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당선인 통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 개요
2. 직업
3. 학력
4. 성별 및 연령별
5. 선수
6. 후보 수
7. 득표



1. 개요[편집]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2018년 재보궐선거 당선인들에 대한 통계이다.


2. 직업[편집]


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치인 출신 당선인
당선직국회의원지방의원교육감교육의원정치인
광역자치단체장1700008
기초자치단체장2260900108
광역자치의원(지역구)737012700287
광역자치의원(비례)87000021
기초자치의원(지역구)2,541074700548
기초자치의원(비례)3850000104
교육감17001200
교육의원500030
국회의원1200005

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비정치인 출신 당선인
당선직농ㆍ축산업상업광공업운수업수산업건설업언론인금융업약사ㆍ의사변호사종교인회사원교육자정보통신업출판업공무원무직기타
광역자치단체장17000000000100100403
기초자치단체장22632000001160060054630
광역자치의원(지역구)7372725221101046024150044198
광역자치의원(비례)8702000100300114000144
기초자치의원(지역구)2,541176166251062011130712731325680
기초자치의원(비례)3851916010201120141910014191
교육감17000000000000200012
교육의원0000000000000000020
국회의원12100000001000000005

3. 학력[편집]


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학력별 당선인
당선직미기재무학(독학)초퇴초졸중재중퇴중졸고재고퇴고졸전문대재전문대퇴전문대졸대재대퇴대학수료대졸대학원재대학원퇴대학원수료대학원졸
광역자치단체장17000000000000000080009
기초자치단체장226000000002600112216110014117
광역자치의원(지역구)7373001010012800551914025140448272
광역자치의원(비례)87000000000500530126101135
기초자치의원(지역구)2,5414831100631572251717391126601383613112100502
기초자치의원(비례)385150040070055215721621081501874
교육감17000000000000000070028
교육의원5000000000000000000005
국회의원12000000000000000040017


4. 성별 및 연령별[편집]


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별 및 연령별 당선인
당선직성별연령별 당선인 수연령 관련 값
30세 미만30세이상
40세미만
40세 이상
50세 미만
50세 이상
60세 미만
60세 이상
70세 미만
70세 이상평균나이최연소최고령
광역단체장1717000079160.8세50세71세
기초단체장22621880019104967
광역의원(지역구)737639981321773751502
광역의원(비례)87256249224660
기초의원(지역구)2,5412,015526221445351,31550916
기초의원(비례)3851137442286185862
교육감17152000412162.3세53세74세
교육의원55000004165.2세62세71세
국회의원1212000192055.6세48세68세

5. 선수[편집]


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선수별 당선인
당선직초선재선삼선사선오선평균 선수
광역자치단체장17명10명[1]4명[2]3명[3]--1.6(1.59)
기초자치단체장226명135명[4]55명[5]29명[6]7명[7]-1.5(1.49)
광역자치의원(지역구)
광역자치의원(비례)
기초자치의원(지역구)
기초자치의원(비례)
교육감17명5명[8]8명[9]4명[10]0명0명1.9(1.88)
교육의원5명2명2명1명0명0명1.8(1.80)

6. 후보 수[편집]


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 수
당선직후보 수
무투표2인3인4인5인6인 이상최소 후보 수최대 후보 수평균 후보 수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자치의원(지역구)24
광역자치의원(비례)
기초자치의원(지역구)
기초자치의원(비례)
교육감
교육의원

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선거비 보존 후보 수
당선직선거비 전액 보존 후보 수[11][12]
1인2인3인4인 이상평균 수최소값최대값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자치의원(지역구)
광역자치의원(비례)
기초자치의원(지역구)
기초자치의원(비례)
교육감
교육의원

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투표 당선인
당선직선거구명정당명성명성별생년월일직업학력경력


7. 득표[편집]


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득표 통계
당선직당선자 최대 득표당선자 최소 득표1위와 2위와 차이평균
최대 득표수최대 득표율최소 득표수최소 득표율최대 득표율 차최대 득표수 차최소 득표율 차최대 득표수 차평균 득표수평균 득표율
광역자치단체장2,619,497표84.1%96,896표51.7%
기초자치단체장385,071표77.21%5,414표37.18%
광역자치의원(지역구)
광역자치의원(비례 투표)
기초자치의원(지역구)
기초자치의원(비례 투표)
교육감
교육의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5:51:53에 나무위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당선인 통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거돈 부산시장, 박남춘 인천시장, 이용섭 광주시장, 허태정 대전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이재명 경기지사, 양승조 충남지사, 김영록 전남지사, 김경수 경남지사(이상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철우 경북지사(자유한국당 소속)[2] 권영진 대구시장(자유한국당), 이춘희 세종시장, 송하진 전북지사(이상 더불어민주당), 원희룡 제주지사(무소속 당선 후 미래통합당 입당)[3] 박원순 서울시장, 최문순 강원도지사, 이시종 충청북도지사, 소속은 전원 더불어민주당[4] 서울 13명, 인천 7명, 경기 23명, 강원 9명, 대전 3명, 충북 4명, 충남 8명, 광주 5명, 전북 7명, 전남 11명, 대구 4명, 경북 10명, 부산 14명, 울산 3명, 경남 14명[5] 서울 4명, 인천 2명. 경기 2명, 강원 7명, 대전 1명, 충북 5명, 충남 5명, 전북 5명, 전남 7명, 대구 3명, 경북 8명, 부산 1명, 울산 1명, 경남 4명[6] 서울 5명, 인천 1명, 경기 4명, 강원 2명, 대전 1명, 충북•충남•전북 각 2명,전남 3명, 대구 1명, 경북 4명, 울산•경남 각 1명[7] 서울 3명, 충남•전남•경북•부산 각 1명[8] 강은희 대구시교육감, 도성훈 인천시교육감, 노옥희 울산시교육감, 장석웅 전남교육감, 임종식 경북교육감[9]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김석준 부산시교육감, 설동호 대전시교육감, 최교진 세종시교육감, 김병우 충북교육감, 김지철 충남교육감, 박종훈 경남교육감, 이석문 제주교육감[10] 장휘국 광주시교육감,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민병희 강원도교육감, 김승환 전북교육감[11] 유효 득표 수를 기준으로 15% 이상 득표 시 전액 보존, 10%이상 15% 미만 시에 50%의 금액 보존. 단 당선시에 15%미만이라도 선거비 보존[12] 당선자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