탄식웃으며 헤어지던 두만강 다리 / 해란강에 비가 올제 다정턴 님도 / 한 없이 흐득이던 나진행 열차
방탄소년단팔도강산
어디에서 왔는지
Ma City
[팔도강산]: 서울 강원부터 경상도 충청도부터 전라도
[어디에서 왔는지]: 나는 부산에서 너는 광주에서
서수남, 하청일팔도유람
선우일선대한팔경
손인호사랑찾아 칠백리
송창식고래사냥자 떠나자 동해바다로
(국가)애국가동해물과 백두산이 /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윤도현오 필승 코리아오 필승 코리아[44]
이애리수삼천리 강산 에라 좋구나
정수라아! 대한민국아아 우리 대한민국 아아 우리 조국 아아 영원토록 사랑하리라
조영남화개장터전라도경상도를 가로지르는 섬진강 줄기 따라 화개장터엔 아랫마을 하동 사람, 윗 마을 구례 사람 닷새마다 어우러져 장을 펼치네
주현미소백산[45]
최남선경부철도가
호남철도가
경원철도가
경의철도가
최희준팔도강산


3. 외국[편집]



3.1. 아시아[편집]





3.2. 유럽[편집]




3.3. 북아메리카[편집]




3.4. 남아메리카[편집]


