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수성(정치인)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파일:새마을운동 마크.png
새마을운동중앙회장
[ 펼치기 · 접기 ]

제1-2대
김준
제3대
이철우
제4대
전경환
제5대
김동하
제6대
김준
제7-9대
김수학
제10대
김유혁
제11대
이규이
제12대
조해녕
제13대
김수학
제14-15대
강문규
제16-17대
이수성
제18대
이의근
제19-20대
이재창
제21-22대
심윤종
제23대
소진광
제24대
정성헌
제25대
염홍철
제26대
곽대훈




[ 펼치기 · 접기 ]

초대
해리 엔스테드
제2대
이춘호
제3대
장이욱
제4대
최규동
제5대
최규남
제6대
윤일선
제7대
권중휘
제8대
신태환
제9대
유기천
제10대
최문환
제11·12대
한심석
제13대
윤천주
제14대
고병익
제15대
권이혁
제16대
이현재
제17대
박봉식
제18대
조완규
제19대
김종운
제20대
이수성
제21대
선우중호
제22대
이기준
제23대
정운찬
제24대
이장무
제25대
오연천
제26대
성낙인
직무대행
박찬욱
제27대
오세정
제28대
유홍림




대한민국 제29대 국무총리
이수성
李壽成 | Lee Soo-sung
파일:이수성 총장.jpg
출생1937년 3월 10일 (87세)
함경남도 함흥부
(現 함경남도 함흥시)
본적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리[1]#
본관광주 이씨[2]
우범(又凡)
재임기간제20대 서울대학교 총장
1995년 3월 2일 ~ 1995년 12월 17일
제29대 국무총리
1995년 12월 18일 ~ 1997년 3월 4일
제8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1998년 3월 20일 ~ 2000년 2월 24일
제5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
2003년 3월 26일 ~ 2005년 2월 22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이충영, 어머니 강금복
형제자매동생 이수인, 이수윤[1], 이수억[2]
(4남 5녀 중 장남)
배우자김경순
자녀1남 1녀
학력서울고등학교 (졸업 / 8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 · 박사)
병역대한민국 육군 상병 전역
종교기독교 (가톨릭 | 세례명: 고르넬리오)
신체174cm, 88kg, O형
소속
무소속

경력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총장
삼성언론재단 이사장
제29대 국무총리 (문민정부)
신한국당 제15대 대통령 선거 경선후보[3]
신한국당 상임고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국민의 정부)
민주국민당 상임고문
한국민속박물관회 회장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 (참여정부)
국민연대 제17대 대통령 선거 후보[4]

[1]한국교원대학교 국민윤리교육과 교수[2]SBS 스포츠국 제작국장[3] 경선 5위.[4] 후보 사퇴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제29대 국무총리.


2. 생애[편집]


1937년 함경남도 함흥부에서 당시 함흥지방법원 판사였던 아버지 이충영과 어머니 진주 강씨 강금복(姜今福)[3] 사이의 4남 5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8.15 광복 이후 월남하여 성장하였고 서울고등학교(8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4]이후 모교인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교수를 지냈다.

유년기의 일화로는 해방 직후에 백범 김구 선생의 강연을 듣고 감동을 깊게 받았으며, 김구 선생이 암살당했을 당시 초등학생인 나이에도 장례식에서 참여하여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그후에 백범선생기념사업회장 등을 지냈다.

1980년 5월 15일 당시 대학생과 시민 15여만명이 계엄령 해제, 전두환 퇴진 등을 외치면서 서울역 앞에 집결하여 시위를 벌이자, 당시 서울대 학생처장 신분으로 보안사령부와 교섭하여 '무사귀교보장'을 약속받고 학생회장단을 설득하였다. 소위 서울역 회군 사건이다.

당시 시위학생들이 남대문을 넘어설 경우, 신군부의 강력한 진압작전이 준비돼 있다는 얘기를 김종환 내무장관을 통해 들었고, 그는 즉시 현장에 나가서 학생들을 설득하여 해산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학생들과 함께 비를 맞으며 서울역에서 서울대학교까지 걸어서 돌아왔으며, 학교로 돌아온 그는 아직 밥을 못먹은 시위 학생들에게 교직원들을 동원하여 학생식당에서 따뜻한 밥을 해먹였다.

그러나 이후 신군부가 5.17 내란을 일으키면서 시위하러 가는 학생들에게 차량을 지원했다는 이유로 국군보안사령부에 끌려가서 고문당하였다. 이때문에 지금까지도 허리가 안 좋다.

