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주 버스 331, 332

덤프버전 :

||


파일:금남여객_331_3090.jpg파일:금남여객_332_3096.jpg
331번[1]332번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주요 관광지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시 간선버스 33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제주버스331 노선도.png
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일동(삼양종점)종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한라수목원)
종점행첫차06:20
06:50(삼양3동 출발)
기점행첫차06:10
막차21:20막차21:30
배차간격25~50분
운수사명금남여객인가대수12대
노선삼양종점(삼양포구) - 삼양초등학교 - 화북주공아파트 - 오현중고교 - 거로사거리 - 신천동 - 이도2동행정복지센터 - 제주시청 - 제주버스터미널 - 제주국제공항 - 신성마을 - 제주서중학교 - 제주민속오일시장 - S중앙병원 - 노형주공아파트 - 백록초등학교 - 제주한라대학 - 제주고등학교(중흥S클래스) - 한라수목원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시 간선버스 332번
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일동(삼양종점)종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한라수목원)
종점행첫차06:00기점행첫차06:30
06:10(제원아파트 출발)
막차21:45막차22:00
배차간격30~50분
운수사명금남여객인가대수12대
노선삼양종점(삼양포구) - 삼양초등학교 - 화북주공아파트 - 오현중고교 - 천수동 - 인화동 - 일도2동주민센터 - 제주여상 - 동문로터리 - 중앙로사거리 - 광양 - 제주버스터미널 - 제주국제공항 - 제주도청(신제주로터리) - 수협제주도지회 - 제원아파트 - 신제주오피스텔 - 한라중학교 - 제주고등학교 - 한라수목원


2. 개요[편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간선버스 노선으로 금남여객에서 운행한다. 왕복 운행거리는 43.2km(331), 38.8km(332)다. 331번 전체 정류장 목록, 332번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개편 전에는 100번 공항좌석버스 노선으로 삼영교통이 창립된 1983년부터 첫 운행을 시작했으며, 원래 공항 ~ 제주항 여객터미널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 2005년 대화여객 파업 및 면허 취소로 인해 이를 대체하기 위해 삼양 ~ 한라대로 개편했다.
  • 2017년 8월 26일 제주 버스 개편에 따라 330-1번은 신설하고, 330-2번은 100번 노선을 승계하였다. 그리고 운영업체는 삼영교통에서 금남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2017년 9월 11일부터 부분 조정으로 제주국제공항을 양방향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17년 12월 28일부터 330-1번은 331번, 330-2번은 332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다만 시간표는 그대로 통합으로 적용된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19년 12월 26일에 운행시간표가 일부 조정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1년 11월 5일부터 운행 시간표가 조정된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4. 특징[편집]


  • 331번과 332번은 인가대수는 12대이며 차량은 고정 운행이 아닌 정해진 배차 시간대에 맞춰 운행한다. [2]

  • 이 두 노선은 삼양 - 고으니모르/제주박물관[7], 광양사거리 - 제주국제공항, 제주고 - 한라수목원(즉 신제주 지역 기종점, 그리고 일부 구간)만 동일하고, 나머지 중간 경유지가 심하게 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 331번(舊 95번)은 연삼로-제주시청[3], 제주시민속오일장-노형지구[4]
    • 332번은 천수동-중앙로(동문로터리)[5], 신제주로터리-제원아파트-연동지구[6](舊 100번 구간)

  • 332번 버스(구. 100번 버스)가 워낙 30년 넘게 운행한 노선이다 보니 인지도도 높고 수요도 많다. 보통 신제주를 지나는 노선의 주요 레퍼토리인 신제주로터리 - 연동주민센터 - 제원아파트 - 한라병원 - 노형오거리 테크를 밟지 않고 바로 연동지구로 가기 때문에 연동지구 아파트 주민들의 구세주이다. 눈앞에서 360번을 놓쳐도 이 노선을 타고 신제주로터리에 내리면 따라잡을 수 있다.(...)

  • 331, 332번 모두 일부 차량은 삼양종점 정 반대편인 삼양3동포구에서 출발한다. (한라수목원 방향 331번 3회, 332번 6회 / 삼양 방향 331번 4회, 332번 5회) 삼양3동포구 착발 차량은 삼양1동과 검은모래해변 입구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이용시 주의해야 한다... 만 그냥 간단하게 가물개공원 정류장에서 내려서 걸어가면 된다.

  • 삼양동 선사유적지 이후 해변 방향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삼양종점 착발인 경우 : 삼양1동(착)/삼양해수욕장 입구(발)↔삼부장미아파트 입구(착)/삼양1동(발)↔삼양종점
    • 삼양포구 착발인 경우[8] : 가물개공원↔알카름동산[9]↔삼양3동↔삼양3동포구

  • 이렇게 노선 경로가 심하게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 배차로 다니고 있으며, 2017년 12월 부번호를 삭제하기 전까지는 이 문제로 불만이 상당히 많았다. 지금은 적응이 되었긴 했지만 배차 간격이 예전 100번 시절에 비하면 다소 긴 탓에 특히 삼양2동을 제외[10]하고 화북, 신제주(연동, 노형동) 주민들의 불만이 많다.

4.1. 시간표[편집]


331번 노선 시간표, 332번 노선 시간표


5. 주요 관광지[편집]


삼양검은모래해변, 국립제주박물관, 사라봉, 제주동문시장, 산지천, 제주 올레길 17, 18코스, 칠성로 쇼핑거리, 삼성혈,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민속오일시장, 넥슨컴퓨터박물관, 한라수목원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제주국제공항 경유 버스
[ 펼치기 · 접기 ]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2:03:24에 나무위키 제주 버스 33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위 사진은 예비차량이다[2] 예를 들어 한라수목원 방면으로 운행할 때 시간대가 331번이면 331번 경로로 오고, 반대로 삼양 방면으로 올 때 332번 운행 시간대면 332번으로 바꿔서 운행한다.[3] 6호광장/거로4거리-신천동-동광초-경제통상진흥원-이도2동주민센터-고산동산/시청[4] 신광사거리-신성마을/제성마을-제주서중-민속오일장/월랑로/S중앙병원-노형주공-방통대-백록초/광평동로/제주한라대-시티주유소-제주중흥S클래스A[5] 천수동-인화동/일도2동주민센터/인화동입구-제주여상/동초-동문로터리/중앙로-시민회관-광양[6] 신제주로터리-수협 도지회-삼무공원-제원A-신제주오피스텔-연동대림(1차/2차)A-한라중/부영A[7] 이전 기록의 6호광장은 331번 한정 노선 시작점이다.[8] 정류장명이 동일하므로 착발별 표기 없음[9] 정류장 신설[10] 삼양2동은 삼양동 내에서 대부분의 버스가 경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