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재호

덤프버전 :

전재호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2e57a6><width=20%> 초대 ||<width=20%> 2대 ||<width=20%> 3대 ||<width=20%> 4대 ||<width=20%> 5대 ||
|| 김현수
(2004) || 임중용
(2005~2008) || 노종건
(2008) || 이준영
(2009) || 전재호
(2010) ||
||<rowbgcolor=#2e57a6>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배효성
(2011) || 정인환
(2012) || 김남일
(2013) || 박태민
(2014) || 유현
(2015) ||
||<rowbgcolor=#2e57a6>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김동석
(2015~2016) || 김도혁
(2017) || 최종환
(2017~2018) || 남준재
(2019) || 정산
(2019) ||
||<rowbgcolor=#2e57a6>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이재성
(2020) || 김호남
(2020) || 김도혁
(2021) ||<bgcolor=#e0ffdb,#073300> 오반석
(2022~ ) || ||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5대
이을용
(2009)
정경호
(2010~2011)
서동현
(2011)
이을용
(2011)
김은중
(2012)
6대7대8대9대10대
전재호
(2013)
배효성
(2013)
김오규
(2014)
황교충
(2015)
백종환
(2015~2017)
11대12대13대14대15대
정조국
(2018)
오범석
(2018~2020)
임채민
(2020~2021)
김동현
(2022)
임창우
(2023)
16대17대18대19대20대
한국영
(2023~ )



전재호의 기타 정보

인천 유나이티드 FC 공식 레전드
파일:파검20번.jpg
임중용
파일:파검1번.jpg
김이섭
파일:파검17번.jpg
전재호
파일:파검6번.jpg
김학철



대한민국의 축구 감독
파일:hlv-chun-jae-ho.jpg
이름전재호
Chun Jae-Ho
출생1979년 8월 8일 (44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168cm, 67kg
직업축구 선수 (미드필더[1], 수비수[2] / 은퇴)
축구 감독
등번호17번
학력무학초 - 중대부중 - 중대부고 - 홍익대
소속선수성남 일화 천마 (2002~2003)
인천 유나이티드 FC (2004~2011)
부산 아이파크 (2012)
강원 FC (2012~2013)
코치인천대건고등학교 축구부 (2015~2016) 비엣텔 FC (2019~2020 / 수석 코치)
하노이 FC (2021 / 수석 코치)
감독인천대건고등학교 축구부 (2017~2018)
하노이 FC (2022 / 감독 대행)
하노이 FC (2022~2023)
국가대표9경기 1골 (대한민국 U-20 / 1998~1999)

1. 개요
3. 지도자 경력
4. 국가대표 경력
5. 플레이 스타일
6.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 현역 시절 좌측 윙백을 주로 맡았으며, 인천 유나이티드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구단 레전드이다.

2. 선수 경력[편집]


파일:전재호인천17.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전재호/선수 경력#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지도자 경력[편집]


파일:mug_obj_148737459251261365.jpg

은퇴 이후 코치 전환 준비를 한 전재호는 2015년 인천대건고등학교의 코치로 부임하면서 다시 인천과 인연을 맺었다. 당시 대건고의 감독이 임중용이다보니 많은 팬들은 전재호 선임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았다.

2017년 임중용이 성인 팀 코치로 보직을 변경하면서 후임으로 대건고의 감독으로 승진했다.

2019년 이흥실 감독이 있는 베트남 비엣텔 FC 코치로 부임해 비엣텔에서 2년 간 수석 코치로 활동했다.

이후 2021년 박충균 감독이 새로 부임한 하노이 FC의 수석코치로 부임했다.

2022시즌을 앞두고 박충균 감독이 물러나며 감독 대행으로 팀을 이끌었고, 대행으로 4승 1무를 거며 정식 감독으로 승진했다.

하이퐁 FC와의 1위 경쟁 끝에 한 경기를 남겨놓고 V.리그 1 2022시즌 우승을 조기 확정지었으며, 2022 베트남 컵에서도 빈딘 FC를 꺾고 우승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시즌 끝나고 물러났다.


4. 국가대표 경력[편집]


상기했듯 1999년 U-20 대표팀의 일원으로 FIFA U-20 월드컵에 참여하며 그 잠재력을 인정 받았다. 성인 대표로는 2003년 10월 성남 시절 움베르투 코엘류가 그를 발탁하면서 데뷔 기회를 잡았으나, 출전은 불발되었다. 이후에도 코엘류 밑에서 두 차례 더 발탁되었고 인천 이적 이후에도 명단에 들었지만 부상으로 낙마하면서 끝내 출전하지 못했다. 2004년 이후로는 국가대표와 인연이 없었지만, 이러한 이력으로 인천 유나이티드 소속 첫 국가대표 발탁 선수라는 기록을 남겼다.[3]

5. 플레이 스타일[편집]


피지컬 조건이 우월하지는 않았으나, 악착같은 모습과 활동량을 갖춘 선수였고 거기에 돌파 능력과 왼발 킥력도 호평을 받던 선수였다. 전성기에는 확실히 리그 최고 수준의 측면 자원 소리를 듣기에 부족함이 없었고, 인천의 팀 컬러와 워낙 잘 맞다보니 인천에서 오랫동안 부동의 주전으로 평가받을 수 있었다. 공격적인 재능이 돋보인 선수였으나, 이에 비해서 수비 능력은 다소 평범한 축이었다. 전재호가 뛰는 기간에 인천이 쓴 전술은 쓰리백이었으므로 윙백 자리에서는 상대적으로 이런 약점이 가려질 수 있었지만, 종종 수비력에 대한 아쉬움을 표하는 팬들도 있었다. 그리고 이 부족한 수비력을 메우기 위해 지나치게 거친 플레이가 잦았는데, 타 팀 팬들에게는 이런 행동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었다.


6.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5:05:55에 나무위키 전재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윙어, 공격형 미드필더[2] 윙백, 풀백[3] 출전을 기준으로 보면 김치우가 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