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마리아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 여성 독립 운동가 ]

강원신강혜원공백순권기옥권애라
김경화김덕세김도연김마리아김란사
김순애김알렉산드라김자혜김점순김정숙
김조이김향화김효숙남자현동풍신
민영주박계남박신애박원희박자혜
박차정박현숙방원희부덕량부춘화
신마실라신순호신의경신정숙심영신
안경신안영희양방매어윤희연미당
오건해오광심오희영유관순유순희
윤용자윤희순이병희이신애이의순
이혜련이효정이희경장매성장선희
전수산전월순정정화조마리아조순옥
조신성조화벽주세죽지복영차경신
차미리사차보석최선화최용신최정숙
홍애시덕황마리아황애시덕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조마리아
趙瑪利亞 | Jo Maria
파일:조마리아.png
본명조성녀(趙姓女)
출생1862년 4월 8일
사망1927년 7월 25일 (향년 65세)
본관배천 조씨
배우자안태훈
자녀장남 안중근, 차남 안정근, 삼남 안공근, 장녀 안성녀, 며느리 김아려
종교천주교 (세례명: 마리아)
서훈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1. 개요
2. 생애
3. 매체에서



1. 개요[편집]


네가 만일 늙은 어미보다 먼저 죽은 것을 불효라 생각한다면 이 어미는 조소(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너의 죽음은 너 한사람의 것이 아니라 조선인 전체의 공분을 짊어지고 있는 것이다. 네가 항소를 한다면 그것은 일제에 목숨을 구걸하는 짓이다. 네가 나라를 위해 이에 이른즉, 다른 마음 먹지 말고 죽으라. 옳은 일을 하고 받은 형이니 비겁하게 삶을 구하지 말고 대의에 죽는 것이 어미에 대한 효도이다. 아마 이 편지가 이 어미가 너에게 쓰는 마지막 편지가 될 것이다. 여기에 너의 수의를 지어 보내니 이 옷을 입고 가거라. 어미는 현세에서 너와 재회하기를 기대치 않으니. 다음 세상에는 반드시 선량한 천부의 아들이 되어 이 세상에 나오너라.

흔히 조 마리아의 편지로 알려진 글[1]

편지 내용으로 만들어진 노래


한국독립운동가.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다.


2. 생애[편집]


안태훈과 결혼했으며 자신의 아들 안중근이 사형을 구형당하고 뤼순감옥에 갇혀있을 때 수의와 편지를 보낸 것이 유명하다. 본명은 조성녀.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됐다. 항년 65세에 위암으로 사망했다.


3. 매체에서[편집]





  • 2022년작 영화 <영웅>에서 나문희가 연기했으며, 위에서 언급한 편지를 읽는 장면이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1:18:39에 나무위키 조마리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 조마리아가 안중근에게 저런 편지를 썼는지에 대해서는 근거가 없다. 자세한 것은 안중근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