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IT전문매체/스마트폰

덤프버전 :





1. 소개
2. 용어의 정의
2.1. IT전문매체
2.2. '목록' 내 용어
3. 등재기준
4. 주요 IT전문매체 목록
5. 목록의 활용



1. 소개[편집]


'주요 IT전문매체/스마트폰'은 정보기술을 주로 다루는 매체 중 스마트폰을 리뷰하는 곳을 따로 분류해 정리한 문서이다.


2. 용어의 정의[편집]


이 장에서는 'IT전문매체'의 용어를 규정하고, 하단의 '주요 IT전문매체 목록'에 사용된 용어를 정리했다.


2.1. IT전문매체[편집]


한국의 주요언론은 정보기술 전문 미디어를 아래와 같이 호명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① 'IT 전문 매체' 혹은 'IT전문매체' 블로터
② '테크매체' 블로터
③ '테크전문매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④ 'IT 미디어' 지디넷,
⑤ '정보기술 전문 매체' 혹은 '정보기술전문매체',
⑥ 'IT 매체' 매일경제

이 문서에서는 이들 용어 중 'IT전문매체'를 택해 표제어로 삼았다.

'IT전문매체'라는 용어 자체의 엄밀한 정의를 찾기 어려운 관계로, 협의(狹義)와 광의(廣義)를 자체적으로 규정했다.

  • '좁은 뜻에서의 IT전문매체'는 '정보기술만을 주제로 컨텐츠를 생산하는 매체'를 말한다.

  • '넓은 뜻에서의 IT전문매체'는 '정보기술을 주제로 컨텐츠를 생산하는 매체'를 말한다.

전자의 의미에 부합하는 매체는 'The Verge', 'Mashable', '아웃스탠딩' 등이 있다.

후자의 의미로 접근 시 기성언론사, 정론지 등을 모두 편입한다. 이 문서 내 리스트에 포함된 대표적인 기성언론사로 영국의 '더 가디언', '포브스', 'CNN', '더 선' 등이 있다.


2.2. '목록' 내 용어[편집]


아래 '주요매체 목록'에는 매체명과 국가(제공 언어), 설립년도, 누적제품수, 점수제 유무를 기재했다.

① '매체명'
'매체명'은 가나다순으로 정리했으며, 대소문자와 붙여쓰기 띄어쓰기를 구분해 작성했다.

② '국가'(제공 언어)
'국가'엔 '최초 설립 당시 소속 국가'를 기재했다.
  • 이와같이 설정한 이유는 몇몇 매체가 소속국가를 분명하게 밝히지 않는 경우가 발견되기 때문이다.
    • Notebookcheck는 설립자가 오스트리아인이고, 설립당시국가도 오스트리아인 IT전문매체이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이 오스트리아 소속이나 독일 소속으로 지칭되기보다는 국제 미디어라고 지칭되기를 희망한다. Notebookcheck 따라서 '최초 설립 당시 소속 국가'를 기재하는 것이 문제를 피할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국가항 아래에는 지원하는 주요 언어를 괄호 안에 기재했다. 세 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하는 경우 '다국어'라고 표기했다.
  • 대다수의 매체는 영어가 기본언어이다.

③ '설립년도'
설립년도에는 각 매체가 설립된 '년도'를 기재했다.

④ '리뷰한 스마트폰 수'
'리뷰한 스마트폰 수' 엔 누적제품 수가 100개 이상일 경우 100+, 500개 이상일 경우 500+로 표기했다.

⑤ '점수제 유무'
'점수제 유무'에는 점수제일 경우 '점수제', 점수제를 채택하지 않은 매체의 경우 '비점수제'로 표기했다.
  • Metacritic과 같은 사이트의 경우 비점수제 사이트의 평가를 점수화하기 위해 '논조'를 살피는 것을 참고하라.


3. 등재기준[편집]


'주요매체 목록'에 등재한 IT전문매체의 등재기준은 총 세 가지로 한다. 이 기준들을 모두 만족하는 것이면 모두 '주요 IT전문매체/스마트폰'이다.

① 운영 기간이 최소 5년 이상인 매체

② 누적 리뷰 제품 수가 100개 이상인 매체

③ 자체적인 사이트에 '문서화된 제품 리뷰'를 올린 매체
  • 따라서 'Marques Brownlee'. 'Unbox Therapy'. 'Linus Tech Tips'와 같은 영향력자(影響力者; influencer)가 가지는 파급력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1], 그들을 본 리스트에 산입하지 않았다. [2]

점수제로 운영하는 매체가 일반적으로 선호된다.
  • 여러 매체의 리뷰 점수를 하나로 묶어 제시하는 데 리스트를 활용할 경우, 각 매체 점수를 100점 단위로 환산하여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가령 5점 만점의 매체 점수를 100점 단위로 환산하는 것이 단순평균치 산정에 용이하다.

자체적으로 규정한 전문적인 틀에 입각해 장기간 꾸준히 제품을 리뷰한 업체가 선호된다.
  • 특정 기간 이후 제품 리뷰의 케이스가 줄어드는 매체를 제외하는 것이 좋다.

