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치원대동초등학교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조치원대동초등학교
Jochiwon Daedong Elementary School
鳥致院大東初等學校
파일:조치원대동초등학교.png


교훈착하고 바르며 슬기로운 어린이
개교1915년 6월 25일
유형초등학교
성별남녀공학
운영 형태공립
교장류상의
교감서OO
학생 수685명[1]
(2023년 기준)
교직원 수56명
(2023년 기준)
상징교목: 은행나무
교화: 장미
관할 교육청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소재지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대동학교길 11 (신흥리)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육목표
4. 학교 특징
5. 학교 시설
5.1. 본동
5.1.1. 1F
5.1.2. 2F
5.1.3. 3F
5.1.4. 4F
5.2. 후동
5.2.1. 1F
5.2.2. 2F
5.2.3. 3F
5.3. 웅지관
5.4. 운동장
5.5. 급식실
6. 학교 생활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8. 사건 사고
9. 기타


1. 개요[편집]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이다. 2023년 기준 개교한지 108년째 이다.

예전에는 이 학교에 농업인들의 자녀들이 많이 다녔으며, 그래서 그런지 사람이 예전부터 많았다고 한다.


2. 학교 연혁[편집]


연.월.일내용
1915. 6. 25조치원공립보통학교 개교
1981. 3. 1조치원대동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개원
1998. 3. 1교육부 지정 인성교육 시범학교
2005. 5. 1교육부 지정 ICT 국제교류협력 연구학교
2008. 1. 15공주교육대학교 교육실습 대용부설초등학교 운영(2008~2011)
2012. 3. 1교육복지우선사업 지정 운영
2012. 12. 31전국 100대 교육과정 인성교육실천 우수학교 선정
2013. 3. 1영재학급(인문사회, 수학과학) 3학급(50명) 운영
2013. 9. 262013 행복학교 박람회 참가
2013. 12. 3대한민국 인성교육 박람회 참가
2014. 2. 13조치원대동초등학교 제95회 졸업(총 18,807)
2014. 2. 28스마트 스쿨 구축(51교실)
2014. 3. 1초등학교 41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 유치원 3학급 편성
2014. 3. 1교육부지정 창의·인성 모델·연구학교 운영(2014~2014)
2015. 2. 13조치원대동초등학교 제 96회 졸업(총 18,999명)
2015. 3. 1초등학교 43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 유치원 4학급 편성
2015. 6. 25조치원대동초등학교 개교 100주년
2016. 2. 12조치원대동초등학교 제 97회 졸업(총 19,163명)
2016. 3. 2초등학교 43학급(특수학급 2학급 포함), 유치원 4학급 편성
2021. 3. 1초등학교 41학급(특수학급 2학급 포함), 유치원 4학급 편성
2023. 3. 1세종혁신학교 운영(3년차)


3. 교훈 및 상징[편집]


파일:external/jdd.sjedues.kr/getImage.do?fileStorePath=Menu.fileStorePath&siteId=SITE_000000000000305&appendPath=&atchFileNm=FILE_000000000023493_2.png


3.1. 교육목표[편집]


파일:external/jdd.sjedues.kr/getImage.do?fileStorePath=Menu.fileStorePath&siteId=SITE_000000000000305&appendPath=&atchFileNm=FILE_000000000023491_1.png


4. 학교 특징[편집]


  • 교육부지정 창의·인성 모델·연구학교 운영(2014~2014)
  • 전국 100대 교육과정 인성교육실천 우수학교 선정
  • 스마트 스쿨 구축(51교실)
  • 국제안전시범학교 운영(2016~2017)


5. 학교 시설[편집]


맨 앞에 있는 큰 건물이 본동, 뒤에 있는 작은 건물이 후동이다.

본동과 후동을 직접 연결하는 연결통로는 없다, 1층으로 내려가야만 본동과 후동을 오갈수 있다.

