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3

덤프버전 :





! 3 (2024)
このらしい! 3
KONOSUBA: GOD'S BLESSING ON THIS WONDERFUL WORLD! 3
파일:코노스바 3기1.jpg
작품 정보 ▼

장르이세계 전이, 판타지, 코미디
원작아카츠키 나츠메
원작 일러스트미시마 쿠로네
총감독카나사키 타카오미
감독아베 유지로(安部祐二郎)
시리즈 구성우에즈 마코토
캐릭터 디자인키쿠타 코이치
미술 감독○○
색채 설계○○
촬영 감독○○
편집○○
음향 감독이와나미 요시카즈
음향 효과코야마 야스마사(小山恭正)
음향 제작HALP H·P STUDIO
음악코우다 마사토
음악 제작일본 컬럼비아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제작드라이브
제작코노스바 3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2024. ○○. ○○. ~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미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스트리밍(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1]
편당 러닝타임○○분
화수○○화
시청 등급미정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2.2. 키 비주얼
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5. 음악
5.1. 주제가
5.1.1. OP
5.1.2. ED
5.2. 음반
6. 회차 목록
7. 평가
7.1. 방영 전
7.2. 방영 후
8. 기타



1. 개요[편집]


라이트 노벨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3기를 다루는 문서. 총감독은 카나사키 타카오미, 감독은 아베 유지로.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드라이브. 방영 시기는 2024년.


2. 공개 정보[편집]


2021년 7월 18일, 신작 애니메이션이 발표되었다.# 발표와 맞물려 신작 비주얼이 하나 공개되었고 그 외에는 발표 시점에서 미정이었다.

2022년 5월 28일, 이 멋진 세계에 폭염을!과 함께 3기의 제작이 결정되었다.#

2023년 6월 22일, 이 멋진 세계에 폭염을! 종영 이후 2024년 방영으로 확정되었다.

2023년 9월 24일, 첫 PV와 함께 3기에 첫 등장하는 아이리스, 클레어, 레인의 설정화가 공개되었다.


2.1. PV[편집]


특보 PV


2.2. 키 비주얼[편집]


파일:코노스바_애니신작.jpg
파일:코노스바3_애니티저비주얼.jpg
신작 애니 발표 비주얼티저 비주얼


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파일:Kono_Subarashii_Sekai_ni_Shukufuku_o!_logo.svg.png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3 TVA
등장인물 & 성우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사토 카즈마
CV 후쿠시마 준
아쿠아
CV 아마미야 소라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메구밍
CV 타카하시 리에
다크니스
CV 카야노 아이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루나
CV 하라 사유리
난폭한 자
CV 이나다 테츠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크리스
CV 스와 아야카
위즈
CV 호리에 유이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바닐
CV 니시다 마사카즈
융융
CV 토요사키 아키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미츠루기 쿄야
CV 에구치 타쿠야
아이리스
CV 타카오 카논[1]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클레어
CV 야하기 사유리
레인
CV 우에다 레이나

[1] 애니화 이전에 코노스바 모바일 판타스틱 데이즈에서 선행배정 받았다. 처음으로 같이 애니화 되는 레인과 클레어도 마찬가지.


4. 설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설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음악[편집]



5.1. 주제가[편집]



5.1.1. OP[편집]


OP
(원제목)
(번역명)
TV ver.
Full ver.
노래-
작사-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연출-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5.1.2. ED[편집]


ED
(원제목)
(번역명)
TV ver.
Full ver.
노래-
작사-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연출-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5.2. 음반[편집]




6.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1]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제1화日: 2024.


7. 평가[편집]



7.1. 방영 전[편집]


애니메이션 제작사스튜디오 딘에서 Drive로 바뀌었으나 총감독 카나사키 타카오미[2], 각본 우에즈 마코토, 캐릭터 디자인 키쿠타 코이치, 이펙트 애니메이터 오자와 카즈노리처럼 애니메이션의 작풍에 큰 영향을 주는 핵심 스태프는 그대로라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3] 제작사가 바뀐 건 1기의 제작데스크[4]였던 미야코시 토오루(宮腰 徹)가 Drive로 이적해서 제작 프로듀서로 데뷔하면서 스태프도 따라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림체를 보면 코노스바 특유의 병맛스러운 분위기를 강조하기 위해 일부러 작붕스러운 그림체로 그려서 호불호가 갈렸던 1&2기 및 극장판 때와는 달리 키쿠타가 디자인을 보다 원작 및 코노스바 모바일! - 판타스틱 데이즈 화풍에 가깝게 그려 호평을 받고 있다. 다만 키쿠타는 예전부터 본인이 그린 키비주얼 작화와 본편의 애니메이팅이 들어간 작화가 다른 경우가 많았다. 특별히 키쿠타의 화풍은 바뀐 적도 없으며 이 멋진 세계에 폭염을!도 거의 예전과 그대로이다. 본편에서는 저 작화가 아닐 수도 있으므로 1&2기처럼 그림체는 기대하지 말고 움직임과 코미디 연기를 기대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다만 3기의 내용은 예전에 비해 진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내용과 작화가 안 맞을 수도 있다.

작중 스토리는 흐름을 보아 본격적으로 베르제르그 왕도 부분을 다룰 것으로 보이며, 아이리스의 첫 등장이 예정된 상태이다.


7.2. 방영 후[편집]




8. 기타[편집]



또한 더빙판을 방영했던 애니맥스 코리아도 비슷한 시기에 애니플러스[5]로 매각되었다. 물론 애니플러스도 최근 들어서 일부 방영작이 더빙판으로 나오고 있기는 하지만 본작도 더빙될지는 미지수.
게다가 비더빙 동시방영 채널의 방영작을 더빙하여 좋은 평판을 받던 미라지 엔터테인먼트에게 기대할 수도 없는 것이, 본편 2기까지의 더빙판은 넥슨이 일부 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블루레이에 수록하려면 판권 문제가 상당히 복잡해질 것이고, 그렇다고 3기와 폭염만 발매하기에는 애매한 그림이 되기 때문이다.

  • 설정화 공개 이후 1기, 2기, 폭염, 붉은 전설때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인물 작화를 보여주었고 많은 팬들이 기대했던 아이리스 또한 코노스바 애니 특유의 찌그러진 작화는 못 피해갔다며 아쉬워하는 의견도 많았다. 이는 전술했듯 캐릭터 디자인이 키쿠타 코이치로 1, 2기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1:46:39에 나무위키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2] 카나사키는 본작처럼 총감독 직함으로 참여했던 전작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Season 2에서도 거의 전편의 각본과 콘티를 작성했고 음향도 총괄하는 등 실질적으로는 감독 이상의 역할을 수행한 바 있다.[3] 극장판도 제작사가 스튜디오 딘이 아니고 J.C.STAFF로 바뀌었는데 이들이 그대로 참가해서 별 차이 없었다.[4] 제작진행의 리더.[5] 극장판 붉은 전설의 수입/배급사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