4. 주요 IT전문매체 목록[편집]


#매체명설립년도국가 (제공언어)점수제 유무누적 리뷰 수
191mobiles2010년인도
(영어)
점수제500+
29to5google2007년프랑스
(영어)
비점수제500+
3AnandTech1997년미국
(영어)
비점수제500+
4Android Authority2007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5Android Central2005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6Android Headlines2010년미국
(영어)
점수제100+
7Android Police2008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8androidplanet2009년네덜란드
(네덜란드어)
점수제500+
9Ars Technica1998년미국
(영어)
비점수제500+
10Ausdroid2010년호주
(영어)
비점수제100+
11CNET1994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12CNN1980년미국
(다국어)
비점수제500+
13Consumer Reports1936년미국
(영어)
점수제
(회원 공개)
100+
14digit2000년인도
(다국어)
점수제500+
15Digital Camera World2000년영국
(영어)
점수제100+
16Digital Trends2006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17DxOMark2008년프랑스
(영어, 중국어)
점수제500+
18engadget2004년미국
(다국어)
점수제500+
19Expert Reviews1987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20EXPRESS1900년영국
(영어)
점수제100+
21finder2006년호주
(다국어)
점수제500+
22Forbes1917년미국
(영어)
비점수제100+
23Gadgets 3602015년인도
(영어)
점수제100+
24GIZMODO2002년미국
(다국어)
비점수제500+
25GSMArena2000년불가리아
(영어)
점수제500+
26harwarezone1998년싱가포르
(영어)
점수제100+
27hothardware1999년미국
(영어)
비점수제500+
28IGN1996년미국
(다국어)
점수제500+
29Input2019년미국
(영어)
비점수제100+
30INSIDER2015년미국
(영어)
비점수제100+
31itpro2006년영국
(영어)
점수제100+
32laptopmag1991년영국
(영어)
점수제100+
33Lifewire2016년미국
(영어)
점수제100+
34Mashable2005년미국
(영어)
점수제100+
35MobileSyrup2007년캐나다
(영어)
점수제100+
36nextpit2009년독일
(다국어)
점수제500+
37Notebookcheck2005년오스트리아
(다국어)
점수제500+
38PCMag1982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39PCWorld1991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40PHANDROID2007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41PhoneArena2001년불가리아
(영어)
점수제500+
42Photography Blog2003년영국
(영어)
점수제100+
43pickr2016년호주
(영어)
점수제100+
44Pocket-lint2003년영국
(다국어)
점수제500+
45Radio Times1923년영국
(영어)
점수제100+
46recombu2009년영국
(영어)
비점수제100+
47reviewgeek2006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48root-nation2012년러시아
(다국어)
점수제100+
49SlashGear2005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50Stuff1996년영국
(영어)
점수제500+
51T31998년영국
(영어)
점수제500+
52Tech Advisor1995년영국
(영어)
점수제500+
53Tech Guide2011년호주
(영어)
점수제500+
54TechCrunch2005년미국
(영어)
비점수제100+
55techradar2008년영국
(영어)
점수제500+
56the Guardian1820년영국
(영어)
점수제500+
57The Next Web2006년네덜란드
(영어)
100+
58The Sun1964년영국
(다국어)
점수제100+
59The Verge2011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60tom's guide2007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61Trusted Reviews2003년영국
(영어)
점수제500+
62UNDERKg2014년한국
(영어, 한국어)
점수제100+
63What HI-FI?1976년영국
(영어)
점수제500+
64Which?1957년영국
(영어)
점수제
(회원 공개)
500+
65WIRED1993년미국
(영어)
점수제500+
66XDA Developers2003년네덜란드
(영어)
비점수제100+
67ZDNet1991년미국
(다국어)
점수제500+

5. 목록의 활용[편집]


소개항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문서에 기재된 목록은 여러 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① 각 매체가 평가한 단일 제품의 점수를 한 눈에 모아 제시하는 틀을 만들 때 활용할 수 있다.
  • 영화와 음악, 게임으로 대표되는 엔터테인먼트 계열은 '메타크리틱'이나 'IMDb', '키노라이츠' 등 다양한 사이트에서 집계해 디피하는 것과 달리, 스마트폰 리뷰를 전문적 기준으로 묶어 수치화한 웹사이트를 찾기 어렵다. 'Informr'나 'TechSpot'과 같은 사이트에서 주요 매체의 스마트폰 리뷰를 단순평균으로 묶어 하나의 수치로 산출해 제시하고 있으나, 전자는 유저리뷰를 점수에 반영되며, DxOMark와 같이 부분별 점수를 내는 경우를 각각 계산에 산입한다.각 매체의 장기간 사용 리뷰(Long-Term Review)도 추가로 반영되는 경우도 확인된다. 후자의 경우 제품 초기 발매를 제외하면 점수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견된다. 그렇기에, 별도로 매체를 조사해 단순평균으로 점수화하는 방식으로 위 리스트를 활용할 수 있다.

② 각 매체별 '문서' 최상단의 둘러보기 틀을 제작할 때 이 문서를 활용할 수 있다.
  • 위 리스트를 기반으로 구현한 주요매체목록 틀을 확인하려면 이 문서를 참고하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0:47:04에 나무위키 주요 IT전문매체/스마트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시로 든 인플루언서 세 명의 구독자는 각각 1,000만명 이상이다.[2] 스마트폰 리뷰를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인플루언서는 별도의 문서를 참고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