[교실]

5.1. 본동[편집]



5.1.1. 1F[편집]


교무실과학,영어,체육 선생님들이 계신다.
행정실중앙현관으로 들어간후 쭉가면 있다.
방송실교무실 옆에 있다.
다목적실정수기가 있어서 물을 마실수 있다.
교육복지실중앙현관으로 들어가자마자 바로 있다.
시청각실이전에는 소강당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5.1.2. 2F[편집]


교실[교실]
도서관자동문이 설치되어 있다.
돌봄교실교장실 옆에 3개가 나란히 위치해있다.
교장실특이하게도 2층에 위치해있다.
보건실특이하게도 2층에 위치해있다.[2]
과학실1,과학실2,

5.1.3. 3F[편집]


교실[교실]
교수학습도움방창고 같은 곳이다
컴퓨터실

5.1.4. 4F[편집]


교실[교실]
영어실안에 교실이 두 개가 있고 책도 읽을 수 있다.

5.2. 후동[편집]



5.2.1. 1F[편집]


교실[교실]
급식실

5.2.2. 2F[편집]


교실[교실]

5.2.3. 3F[편집]


교실[교실]

5.3. 웅지관[편집]


강당이다. 위에는 강당 전체를 볼 수 있는 관중석이 있다.

옛날학교라서 다소 허름한 면이 있다.

5.4. 운동장[편집]


세종특별자치시에 소재한 학교 중에서 운동장이 매우 넓은 편에 속한다.
하도 넓어서 그런지 펜스도 낮다.[3]

운동장 전체를 빙빙 도는 트랙도 깔려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인근 주민들이 걷기 운동 등을 하러 본교를 방문한다

5.5. 급식실[편집]


후동 1층에 자리잡고 있다.

들어가면 두갈래로 갈라지는데, 사람이 많이 없는 쪽으로 주로 들어간다.

6. 학교 생활[편집]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파일:external/jdd.sjedues.kr/getImage.do?fileStorePath=Menu.fileStorePath&siteId=SITE_000000000000305&appendPath=&atchFileNm=FILE_000000000023495_1.png


7.1. 버스[편집]


파일:버스정류장2.png세종시보건소(대동초) (세종 11100, 11101)

파일:버스정류장2.png신흥사거리 (세종 11094, 11095)

파일:버스정류장2.png신흥주공아파트 (세종 11053, 11054)

조치원대동초등학교 앞 정류장에는 소정면 대곡리, 국책연구단지 방면으로 가는 991번 버스가 30분[4]마다 정차한다. 또한, 학생 등교 전용 노선인 13번76번이 아침에 한 번 운행한다.

학교 앞을 1000번이 지나긴 하나, 정차하지는 않기 때문에 이용하고자 한다면 신흥사거리 정류장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시간이 좀 남는다면 조치원역 주변 정류장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5]

학교 주변에 있는 신흥주공 아파트 정류장에서 조치원읍을 순환하는 노선인 11번과 12번을 탈 수 있다. 연서면 청라리 방면으로 가려면 71번으로, 국촌리나 서면 방면으로 가려면 72번을 이용해야 한다.[6]

학교 후문에서 충현로 방향으로 나오면 있는 죽림리 정류장[7]에서 정차하는 버스라고는 아침에 한 번 운행하는 공주 502번 버스와 아침에 두 번[8] 운행하는 세종 551번 버스가 정차한다.

8. 사건 사고[편집]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하시기 바랍니다.



9. 기타[편집]



[1] 남 358명, 여 327명[교실] A B C D E F G 교실은 학생 수에 따라 변동된다.[2] 후동에서 오려고 하면 다소 시간이 걸린다.[3] 운동장이 매우 넓기 때문에 공을 세게 차더라도 밖으로 나갈 위험이 적기 때문.[4] 지연 시 대략 35분 이내[5] 세종 신도시로 향하는 버스 노선 대부분이 조치원역 주변을 경유하기 때문이다.[6] 단, 가고자 하는 방향이 맞는지 확인하고 타야한다. 안 그럼 목적지까지 가는 데 무려 30분 이상 걸릴 수 있다.[7] 서쪽 정류장 규모는 거의 조치원역 앞 정류장 수준으로 꽤 크지만, 동쪽 정류장은 평범한 크기이다.[8] 조치원역에서 공주 산성동으로만 편도 2회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