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주 버스 315, 316

덤프버전 :

||



파일:제주3139버스.jpg파일:316제주.jpg
315번316번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주요 관광지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시 간선버스 31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제주315_노선도.png
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수산회차지)종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건입동(국제여객선터미널)
종점행첫차06:10
06:05(외도초 출발)
기점행첫차06:10
06:00(제주버스터미널 출발)
막차20:45
21:20(동문로터리 종료)
막차20:40
21:10(하귀초 종료)
배차간격35~45분
운수사명제주여객인가대수7대[1]
노선수산리사무소앞 - 하귀초등학교 - 하귀휴먼시아1,2단지 - 외도부영1,2차아파트 - 내도동 - 현사마을 - 이호2동(대동마을) - 정든마을3단지 - 백록초등학교 - 노형우체국 - 원노형 - 메종글래드제주 - 은남동 - 제주도청(신제주로터리) - 제주국제공항 - 월성마을 - 제주버스터미널 - 광양 - 중앙로사거리 - 동문시장 - 제주국제여객선터미널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시 간선버스 31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제주316_노선도.png
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2리(번대동)종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일동(삼양종점)
종점행첫차06:30
06:05(하귀초 출발)
기점행첫차05:40
막차21:30막차20:55
21:50(외도부영아파트 종료)
배차간격35~45분
운수사명제주여객인가대수7대[2]
노선번대동 - 하귀초등학교 - 하귀휴먼시아1,2단지 - 외도부영1,2차아파트 - 내도동 - 현사마을 - 오광로(오도마을)[단독] - 백록초등학교 - 노형우체국 - 원노형 - 메종글래드제주 - 은남동 - 제주도청(신제주로터리) - 제주국제공항 - 용담사거리 - 관덕정 - 동문로터리 - 사라봉 - 오현중고교 - 화북주공아파트 - 삼양종점


2. 개요[편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간선버스 노선으로, 제주여객에서 운행한다. 왕복 운행거리는 55.2km(315), 57.4km(316)다. 315번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16번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대화여객 시절부터 운행해온 노선이며 함덕에서 동문로터리, 용담, 삼무공원, 제주민속오일시장, 이호2동을 거쳐 하귀초등학교까지 운행했던 인 제주시 노선이었다.[3]
  • 2005년 대화여객이 부도 및 면허 취소로 인해 시외버스 5개사가 이 노선을 인수하였으며, 기존 운행구간이었던 신광사거리에서 한라병원과 노형우체국, 노형주공아파트, 민속오일장입구로 약간의 노선 변경이 이루어졌다.
  • 2012년 3월 5일 공항입구 경유에서 제주공항 1층 버스 정류장 양방향 경유로 바뀌었다.
  • 2017년 8월 26일 제주 버스 개편으로 315번 노선이 신설됨에 따라 원래의 노선은 316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으며, 종점이 삼양일동으로 단축되었고, 동부권은 325, 326번으로 대체됐다.
  • 2017년 9월 23일 중첩구간(하귀 ~ 제주국제공항) 배차 문제로 시간표가 부분 조정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2년 3월 7일부터 운행시간표가 변경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4. 특징[편집]


  • 315번 노선 자체는 구. 38번(현 316번)(하귀 ~ 제주국제공항), 구. 100번(현 332번)(제주국제공항 ~ 중앙로사거리), 구. 92번(현 415번)(광양사거리 ~ 국제부두) 구간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316번 노선의 경우, 이 노선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37번(번대동 ~ 관덕정), 38번(하귀 ~ 제주국제공항 ~ 삼양)을 대체했다. 그리고 이호테우해변사거리 - 오광로 구간은 이 노선 단독 구간인데 시간이 맞지 않을 경우 도보로 약 20분 정도 걸어야 해안가 노선 또는 백록초등학교 노선들을 이용할 수 있다. 반대편 삼양1동(삼양해변) 근처에 사는 경우 만약에 신제주로 가기 바쁜데 이 버스를 놓칠 경우에는 331, 332번를 탈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려고 해도 배차간격 때문에 타이밍 놓치면 조금 난감해질 수 있다.
  • 315번 노선의 경우, 2020년 11월 에디슨 e-화이버드 전기 저상버스가 도입되어 전 차량이 전기버스가 되었지만 배차간격에 변화는 없다. 316번 노선 또한 2019년 12월 중순부터 모든 차량이 전기저상버스인 에디슨 e-화이버드로 교체되었다.[4] 제주여객 이호동 제2차고지 및 제주항 여객선터미널 내에서 충전을 한다.
  • 배차 간격이 40분으로 긴 편인데 이는 서로 통합 배차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하귀에서 제주공항 구간은 20분 정도의 배차 간격이라고 보면 된다.
  • 제주여객 노선 중 유일한 제주시 간선버스이다.

4.1. 시간표[편집]


315번 노선 시간표, 316번 노선 시간표


5. 주요 관광지[편집]


  • 315번: 삼성혈,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동문시장, 오현단, 산지천, 김만덕기념관, 사라봉, 제주민속오일시장
  • 316번: 삼양검은모래해변, 국립제주박물관, 사라봉, 산지천, 제주동문시장, 칠성로 쇼핑거리, 관덕정(제주목관아지), 용두암, 용연구름다리, 이호테우해변, 제주 올레길 17, 18코스


6. 둘러보기[편집]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제주국제공항 경유 버스
[ 펼치기 · 접기 ]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2:59:50에 나무위키 제주 버스 31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차량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2] 차량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3] 2006년 7월 1일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로 출범되기 전까진 함덕리는 제주도 북제주군 조천읍 함덕리, 하귀리는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하귀리였고 대화여객 차고지 및 회사는 제주시내에 있으니 인 제주시 노선이 맞다. 물론 지금은 제주시와 통폐합돼서 당연히 인 ○○ 노선이 아니다. 이건 한라산 남쪽 도시에 있는 구 120번, 130번 버스도 해당되며, 해당 노선은 이 노선으로 번호가 변경되어 운행하고 있다.[4] 삼영교통370번, 380번도 모든 차량이 에디슨 e-화이버드로, 이쪽은 충전을 제주대학교병원 쪽에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