  • 베닐리 - Samba de Janeiro[4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21:12:31에 나무위키 음악에 등장하는 실존 지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작 가사에는 지명과 관련된 단어가 없다.[2] 가사에서 보듯히 혜화동을 포함한 직접적인 지명이 가사에 없다.[3] 문주란의 공항 3연작 중에서 유일하게 김포공항임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곡이다.[4] 현재의 경기도 김포시가 배경이 아니다. 김포가도는 김포공항에서 영등포구 신길동 사이의 도로로서, 현재는 공항대로로 이름이 바뀌었다.[5] 1963년 경기도였던 한강 이남 지역들이 서울특별시에 편입될 때 불리웠던 지명으로, 영등포의 동쪽이라는 뜻의 '영동'으로 불리웠다[6] 명동 예술극장[7] 가수 백년설1940년 경기도 경찰부 외사과 (현재 경찰청 부지) 에서 소련 간첩 사건에 연루되어 요시찰 인물로 조사를 받은 후 밤 늦게 풀려났을 때 경찰서 앞에서 기다리던 작사가 조경환과 대포집에서 술을 마시다가 당시의 조사를 받은 억울함과 나라를 잃은 서러움이 북받쳐 가수 백년설이 조경환에게 노래 창작을 제안하여 백년설이 담배 포장지에 3절을 적고, 조경환이 나머지 1절과 2절을 만들었다. 백년설의 증언 [8] 이 외에도 을지로, 영등포, 미아리가 등장한다[9] 시흥시(곡이 발표된 1986년 당시는 시흥군)가 아닌 시흥동(서울)을 가리킨다.[10] 현재 마포구 아현동에 위치한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1952년 현재 중구 정동 경향신문 사옥에 위치할 당시 제작되었다.[11] 원곡은 "노래하자 하루삔 춤추는 하루삔" 이었다가 개사하였다.[12] 가사 대부분이 서울 지명으로 되어 있다.[13] 주로 군대에서 전래된 구전가요다. 참고로 가사가 상당히 외설적이다.[14] 나의 옛날 동네가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이다.[15] 춘천 외에도 한강이 언급된다.[16] 이 후의 가사에도 월악산과 옥순봉, 구담봉이 등장한다[17] 정민섭 작곡가가 그레이하운드 고속버스를 타고 부산으로 가던 중 천안삼거리를 지날 때 영감을 얻어 노래를 만들었다고 한다. 노래 뒷이야기[18] 노래 가사 중 단대호수가 등장한다.[19] 후술한 꽃송이가와 같은 동네를 배경으로 쓴 노래이다. 뮤비에 나온 학교의 교복으로 알 수 있다.[20] '야우리'는 '야, 우리'와 원래 천안터미널에 있던 '야우리백화점'을 함께 가리키는 중의적 표현. 원래 백화점 이름 자체가 그런 중의성을 노린 것이었고.[21] 과거에 빙그레 이글스, 한화 이글스, 대전 현대 농구단이 응원가로 쓰곤 하였다.[22] 천안 삼거리 흥~ 하는 부분으로 유명한 민요로 보통 흥타령이라기 보단 '천안 삼거리' 라는 제목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자세한 내용은 천안삼거리문서 참조.[23] 부산광역시시가(市歌)로 지정되어 있다.[24] 원곡은 가수 김호일의 '돌아와요 충무항에'라는 제목이었는데 조용필이 리메이크할 때 곡명이 변경되었다.[25] 이호섭 작곡이라서 그런지 이호섭이 부른 버젼도 있다.[26] 경기 민요이기도 하다[27]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삼포마을이 배경이다. 그러나 비슷한 제목의 황석영의 소설 삼포 가는 길은 이 노래와 관계없이 가상의 지역 이름이다.[28] 작사가 이용일이 1963년 군복무 중 고향인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양동 영길만을 그리워하며 만든 노래로 1991년 창원시가 영길만 해안도로에 노래비를 건립하였다[29] 실제 노래의 배경지는 작사가 정귀문의 고향인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나정리이다. 출처[30]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를 일컫는 가사로 용당리 나루터는 1980년 영산강 하굿둑이 만들어지면서 폐쇄되었고 현재 대불산업단지, 현대삼호중공업 본사와 제3함대 사령부가 주둔하고 있는 국가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곳이 되었다[31] 돌산 앞바다에 파도만 설레이네 / 나 홀로 걸어가는 오동도다리 / 남풍이 불어오는 장군섬 꽃길 [진도의] A B 전통 장례음악[32] 직접적으로 지역을 가리키는 단어가 나오지 않지만, 이 노래를 작곡한 작곡가 임종수의 고향은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인데 황등역에서 익산역으로 통학할 때가 생각나서 만든 노래로 사실상 익산을 대표하는 노래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래서 한때 익산역에서도 구내방송으로 이 노래가 나온 적이 있다.[33] 원곡은 소주 뱃사공이었지만 광복 후 작사가 반야월이 상당 부분 개사하여 제주 뱃사공으로 곡목을 개명했다[34] 원곡은 오은주의 내고향 서귀포이다. 하지만 원곡은 평범한 인지도였지만 조미미의 버젼이 엄청 유명해져 버려서 조미미라고 적힌듯 하다.[35] 유리상자, 성시경, 태연이 각각 리메이크 곡 부름. 이후 오연준이 2017년 5월 20일에 리메이크[36] 제목부터 가사 일부가 제주 사투리. 이 노래를 부른 혜은이의 태생지도 제주도다[37] 제주도의 전통 농업요로, '김매는 사대 소리'로도 불린다. 검질은 밭의 제주도 방언이다. 예능보유자는 이명숙 명창이다. 유일한 정규이자 유작격 음반인 이명숙 명창의 제주민요에서 들을수있다. 다만 CD로만 들을수있다. [38] 신민요 또는 구전민요로 추정된다. 이유는 경기도 민요의 창법,가락을 모방하여 만들었다고 추정해서이다. 그러므로 가사를 제외하면 순수 제주도 느낌의 노래는 아닐수도있다.[39] 제주도에서 멸치를 어획할 때 부르는 노래로, 멜은 멸치제주 방언이다. 안복자 선생이 이노래의 명창으로 알려져있다.[40] 흔히 두만강변이 고향인 1절의 아버지 이야기만 알려져 있는데 2절에서는 흥남부두가 고향인 어머니 이야기가 나온다.[41] 나무위키 명태 항목에도 기재되어 있는 명태의 민간어원이 가사에 들어있다.[42] 황성은 개성 만월대를 가리킨다.[43] 연평도는 현재는 인천광역시 소속이지만 원래 황해도 땅이었다. 현대곡이 아닌 서도민요이므로 황해도에 기재[44] 이를 수십 번 반복하는 것이 가사의 전부이다.[45]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연화봉과 충청북도 단양군 비로봉, 단양강, 단양팔경이 나온다.[46] 테레비 도쿄 개국 15주년 기념으로 만들어진 곡으로, 매년 여름마다 테레비 도쿄에서 방영했던 '夏祭りにっぽんの歌 (여름 축제 일본의 노래)'라는 프로그램에서 출연자 전원이 오프닝과 클로징 때 합창하던 노래였다. 제16회 방송 (1986년), 제18회 방송 (1988년), 제39회 방송 (2008년) 패티김서울의 찬가와 비슷한 위상을 가지고 있으며 미야코 하루미, 하시 유키오, 미나미 하루오 등 여러 가수들이 리메이크하였다.[47] 카녜 웨스트의 고향은 시카고다.[48] 축구 경기에서 골을 넣을 때마다 BGM으로 쓰이는 노래 "삼바 이 골"이 이 노래의 원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