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류진

덤프버전 :

파일:블러썸크리에이티브_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Creators
김중혁김초엽배명훈장류진
편혜영김금희천선란이지은권여름
권정민설재인백온유나푸름최민지
조우리박상영김지영소복이이유리
최유안김나현김희선조예은청예
* 블러썸 엔터테인먼트의 소속 배우 목록은 틀:블러썸 엔터테인먼트를 참고.



장류진
張琉珍 | Jang Ryujin
파일:JANGRYUJIN.jpg
출생1986년 (38세)
부산광역시
국적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학력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 / 학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문학 / 석사 수료)
직업소설가
소속[파일:블러썸크리에이티브_로고.png
등단2018년 「일의 기쁨과 슬픔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활동
3. 작품 목록
3.1. 단편소설
3.1.1. 개인 소설집
3.1.2. 타 지면 발표작
3.2. 장편소설
3.3. 수상



1. 개요[편집]


대한민국소설가.

1986년에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경희사이버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대학원을 다니다가 동국대학교 대학원으로 편입해 국문학을 수료했다. 2018년 소설 「일의 기쁨과 슬픔」으로 제21회 창비신인소설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2. 활동[편집]


회사에 들어가고 1년 차에 한겨레 문화센터의 소설 쓰기 강좌를 들었는데 거기서 처음 소설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대학 졸업 후 판교의 IT 회사에서 7년 이상 일한 경력이 있다. 그의 등단작인 '일의 기쁨과 슬픔' 또한 주인공이 IT 회사에 다니는 설정인데, 디테일한 묘사 등으로 관련 업계 종사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2018년 10월 창비 홈페이지에서 무료 공개가 된 후 트위터 등에서 링크가 공유되며 40만 조회수를 기록하며 인기를 얻었다.관련 기사

2019년 첫 소설집 『일의 기쁨과 슬픔』을 출간하였으며 소설집에는 총 8편의 단편소설이 수록되어 있다. 소설가 정이현은 장류진의 소설에 대해 "오늘의 한국사회를 설명해줄 타임캡슐을 만든다면 넣지 않을 수 없는 책"이라고 평가하였으며, 실제로 장류진은 소설에서 20~30대 직장인의 일상과 삶 등 현실적인 상황과 설정을 자주 활용하는 편이다.

현재는 회사를 그만 두고 전업 작가로 지내고 있다.출처

창비에서 운영하는 문학3과 스위치 웹사이트에서 신작 소설 <달까지 가자> 1,2부를 연재했다. 문학3에서는 격주로 2020년 10월 27일 부터 2020년 12월 29일까지, 스위치에서는 매일 2021년 2월 10일부터 2021년 3월 15일까지 연재했다. 이후 이야기는 2021년 4월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달까지 가자> 1부 <달까지 가자> 2부


3. 작품 목록[편집]



3.1. 단편소설[편집]



3.1.1. 개인 소설집[편집]


제목 발간연도
일의 기쁨과 슬픔2019년
연수2023년


3.1.2. 타 지면 발표작[편집]


제목 발표 지면 발표연도
일의 기쁨과 슬픔창작과비평 2018년 가을호2018년
잘 살겠습니다현대문학 2018년 12월호
백한번째 이력서와 첫번째 출근길릿터 2019년 2/3월호2019년
나의 후쿠오카 가이드문장 웹진 2019년 3월호
탐페레 공항[1]모티프 2019 신인 특집호
다소 낮음문학3 2019년 6월호
새벽의 방문자들앤솔로지 《새벽의 방문자들》
도움의 손길악스트 2019년 9/10월호
연수창작과비평 2019년 겨울호
펀펀 페스티벌문학동네 2019년 겨울호
도쿄의 마야릿터 2020년 2/3월호2020년
미라와 라라에픽 #032021년
공모문학과사회 2021년 여름호
라이딩 크루자음과 모음 2022년 겨울호2022년
동계올림픽창작과 비평 2023년 여름호2023년

3.2. 장편소설[편집]


제목 발간연도
달까지 가자2021년


3.3. 수상[편집]


연도시상식작품명
2018제21회 창비신인소설상일의 기쁨과 슬픔
2020제11회 젊은작가상「연수」
제7회 심훈문학대상「도쿄의 마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3:17:18에 나무위키 장류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발표 당시 제목은 「Do or Do 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