서울대학교 총장으로 재임하던 1995년 12월 국무총리에 임명되었다. 이후 1997년 신한국당 상임고문에 임명되었다.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신한국당 대선 후보 경선에 출마하였다. 당시 이회창이 대세론을 형성하면서 앞서나가자, 2위권을 형성하고 있던 이인제, 이한동, 김덕룡, 이수성은 반이회창 연대를 내걸고 1차투표에선 서로 경쟁하지만, 2차 결선투표에선 누가 진출하든지 표를 몰아주기로 약속하였다. 대의원 12,000여명이 투표한 후보 경선에서 이수성은 13.6%를 얻으면서 5위로 탈락하였다.[5] 그리고 이어진 결선투표에선 4자연대의 약속이 무색하게, 이회창이 60%를 득표하면서 신한국당 대통령 후보로 정해졌다. 그리고 이수성은 계속 이회창 후보와 극심한 갈등을 빚다가, 대선을 불과 한달 남겨둔 11월 초에 신한국당을 탈당하였다.

김대중 정부 때는 구 여권 출신 인물임에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을 역임하였다.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칠곡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의 TK 바람으로 서울대학교 법대 제자인 한나라당 이인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제17대 대통령 선거에 '화합과도약을위한국민연대'라는 당을 창당하여 출마하였으나, 사실상 정동영 후보를 지지의사를 밝히며 중도 사퇴하였지만 그 17대 대선에서 이명박이 대통령에 당선됨으로써 이명박의 대통령당선을 막지는 못했다.[6] 이수성 후보사퇴…사실상 '"정동영 지지"

제자로, 조준현 성신여자대학교 법학과 교수, 오영근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기헌 명지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한인섭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강동범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조국 서울대 법대 교수[7], 세월호 특별조사위원이었던 이호중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이 있다.

정치적으로 전형적인 화해/통합주의자 이지만, 대학교수 시절 반독재민주화운동, 진보적 학생운동에 매우 유화적이었다. 1980년 서울역회군 당시 학생들을 대신해서 보안사령부와 교섭한 일화는 유명하며, 이후 문민정부 시절인 1994년에는 서울대 총장 신분으로 21세기 진보학생연합이 주도한 총학생회 출범식에 참석해서 축사를 하기도 했다. 또한 1967년엔 데모주동자였던 제자 손학규조영래 학생을 관용차로 학교 밖으로 탈출시킨 것으로도 모자라서, 어머니가 계시는 고향 경북 칠곡으로 까지 피신 일화도 있다.

워낙 인맥이 넓어서, 한때 김상현 전 국회의원, 김재기 전 주택은행장[8]과 함께 '한국 3대 마당발'로 불리기도 했다. 알고 지내는 지인만 5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유인경이 만난사람]이수성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

동생으로 이수인 전 교수, 국회의원이 있다. 단 동생 이수인은 정치적으로 개혁성향으로 주로 민주당계 쪽에서 활동하였다. 문민정부 시절에는 동생 이수인이 야당 국회의원으로 국회 본회의에서 형인 이수성 국무총리한테 대정부 질의를 하는 진풍경을 연출하기도 했다.뉴스자료화면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칠곡
ta-hash-start=w-aed6eb8cfa9d0fb978101b2e61f6de46[[파일:민주국민당(2000년) 흰색 글씨.svg
20,821 (46.55%)낙선 (2위)
2007제17대 대통령 선거대한민국
파일:국민연대 글자.svg

후보 사퇴[9]

역대 선거 벽보


4. 소속 정당[편집]




5.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2:43:43에 나무위키 이수성(정치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인근의 심천리와 함께 광주 이씨 집성촌이다.[2] 좌통례공파(左通禮公派, 칠곡파)-첨정공파 21대 수(壽)◯ 항렬. 아버지 이충영(李忠榮)은 20대 ◯영(榮) ◯환(煥) 항렬.[3] 강영수(姜永壽)의 딸이다.[4] 김용준 헌법재판소장과 고교-대학 동창이다.[5] 당시 2위 이인제 14.7%, 3위 이한동 14.6%, 4위 김덕룡 13.8%로 이수성까지 2위권 후보 4명의 득표율을 간발의 차이였다. 실제 2위 이인제와 5위 이수성의 표차이는 고작 129표였다.[6] 이후 그가 만든 화합과도약을위한국민연대는 이듬해 열린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 불참하다가, 2009년에 자진해산하였다. #[7] 문재인 정부 초대 민정수석비서관법무부 장관 역임.[8] 김재광 전 국회부의장의 동생이다.[9]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