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구용(정치인)

덤프버전 :

파일:하동군 CI.svg 경상남도 하동군수
관선민선1-2기민선3-5기
POPULAR
ELECTION
START
38-39대
정구용
40-42대
조유행

鄭九鎔

1. 개요
2. 선거 이력
3. 둘러보기

1943년 1월 15일 ~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다.

1943년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애치리680에서 태어났다. 1964년 경상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였다.

경상대학교 졸업 후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경상남도청, 사천.창녕.남해.진양군 지도소, 창녕.고성군 농촌지도소 기술담당관, 경남 농촌진흥원 기술보급과장, 경남도 농림국 농산과장. 농산물원종장장, 하동.남해군 부군수 등을 지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경상남도 하동군수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남도 하동군수 선거에 단독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4.11.3~2007.11.15까지 한국지도자육성장학재단 이사장을 역임 하였다.

2.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5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남 하동군수
ta-hash-start=w-22724bd8c093def8cd116f40453c2f5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2,812 (34.19%)당선 (1위) 초선
1998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34,200 (100.00%)재선[1][2]

역대 선거 벽보


3. 둘러보기[편집]


파일:경상남도 도기(1974-1999).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0%><bgcolor=#0000A8> 창원 ||<width=20%><bgcolor=#0000A8> 마산 ||<bgcolor=#808080> 진해 ||<width=20%><bgcolor=#0000A8> 김해 ||<width=20%><bgcolor=#808080> 양산 ||
|| 공민배 || 김인규 || 김병로 || 송은복 || 손유섭 ||
||<bgcolor=#0000A8> 진주 ||<bgcolor=#808080> 거제 ||<bgcolor=#0000A8> 통영 ||<bgcolor=#0000A8> 고성 ||<bgcolor=#0000A8> 밀양 ||
|| 백승두 || 조상도 || 고동주 || 이갑영 || 이상조 ||
||<bgcolor=#0000A8> 창녕 ||<bgcolor=#808080> 남해 ||<bgcolor=#0000A8> 하동 ||<bgcolor=#808080> 사천 ||<bgcolor=#0000A8> 의령 ||
|| 김진백 || 김두관 || 정구용 || 하일청 || 전원용 ||
||<bgcolor=#0000A8> 함안 ||<bgcolor=#0000A8> 산청 ||<bgcolor=#808080> 함양 ||<bgcolor=#0000A8> 거창 ||<bgcolor=#808080> 합천 ||
|| 조성휘 || 권순영 || 정용규 || 정주환 || 강석정 ||
||<-5> * 권한대행. ||
||<-5>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파일:경상남도 도기(1974-1999).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0%><bgcolor=#0000A8> 창원 ||<width=20%><bgcolor=#0000A8> 마산 ||<width=20%><bgcolor=#0000A8> 진주 ||<width=20%><bgcolor=#0000A8> 김해 ||<width=20%><bgcolor=#0000A8> 양산 ||
|| 공민배 || 황철곤 || 백승두 || 송은복 || 안종길 ||
||<bgcolor=#0000A8> 거제 ||<bgcolor=#0000A8> 통영 ||<bgcolor=#0000A8> 고성 ||<bgcolor=#0000A8> 밀양 ||<bgcolor=#0000A8> 창녕 ||
|| 양정식 || 고동주 || 이갑영 || 이상조 || 김진백 ||
||<bgcolor=#00AA7B> 남해 ||<bgcolor=#0000A8> 하동 ||<bgcolor=#0000A8> 사천 ||<bgcolor=#0000A8> 의령 ||<bgcolor=#0000A8> 함안 ||
|| 김두관 || 정구용 || 김수영 || 전원용 || 진석규 ||
||<bgcolor=#0000A8> 산청 ||<bgcolor=#808080> 함양 ||<bgcolor=#808080> 거창 ||<bgcolor=#808080> 합천 ||<bgcolor=#808080> 진해 ||
|| 권순영 || 정용규 || 정주환 || 강석정 || 김병로 ||
||<-5> * 권한대행. ||
||<-5> 민선 1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7:31:16에 나무위키 정구용(정치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독출마[2] 이 당시에는 지방자치단체장의 경우 무투표 당선이 없었다. 2010년 1월 25일 법 개정으로 지방차치단체장 역시 무투표 당선이 생긴 것이다.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