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옥임

덤프버전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정옥임
鄭玉任 | Jung Ok-im
파일:정옥임.jpg
본관경주 정씨[1]
출생1960년 1월 25일 (64세)
서울특별시
학력서울월계초등학교 (졸업)
성신여자중학교 (졸업)
성신여자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 / 학사[2])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3] / 석사[4]·박사[5])
소속 정당
무소속

의원 선수1
의원 대수18
신체166cm
약력미국 후버연구소 객원 연구위원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동북아정책연구센터 연구위원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 정책전문위원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KBS 객원해설위원
국가정보원 정책자문위원
외교통상부(현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국방부 정책자문위원
선문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한나라당 국제위원회 부위원장
한나라당 원내대변인
종교불교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구독자 수
11.6만명 2023년 12월 15일 기준[6]

1. 개요
2. 생애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유튜버.


2. 생애[편집]


1960년 1월 25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서울월계국민학교(현 광운초등학교)와 성신여자중학교, 성신여자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전공으로 1991년 정치외교학 석사, 1995년 정치외교학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제19번)로 입후보하여 당선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옆 지역구 현역 국회의원이던 김충환과의 경선에서 승리하여 새누리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동구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그러나 민주통합당 심재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3년 1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이사장을 지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의 서울특별시 서초구 선거구 경선에 출마하였으나 이동관, 강석훈 등과 함께 전 서초구청장 박성중에 밀려 탈락하였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정국 하에서 종합편성채널 패널로 자주 출연하였고, 2018년 9월 14일부터 김근식 경남대학교 교수와 함께 2시 뉴스외전 정치 와호장룡의 금요일 패널로 출연했다.

2021년, 유튜브 정옥임TV를 진행하고 시사쇼 이것이 정치다의 패널로 활동했다. 더 이상 정치를 하지 않겠다고 하는데, 현실 정치에 대한 미련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정국에 대해서 국민의힘 입장을 대변하는 패널로 실시간 방송을 자주 출연하고 있다.


3. 소속 정당[편집]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421,727 (37.48%)당선 (19번)초선
2012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강동 을)
ta-hash-start=w-aca7778d12bb4e39ecd4dc32b8744353[[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3,537 (45.83%)낙선 (2위)


5. 둘러보기[편집]


파일:한나라당 흰색 아이콘.svg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제18대 국회 비례대표
[ 펼치기 · 접기 ]

강명순임두성[B]배은희강성천이정선김장수
김소남정진석[B]이은재이달곤[B]김금래[B]나성린
조윤선조문환손숙미원희목이애주이춘식
정옥임임동규김옥이이정현이두아김성동
최경희이영애
[B] A B C D 임기 중 사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9:59:40에 나무위키 정옥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 특차로 수석 입학, 수석 졸업[3] 국제정치학 전공[4] 석사 학위 논문 : 日本의 FS-X 開發.生産決定分析(일본의 FS-X 개발.생산결정분석, 1991).[5] 박사 학위 논문 : 準 危機管理에 있어서의 多次元 흥정 : 클린턴 行政府의 對北 核 政策에 관한 理論的 考察(준 위기관리에 있어서의 다차원 흥정 : 클린턴 행정부의 대북 핵 정책에 관한 논리적 고찰, 1995).[6] 2022년 9월 12.1만까지 기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