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팩트 월드 챔피언십

덤프버전 :





파일:EOg_mPFW4AAT6Lj.jpg
현재 타이틀 명칭임팩트 월드 챔피언십
현재 챔피언알렉스 셸리
챔피언 등극2023년 6월 9일
어게인스트 올 오즈 2023
이전 챔피언스티브 매클린
단체임팩트 레슬링
이전 타이틀 명칭TN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07~2017)
임팩트 레슬링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17)
통합 GFW 글로벌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17)
GFW 글로벌 챔피언십 (2017)
임팩트 글로벌 챔피언십 (2017~2018)[1]
벨트 창설일2007년 5월 14일

1. 소개
2. 벨트 디자인 변천사
3. 기록
4. 역대 챔피언 목록
4.1. TN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2020 - 2021)


1. 소개[편집]


임팩트 레슬링의 1선급 헤비웨이트 타이틀. TNA가 NWA 산하에서 주간 PPV로 막 런칭됐던 2002년 당시부터 2007년까지는 단체의 최고 타이틀로 NWA 월드 헤비웨이트 타이틀을 썼는데, 2007년 5월부터 TNA가 NWA에서 완전히 독립하면서 단체의 최고 타이틀로 TN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신설하게 되었다.

각본상 오스틴 에리즈의 제안으로, 2선급 벨트인 TNA X 디비전 챔피언십 소유자가 벨트를 반납하는 조건인 옵션C 사항을 통해 TNA 월드 헤비웨이트 타이틀에 대한 도전권을 획득할 수 있었다.

제프 제럿 체제로 다시 전환되면서 임팩트 레슬링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란 이름으로 바뀌었다. 2017년 7월 2일 슬래미버서리 XV에서의 통합 타이틀전에서 래쉴리알베르토 엘 파트론에게 패하면서 GFW 글로벌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통합되면서 명칭만 계승하였으나, GFW과 갈라서면서 임팩트 월드 챔피언십의 명칭을 쓴다.


2. 벨트 디자인 변천사[편집]


파일:OldTNAchamp.jpg

2006년 TNANWA로부터 독립한 후 2009년까지 사용한 타이틀 벨트이다.

파일:TNAchamp.jpg

2010년부터 2017년 GFW와 통합 직전까지 사용했던 타이틀 벨트이다. 그리고 2020년 리벨리온에서 무스가 자신이 진정 TN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이라고 자칭하며 링 아나운서에게 TNA 월드 챔피언이라고 소개하라는 강요, 협박을 하게 되면서 각본 상으로 재부활을 하게 된다.[2]

파일:GFW_GC2.png

2017년 GFW와 통합되고 사용했던 타이틀 벨트이다.

파일:Impact Global Championship.jpg[3]

2017년에 임팩트 레슬링으로 독립하고 벨트 디자인이 바뀌기 전까지 사용했던 타이틀 벨트

파일:TNAinmortalchamp.jpg

2010년, 바운드 포 글로리에서 챔피언에 등극한 제프 하디가 당시 이모탈이라는 스테이블의 수장이자 TNA 제너럴 매니저였던 헐크 호건에게 특별히 수여받은 전용 타이틀 벨트이다.


파일:Impactworld.jpg

2018년 4월부터 2020년 1월 둘째주까지 사용했던 타이틀 벨트

2020년 6월 25일에 테사 블랜차드가 단체의 요구를 묵살함에 따라 타이틀 박탈 및 해고당했고, 테사가 벨트 반납에 돈을 요구하면서, 임팩트 측은 새로 벨트를 제작했다. 디자인은 거의 똑같지만, 은빛이었던 벨트가 금빛으로 바뀌었다.


3. 기록[편집]


초대 챔피언커트 앵글
최다 획득 챔피언커트 앵글6회
최장기간 챔피언조쉬 알렉산더347일
최단기간 챔피언조쉬 알렉산더2분 37초
최고령 챔피언스팅52세
최연소 챔피언테사 블랜처드24세
최중량급 챔피언사모아 조128kg
최경량급 챔피언테사 블랜처드57kg


4. 역대 챔피언 목록[편집]


