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19보병여단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독수리)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독수리부대 문서
독수리부대번 문단을
독수리부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지상작전사령부
군단사단예하 여단
직할사단한미연합사단제16기계화보병여단
36사단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55사단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수도17사단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포병여단
51사단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제169보병여단
I1사단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포병여단
9사단제28보병여단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포병여단
25사단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제72보병여단 · 포병여단
II7사단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포병여단
15사단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제50보병여단 · 포병여단
III12사단제17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포병여단
21사단제31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포병여단
22사단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제56보병여단 · 포병여단
V3사단제18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포병여단
5사단제27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포병여단
6사단제2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19보병여단 · 포병여단
28사단제80보병여단 ·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포병여단
VII수도사단제1기계화보병여단 · 제16기계화보병여단 · 제26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8사단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 제60기계화보병여단 ·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11사단제9기계화보병여단 · 제13기계화보병여단 · 제61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2사단제201신속대응여단 · 제203신속대응여단
제2작전사령부
사단예하 여단
직할사단31사단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제96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32사단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35사단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제106보병여단
37사단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제112보병여단
39사단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50사단제120보병여단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501보병여단
53사단제125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사령부사단예하 여단
수방사52사단제210보병여단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56사단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제221보병여단
동전사60사단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포병여단
66사단제187보병여단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포병여단
72사단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포병여단
73사단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제206보병여단 · 포병여단
75사단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포병여단
■ 보병사단 ■ 기계화/기동사단 공정사단 ■ 지역방위사단(구 향토) ■ 동원사단 ■ 기타부대
{{{#fffffc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보병여단 | 기계화여단 | 포병여단 | 기갑여단 | 산악여단 | 공병여단 | 군수지원여단 | 방공여단 | 경비여단 | 공수특전여단 | 신속대응여단 | 정보통신여단 | 항공여단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제6보병사단.svg파일:투명.png
제6보병사단 예하부대
제2보병여단제7보병여단제19보병여단
포병여단
[ 사단 직할대 ]

본부근무대수색대대공병대대정비대대보급수송대대
제22전차대대정보통신대대
군사경찰대의무근무대화생방대대방공중대보충중대

※ 사단 신병교육대는 제6보병사단/신병교육대 참고.


제19보병여단
第十九步兵旅團
19th Infantry Brigade
파일:19rgt.jpg
창설일1948년 11월 20일(제19보병연대)
2020년 12월 1일(제19보병여단)
상징명칭육탄독수리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제6보병사단
규모여단
역할6사단 예비대
여단장대령 강지헌 (육사 55기)
위치경기도 포천시

1. 개요
2. 특징
3. 편제
3.1. 여단 직할대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3.3. 제1대대 진격
3.4. 제2대대 돌격
3.5. 제3대대 신병교육대
4. 출신인물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5.2. 여단가
6. 사건 사고
7.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 제5군단 제6보병사단 예하 제19보병여단. 상징명칭육탄독수리.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19보병연대 역시 2020년부로 여단급으로 격상되었다.


2. 특징[편집]


1948년 11월 20일, 전라도 광주에서 창설되어 1949년 6월 20일 제7보병사단 창설 때 근간 연대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부대 이동에 따라 돌고 돌다 제6보병사단으로 예속되었고, 이는 현재도 이어지고 있다.[1]



여느 전방사단 예비연대들처럼 신교대 운영 및 훈련에 치여산다. 1년에 150일은 밖에서 훈련 뛰느라 정신 없다는 이야기도 있다. 덕분에 분소대급 전투는 끝장나는 곳이다. 다행스럽게도(?) 코로나 사태 이후로는 훈련 횟수가 많이 줄어들었다. 줄어들었다기 보다는 자잘한 훈련을 제외한 큰 훈련을 쉽게 진행할 수가 없는 상황.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정부 방역정책이 변경되면서 코로나 이전의 19여단이 부활하고 있다.

3. 편제[편집]



3.1. 여단 직할대[편집]


  • 본부대
  • 수색중대(GP) - 독수리
  • 통신중대
  • 수송대
  • 의무중대
  • 포병대(舊 전투지원중대) -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전투지원중대에서 포병대로 개편.[하지만]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편집]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었다.

