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유민주인민당

덤프버전 :






파일:자유민주국민당 로고.svg
Volkspartij voor Vrijheid en Democratie
약칭VVD
상징색
남색

주황색
한글명칭자유민주인민당
창당일1948년 1월 24일
정치적 스펙트럼중도우파
이념보수자유주의
당대표딜란 예실회스제헤리위스[1]
(Dilan Yeşilgöz-Zegerius)
주소Mauritskade 21, 헤이그
유럽 정당유럽 자유민주연합
유럽의회 정당

국제 조직

청년 조직청년 자유민주 조직(JOVD)
정책 연구소텔더스 재단
당원 수25,035명(2021년 기준)
상원 의석수
10석 / 75석
하원 의석수
24석 / 150석
유럽의회 의석수
5석 / 29석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3. 성향



1. 개요[편집]


네덜란드보수자유주의 정당, 현 집권여당.

약칭은 VVD이며,[2] 국내에서는 "자유민주당"으로 줄여서 번역하는 경향이 있다. '인민'을 좌파적 용어로 받아들이는 탓에 다소 꺼리는 국내 특성상 자유민주국민당으로도 번역된다.


2. 상세[편집]


1948년에 창당된 유서 깊은 정당이지만, 1959년부터 1998년까지 만년 3당 신세였다. 이것도 초기에는 원내 5당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나마 늘었던 것. 1998년 잠시 원내 2당에 오르기도 했으나, 4년 뒤 도로 3당으로 추락하다가 2006년에는 4당까지 추락했다. 이후 2010년 비로소 원내 1당에 올라 집권에 성공. 물론 의석 수가 그렇게 대단하게 많았던 것은 또 아니다.[3]

2012년 총선에서도 10석을 더 얻으며 노동당과 격차를 더 벌렸으나, 뤼터 2차 내각에서 노동당과 연정한 영향인지 지지율이 하락했고 극우파 성향의 자유당에 지지율 1위를 내줬지만 2017년 총선에서는 33석으로 전보다 8석이 줄어들었다. 총선 직후 기독민주애원당민주66, 기독교연합당의 연정으로 3기 내각이 되면서 여당 지위를 무난하게 유지했고 2021년 총선에서도 제1당을 지켜냈다.

다만 2022년 7월 뤼터 내각의 질소 감축과 가축 감소를 추진한 탓에 벌어진 농민 시위의 여파인지 농민-시민운동에게 지지율이 역전당하기도 했으나, 2023년 총선을 앞두고 지지층들이 다시 몰리면서 신사회계약, 녹색좌파당-노동당 연합과의 경쟁 구도로 가다가 2023년 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과 녹색좌파당-노동당 연합에 밀리면서 제3당을 차지했다.

2023년 선거 직전에는 자유당(PVV)과 연정 구성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지만, 해당 전략의 역풍으로 PVV가 원대 1당(...)이 되자 내각 구성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발언했다. 대신 PVV와 NSC가 극우+중도우파 소수정부를 구성하면 건설적 법안에 한해서는 신임을 공급하겠다고 선언했다. # 사실상 본인들 실책으로 극우 정권 집권이라는 결과를 만들어 냈지만, 극우 정권을 용인하되 책임은 지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3. 성향[편집]


자유주의, 정확히 말하자면 보수자유주의에 기반한 중도우파 정당으로, 당의 정강·정책은 "자유주의 정책"이라고 불린다. 기본적으로 시장경제를 지향하며, 복수국적에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이민 또한 관용보다는 통합을 추구한다. 반면 선거 문제에서는 의외로 진보적인 면모가 있는지 총리직선제와 시장직선제를 지지하지만, 아직 시행하지는 않고 있다.

지지층은 전형적인 계급 투표 양상을 보인다. 대체적으로 사업체나 자가 주택 등 자산을 보유한 계층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다만 고학력층의 지지는 평균 정도이다.[4]

한때는 당내에 강경파들도 일정 규모를 차지했으나, 2006년 탈당하여 자유당을 창당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0:25:49에 나무위키 자유민주인민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네덜란드어에서 'g'는 '헤'로, 'u'는 '위'로 발음된다. 다만 이를 잘 알지 못하는 한국 언론들이 보도기사에서 '딜란 예실즈-제스'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Yeşilgöz의 'z'의 경우 '즈'로 발음되기도 하고 방언에 따라 '스'로 발음하기도 하므로 크게 상관은 없지만.[2] 현지식으로 읽으면 '베베데' 정도가 되는데, 네덜란드인들은 보통 이렇게 부른다.[3] 네덜란드가 비례대표제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정당 난립이 심하다. 1918년 현행 비례대표제 이래 과반 정당이 단 하나도 없었으며, 한때 노동당이 원내 1당 지위를 오랫동안 유지했지만 이마저도 과반은 아니었으며, 지금은 군소 정당으로 추락.[4] 네덜란드에서도 고학력자의 소득은 저학력자의 두 배에 달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VVD 지지층 내 고학력층의 비율은 인구 평균에 근접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