  •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비고
1커트 앵글1회2007년 5월 13일 (1일)새크리파이스 (2007)[4]
-공석-2007년 5월 14일TNA 임팩트![5]
2커트 앵글2회2007년 6월 17일 (119일)TNA 슬래미버서리 V[6]
3스팅1회2007년 10월 14일 (2일)바운드 포 글로리 3
4커트 앵글3회2007년 10월 16일 (180일)TNA 임팩트![7]
5사모아 조1회2008년 4월 13일 (182일)락다운 (2008)
6스팅2회2008년 10월 12일 (189일)바운드 포 글로리 4
7믹 폴리1회2009년 4월 19일 (63일)락다운 (2009)
8커트 앵글4회2009년 6월 21일 (91일)슬래미버서리 (2009)[8]
9AJ 스타일스1회2009년 9월 20일 (211일)노 서렌더 (2009)
10랍 밴 댐1회2010년 4월 19일 (113일)TNA 임팩트!
-공석-2010년 8월 10일TNA 임팩트![9]
11제프 하디1회2010년 10월 10일 (91일)바운드 포 글로리 5[10]
12미스터 앤더슨1회2011년 1월 9일 (35일)제너시스 (2011)
13제프 하디2회2011년 2월 13일 (11일)어게인스트 올 오즈 (2011)
14스팅3회2011년 2월 24일 (108일)TNA 임팩트![11]
15미스터 앤더슨2회2011년 6월 12일 (29일)슬래미버서리 (2011)
16스팅4회2011년 7월 11일 (27일)임팩트 레슬링[12]
17커트 앵글5회2011년 8월 7일 (72일)하드코어 저스티스 (2011)
18제임스 스톰1회2011년 10월 18일 (8일)임팩트 레슬링[13]
19바비 루드1회2011년 10월 26일 (256일)임팩트 레슬링[14]
20오스틴 에리즈1회2012년 7월 8일 (98일)데스티네이션 X (2012)
21제프 하디3회2012년 10월 14일 (147일)바운드 포 글로리 (2012)
22불리 레이1회2013년 3월 10일 (130일)락다운 (2013)
23크리스 세이빈1회2013년 7월 18일 (28일)임팩트 레슬링 : 데스티네이션 X
24불리 레이2회2013년 8월 15일 (67일)임팩트 레슬링 : 하드코어 저스티스
25AJ 스타일스2회2013년 10월 20일 (9일)바운드 포 글로리 (2013)
-공석-2013년 10월 29일[15]
26매그너스1회2013년 12월 3일 (128일)임팩트 레슬링 : 파이널 레졸루션[16]
27에릭 영1회2014년 4월 10일 (70일)임팩트 레슬링[17]
28래쉴리1회2014년 6월 19일 (91일)임팩트 레슬링
29바비 루드2회2014년 9월 18일 (111일)임팩트 레슬링
30래쉴리2회2015년 1월 7일 (24일)임팩트 레슬링
31커트 앵글6회2015년 1월 31일 (145일)임팩트 레슬링[18]
32이던 카터 3세1회2015년 6월 25일 (101일)임팩트 레슬링[19]
33매트 하디1회2015년 10월 4일 (2일)TNA 바운드 포 글로리 XI[20]
-공석-2015년 10월 6일[21]
34이던 카터 3세2회2016년 1월 5일 (3일)임팩트 레슬링
35매트 하디2회2016년 1월 8일 (67일)임팩트 레슬링[22]
36드류 갤로웨이1회2016년 3월 15일 (89일)임팩트 레슬링
37래쉴리3회2016년 6월 12일 (107일)슬래미버서리
38에디 에드워즈1회2016년 10월 3일 (96일)임팩트 레슬링[23][24]
39래쉴리4회2017년 1월 26일 (157일)TNA 임팩트[25]
40알베르토 엘 파트론1회2017년 7월 2일 (43일)슬래미버서리 XV[26]
-공석-2017년 8월 14일[27]
41일라이 드레이크1회2017년 8월 24일 (161일)GFW 임팩트
42오스틴 에리즈2회2018년 2월 1일 (80일)임팩트 레슬링
43펜타곤 주니어1회2018년 4월 22일 (39일)임팩트 레슬링 리뎀션[28]
44오스틴 에리즈3회2018년 5월 31일 (136일)임팩트 레슬링 : 언더프레셔
45쟈니 임팩트1회2018년 10월 14일 (196일)바운드 포 글로리 XIV
46브라이언 케이지1회2019년 4월 28일 (184일)리벨리온 2019
47새미 캘러핸1회2019년 10월 29일 (75일)임팩트 레슬링
48테사 블랜처드1회2020년 1월 12일 (165일)하드 투 킬 2020[29]
-공석-2020년 6월 25일[30]
49에디 에드워즈2회2020년 7월 18일 (45일)슬래미버서리 2020[31]
50에릭 영2회2020년 9월 1일 (53일)임팩트 레슬링
51리치 스완1회2020년 10월 24일 (183일)바운드 포 글로리 XVI
52케니 오메가1회2021년 4월 25일 (110일)리벨리온 2021
53크리스찬 케이지1회2021년 8월 13일 (71일)AEW 램페이지
54조쉬 알렉산더1회2021년 10월 23일 (2분 37초)바운드 포 글로리 XVII[32]
55무스1회2021년 10월 23일 (183일)바운드 포 글로리 XVII[33]
56조쉬 알렉산더2회2022년 4월 24일 (347일)리벨리온 2022
-공석-2023년 4월 6일임팩트 레슬링[34]
57스티브 매클린1회2023년 4월 16일 (54일)리벨리온 2023[35]
58알렉스 셸리1회2023년 6월 9일 (357일)어게인스트 올 오즈 2023


