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쉬 샤피로

덤프버전 :

||



제48대 펜실베이니아 주지사
조슈아 데이비드 샤피로
Joshua David Shapiro
파일:조쉬샤피로.jpg
출생1973년 6월 20일 (50세)
미주리 주 캔자스시티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정당

학력잭 M. 베럭 히브리 아카데미 (졸업)
로체스터 대학교 (정치학 / B.A.)
조지타운 대학교 (J.D.)
가족배우자 로리 샤피로
자식 4명
경력펜실베이니아 주하원 의원 (2005~2012 / 153구)
몽고메리 카운티 위원회 위원 (2012~2017)
제50대 펜실베이니아 주법무장관 (2017~2023)
제48대 펜실베이니아 주지사 (2023~)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여담




1. 개요[편집]


미국의 정치인. 2022년 미국 주지사 선거에서 펜실베이니아 주지사로 당선되었다.


2. 생애[편집]


미주리 주 캔자스시티에서 태어났지만 펜실베이니아 주 몽고메리 카운티의 드레셔(Dresher) 마을에서 성장하였다.

로체스터 대학교를 졸업하고, 워싱턴 D.C.로 가서 미국 의회에서 일했다. 민주당 상원의원, 하원의원들의 보좌관으로 활동하면서, 조지타운 대학교 로스쿨 야간 과정에 등록해 2002에 J.D.를 취득했다. 2004년에 펜실베이니아 주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2012년부터는 몽고메리 카운티 위원회 위원으로 재임하였고, 2016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에서 펜실베이니아 주 법무장관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20년에 주 법무장관에 재선된 후,[1] 2022년 미국 주지사 선거를 앞두고 임기 제한에 걸려 출마하지 못하는 현직 톰 울프 주지사를 대신하여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였는데, 경선에서는 단독 입후보하여 공천된 후 본선에서 현직 주 상원의원인 공화당의 더그 마스트리아노 후보를 상대하게 되었다.

본선에서는 상대 마스트리아노 후보의 트럼프발 부정선거 음모론 동조 논란, 극우 극단주의자들과의 유착 논란, 과거 남부군 군복 착용 논란[2], 2021년까지 뉴저지에 유권자 등록이 되어 있었던 거주지 논란 등에 힘입어 함께 실시된 연방 상원의원 선거와는 달리 선거 직전 여론조사들에서도 일찌감치 압도적인 우세를 점했다.

상당수의 여론조사에서 10%대 초반의 우세[3]를 기록했으며, 결국 본선에서도 약 14%p으로 여론조사 이상의 압도적인 표차로 승리해 당선되었다. 이로써 1946년 이후 현직 주지사가 아닌 후보로는 역대 가장 큰 격차로 당선되었고, 역대 펜실베이니아 주지사 후보들 중 최다 득표 기록을 함께 세웠다.

함께 선거를 치른 존 페터먼 부지사 역시 상대 메흐메트 오즈 후보를 누르고 연방 상원의원으로 당선되면서 민주당으로서는 겹경사가 되었고, 샤피로 당선인은 2023년 1월 17일부터 전임 톰 울프 지사의 뒤를 이어 펜실베이니아 주지사 임기를 시작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4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하원의원 선거펜실베이니아 153구

18,237 (54.3%)당선 (1위)초선
200619,712 (76.0%)당선 (1위)재선
200833,165 (100.0%)당선 (1위)3선[4]
201017,430 (70.1%)당선 (1위)4선[5]
2011몽고메리 카운티 위원 선거몽고메리 카운티89,103 (27.00%)당선 (1위)초선
201597,212 (30.90%)당선 (1위)재선[6]
2016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법무장관 선거펜실베이니아3,057,010 (51.39%)당선 (1위)초선
20203,461,472 (50.85%)당선 (1위)재선[7]
2022미국 주지사 선거3,031,137 (56.49%)당선 (1위)초선

4.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2:31:37에 나무위키 조쉬 샤피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때 3,461,472표를 득표했는데, 펜실베이니아 역사상 최다 득표이다.[2] 펜실베이니아에는 게티즈버그 전투가 있었던 게티즈버그 등의 남북전쟁 전적지들이 있으며, 마스트리아노 본인의 주 상원의원 지역구는 게티즈버그 일대이다(...)[3] 선거 직전 FiveThirtyEight의 최종 평균 집계는 10.4%차 우세를 점했다.[4] 단독 입후보 당선[5] 2012.01.04. 몽고메리 카운티 위원 취임에 따라 사임[6] 2017.01.17. 펜실베이니아 주 법무장관 취임에 따라 사임[7] 2023.01.17. 펜실베이니아 주지사 취임에 따라 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