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란 풋살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이란 풋살 국가대표팀
تیم ملی فوتسال ایران
정식명칭[1]تیم ملی فوتسال ایران
FIFA 코드IRN
협회이란 축구 연맹 (FFIRI)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연맹중앙아시아 축구 연맹 (CAFA)
감독바히드 샴세이 (Vahid Shamsaei)
주장호세인 타예비 (Hossein Tayyebi)
최다출전자알리 아스그하르 하산자데흐 (Ali Asghar Hassanzadeh)
최다득점자바히드 샴세이 (Vahid Shamsaei) 392골
첫 국제경기 출전VS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19:6 승)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1992년 5월 2일)
최다 점수차 승리VS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36:0 승)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1999년 3월 7일)
최다 점수차 패배VS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8:1 패)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2000년 10월 6일)
월드컵출전 7회
그랑프리출전 3회

1. 개요
2. 역대 전적
3. AFC 풋살 아시안컵 & 기타 대회
4. 대한민국과의 전적



1. 개요[편집]


이란의 풋살 국가대표팀이자 아시아 최강의 풋살 국가대표팀으로 AFC 풋살 아시안컵에서만 12번의 우승을 기록하였고 월드컵에서도 3위를 기록한바 있다.


2. 역대 전적[편집]



2.1. FIFA 풋살 월드컵[편집]


년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89년불참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1992년4강4위15점85033630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6년조별리그11위3점31021213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2000년조별리그10위3점310269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2004년조별리그11위3점3102913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8년조별리그5위14점74212419
파일:태국 국기.svg 2012년16강10위7점421198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6년4강3위9점72322224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2021년8강7위9점53021917

1989년 네덜란드 월드컵을 제외한 모든 월드컵에 참가하였으며 그중 단연 최고 성적은 2016년 콜롬비아 월드컵에서 거두었던 3위이며 F조에 편성되었다. 스페인 , 아제르바이잔 , 모로코와 한조를 이루었으며 이중 모로코와의 경기에서만 승리를 거뒀다. 아제르바이잔과는 3 - 3으로 무승부를 거뒀고 스페인과는 1 - 5로 졌으나 3위팀 6개 중 4팀이 토너먼트에 진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 받는데 3위팀 들 중 두번째 순위로 토너먼트에 올라갔다.

8강에서 최다 우승팀이자 강력한 우승 후보인 브라질승부차기 끝에 잡았고 4강에서는 파라과이와 연장전 끝에 승리하며 러시아와 4강전을 치뤘지만 한점차로 패하며 3,4위전으로 내려갔다. 포르투갈과의 3,4위전에서 포르투갈을 잡으면서 3위로 대회를 마감하였다. 이는 1992년에 거둔 아시아 최고성적 4위 기록을 갱신한 순위이다.

2021년 대회에서는 아르헨티나,세르비아,미국과 함께 F조에 편성되었는데 2승 1무로 조 2위로 16강에 진출하였다.16강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을 9:8로 이기고 8강에 진출하였는데 8강 상대는 16강에서 태국을 7:0로 대파하고 올라온 카자흐스탄이다. 8강에서 카자흐스탄에게 2-3으로 패해 아시아 첫 2회 연속 4강 진출은 실패하고 카자흐스탄의 첫 4강 진출 제물이 되었다.


3. AFC 풋살 아시안컵 & 기타 대회[편집]


년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9우승1위18점6600907
파일:태국 국기.svg 2000우승1위18점66005610
파일:이란 국기.svg 2001우승1위21점77009713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02우승1위18점6600907
파일:이란 국기.svg 2003우승1위18점66006013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2004우승1위21점77008112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5우승1위19점86115815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063위3위12점54014612
파일:일본 국기.svg 2007우승1위18점6600509
파일:태국 국기.svg 2008우승1위18점6600482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0우승1위18점6600579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3위3위15점6501459
파일:베트남 국기.svg 2014준우승2위16점6510528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6우승1위18점6600484
파일:대만 국기.svg 2018우승1위18점6600506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20코로나 여파로 대회 전면 취소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22?????????

그야말로 천하무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축구와 마찬가지로 아시아를 완전히 씹어먹고 다니며 우승 기록보다 비우승 기록을 찾는게 더 빠를정도이다. 이란이 우승하지 못한 대회는 모두 3차례며 그 중 2006년과 2012년에 결승전에 진출하지 못했다.

2006년 4강전에서는 일본에 5 - 1로 패하면서 결승전 진출이 좌절되었고 2012년 4강전에서는 태국에 연장전까지 간 끝에 패했다.

2014년 대회에서는 일본한테 패하며 준우승에 그친다.하지만 2016년 대회에서는 중국, 요르단, 이라크와 함께 B조에 편성되었는데 3전 전승(요르단전 6:0 승,중국전 7:0 승 이라크전 13:2 승)으로 8강에 진출하였다.8강에서 키르기스스탄을 7:0으로 이기고 4강에 진출하였다.4강에서 베트남을 무려 13:1로 뭉개버리며 결승에 진출하였다.결승 상대는 개최국인 우즈베키스탄이다. 그러나 우즈베키스탄마저 2:1로 이기며 6전 6승으로 무패 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아프가니스탄을 8:2로 대승을 거뒀다.그러나 키르기스스탄마저 12:2로 이기며 본선에 진출하였다.본선에서는 이라크,중국,미얀마와 함께 C조에 편성됐는데 3전 3승(미얀마전 14:0 승,중국전 11:1 승,이라크전 5:3 승)으로 8강에 진출하였다.이후 8강에서 태국을 9:1로 꺾고 4강에 진출하였다 4강에서 우즈베키스탄을 7:1로 꺾고 결승전에 진출하였다.결승에서 일본을 4:0으로 이기고 두 대회 연속 무패우승을 기록했다.
2020년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2승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었다.
2022년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투르크메니스탄,몰디브,키르기스스탄과 한조가 되었는데 3전 3승(몰디브전 17:0 승,투르크메니스탄전 3:0 승,키르기스스탄전 8:1 승)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서는 인도네시아,중화 타이베이,레바논과 함께 C조에 편성되었다. 본선 1차전에서는 최약체인 인도네시아를 5:0로 대파했고 본선 2차전에서는 대만을 10:1로 대파하며 8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이란은 2005년에 열린 실내 무도 아시안게임에서도 강한 모습을 보이며 그동안 참가한 모든 대회에서 우승하였고 그랑프리에서도 준우승을 세번이나 하면서 아시아 뿐만이 아니라 세계에서도 강하다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도 2009년 우승 , 서아시아 챔피언십에서도 2회 우승을 차지하였다.


4. 대한민국과의 전적[편집]


그동안 1993년부터 총 4번 맞붙었으며 대결한 경기 모두 이란이 승리하여 전적은 4승으로 이란이 우세하다. 특히 2012년에는 이란을 거의 10년만에 만났는데 변함없이 패하면서 한결같은 팀이라는것도 알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12:49:51에 나무위키 이란 풋살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페르시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