4.1. TN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2020 - 2021)[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이벤트비고
-무스-2020년 4월 21일 ~ 2020년 4월 28일리벨리온 2020[A]
1무스1회2021년 2월 23일 (18일)임팩트 레슬링
2리치 스완1회2021년 3월 13일새크리파이스 2021
-폐지-2021년 3월 13일새크리파이스 2021

  • 2020년 4월 28일 리벨리온에서 무스는 자신이 진정한 TN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이라는 자칭 각본에 투입하면서, 2021년 2월 23일 임팩트 월드 챔피언과는 별도로 무스만의 TN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공식적으로 허가했고, 2021년 새크리파이스에서 리치 스완에게 패배하면서 임팩트 월드 타이틀과 통합 되면서 폐지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4:56:49에 나무위키 임팩트 월드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무려 2017년에만 챔피언십 명칭이 4번 바뀌는 난잡한 역사를 자랑한다.[2] 임팩트 월드 챔피언 테사 블랜처드가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한동안 방송 녹화에 나오지 못하게 되면서 메인 챔피언의 빈 자리를 채우게 되는 각본인듯 하다.[3] 파일:에리즈의위엄.jpg[4] NWA 챔피언이었던 크리스찬 케이지, 스팅과의 3자간 경기에서 승리하며 초대 TNA 챔피언에 등극한다.[5] 새크리파이스에서의 경기가 사실 더블 핀폴로 마무리되었다는 판정이 나면서 공석 처리. 실제 방송일은 17일.[6] 킹 오브 더 마운틴 매치에서 승리하며 다시금 TNA 챔피언에 올랐다.[7] 실제 방송일은 25일.[8] 킹 오브 더 마운틴 매치에서 승리.[9] RVD가 어비스로 인해 각본상 부상을 입으면서 공석 처리. 실제 방송일은 19일.[10] 커트 앵글과 미스터 앤더슨과의 3자간 경기에서 승리.[11] 실제 방송일은 3월 3일.[12] 실제 방송일은 14일.[13] 실제 방송일은 20일.[14] 실제 방송일은 11월 3일.[15] AJ 스타일스가 계약 위반을 한것에 대해 회장인 딕시 카터가 공식적으로 벨트 권한을 박탈했다. AJ 스타일스는 비공식적으로 일본 단체인 WRESTLE-1 에서 챔피언 방어전을 치뤘었다.[16] 챔피언 토너먼트 파이널에서 제프 하디와의 딕시랜드 매치에서 승리.[17] 매그너스가 카운트 아웃이나 DQ로 질 경우에도 타이틀 양도. 어비스는 링사이드 접근 금지. 누구든 경기에 난입하면 해고. 이 조건 속에서 치러진 경기는 로우 블로우를 씹은에릭 영의 파일 드라이버에 이은 깔끔한 핀폴 승[18] 실제 방송일은 3월 20일.[19] 실제 방송일은 7월 1일.[20] 이덴 카터 3세와 드류 갤로웨이와의 3자간 경기에서 승리.[21] 이덴 카터 3세가 경기 결과를 문제로 매트 하디와 딕시 카터에게 출연 금지 조치를 걸겠다고 하자, 매트 하디는 타이틀을 반납하게 된다.[22] 실제 방송일은 26일.[23] 실제 방송일은 6일.[24] TN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획득과 함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였다.[25] 3월 9일 방송부터 단체명 임팩트 레슬링으로 변경.[26] GFW 글로벌 헤비웨이트 타이틀과 통합되어 명칭만 계승[27] 엘 파트론이 페이지와의 가정 폭력 사건에 연루되면서 징계를 받으면서 타이틀을 박탈당한다.[28] 오스틴 에리즈, 페닉스와의 3자간 경기에서 승리[29] 새미 캘러핸을 이기고 여성 최초로 임팩트 월드 챔피언이 되었다.[30] 코로나 19 여파로 인해 장기간 출연을 못하고 있는 테사갸 프로모라도 촬영해 달라는 단체측 요구를 묵살해버리면서 월드 타이틀 박탈과 동시에 해고 통보를 내렸다.[31] 임팩트 월드 챔피언 통산 2회 등극하면서 2회 트리플 크라운 달성자가 되었다.[32] 임팩트 월드 챔피언에 등극하면서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였다.[33] PPV 당일 참여하던 콜 유어 샷 건틀렛 매치에 우승하면서 획득한 타이틀샷 보상을 조쉬 알렉산더가 새로운 챔피언에 등극하면서 곧바로 사용하며 새로운 챔피언에 등극하였다.[34] 조쉬 알렉산더의 삼두근 파열 부상으로 인해 타이틀을 반납.[35] KUSHIDA를 꺾고 챔피언에 등극.[A] Impact에서 인정하지 않는 비공식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