3.3. 제1대대 진격[편집]


여단 본부와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부대가 전체적으로 작고 연병장이 협소해 뜀걸음 시 여단으로 도보로 이동해 실시한다.

3.4. 제2대대 돌격[편집]


1대대와 5분 정도 되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1대대보다 크기가 크며, 2021년에 KCTC 전투실험을 진행했다.

3.5. 제3대대 신병교육대[편집]


사단 신병교육대로, 여단 예하 나머지 대대와는 다르게 홀로 철원에 위치하고 있다. 제6보병사단/신병교육대 참고.

4. 출신인물[편집]



4.1. 여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역대 제19보병여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민병권대령연대장
2대김익렬중장제1군단장, 제2군단장
3대박광혁대령연대장
4대임익순대령연대장
5대송호림중장육사 3기연대장
6대허형순대령연대장
7대김한주대령연대장
8대김광순대령연대장
9대김영하준장연대장
10대안광수대령연대장
11대김봉욱대령연대장
12대임동섭대령연대장
13대김춘집준장연대장
14대이수춘대령연대장
15대김상옥대령연대장
16대신현수중장연대장
17대김봉수소장연대장
18대장근환소장연대장
19대송병준대령연대장
20대신재성소장연대장
21대장영돈준장연대장
22대이계환대령연대장
23대김원태소장연대장
24대박재홍대령연대장
25대이종식준장연대장
26대서정원대령연대장
27대박익순중장연대장
28대장재식준장연대장
29대윤용남대장연대장
30대정병두준장연대장
31대한승의중장연대장
32대정화언소장연대장
33대김종걸대령연대장
34대신일순대장연대장
35대김정규대령연대장
36대이경민대령연대장
37대이성출대장연대장
38대박명록대령연대장
39대김종해소장연대장
40대김삼봉대령연대장
41대이정은준장연대장
42대송철헌대령연대장
43대유정권준장연대장
44대신기철대령연대장
45대박원수소장연대장
46대이동재준장연대장
47대김재근대령연대장
48대하병호대령연대장
49대이홍우준장연대장
50대소영민예)중장학사 11기육군특수전사령관
51대윤성은대령육사 46기제25보병사단 작전부사단장
52대박진범대령301경비연대
53대박홍근대령육사 48기육군정보학교 정보생산학과장
54대최훈준장육사 48기수도방위사령부 참모장
55대라경수대령육사 51기제66보병사단 제188보병여단장, 現 국방부 근무지원단 참모장
56대김우영대령육사 52기제11기동사단 참모장
57대강지헌대령육사 55기여단장


4.2. 장교/부사관[편집]


  • 문병삼: 육사 49기, 현 합동참모본부 작전기획부장(소장). 중령 시절 예하 1대대장을 역임하였다.
  • 윤봉희: 육사 50기, 현 국방부 정책기획관(소장). 대위 시절 예하 3대대 9중대장을 역임하였다.

4.3. 병[편집]


  • 빈지노 : 19연대 전투지원중대 박격포소대에서 복무.


5. 기타[편집]



5.1. 근무환경[편집]



5.2. 여단가[편집]


역사 문화 찬란한 대한의 남아

세기의 혼동속에 홀연 일어서

전방곳곳 발 닿는 곳 그 어디던지

싸우자 이기자 19연대다[2]



6. 사건 사고[편집]


1968년 휴가를 받은 이 부대의 하사 분대장이 경상북도 안동에 수류탄을 던져 살상한 사건이 있었다.

2017년 9월 26일 19연대 1대대 소속 이 모 일병(당시 만 22세)이 진지공사 후 소대원들과 함께 하산하던 중 인근 사격장으로부터 날아온 유탄에 안면을 직격으로 맞아 사망했다. 제6보병사단 소속 일등병 유탄 사망사건 참고.


7.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10:52에 나무위키 제19보병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반대로 6사단의 근간 연대 중 하나였던 8연대와 춘천 전투의 주역인 16포병대대는 현재 7사단 예속이다.[하지만] 여전히 4.2인치 박격포를 운용중이며 부대명도 전투지원중대로 통용된다.[2] 여단에선 점심시간마다 여단가를 틀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