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비자

덤프버전 :



파일:传国玺.png
진(秦) 군주
[ 펼치기 · 접기 ]

시조---
비자진후공백진중
추존 국군초대 국군제2대 국군제3대 국군
장공양공문공헌공
제4대 국군제5대 국군제6대 국군제7대 국군
출자무공덕공선공
제8대 국군제9대 국군제10대 국군제11대 국군
성공목공강공공공
제12대 국군제13대 국군제14대 국군제15대 국군
환공경공애공혜공
제16대 국군제17대 국군제18대 국군제19대 국군
도공여공공조공회공
제20대 국군제21대 국군제22대 국군제23대 국군
영공간공후혜공출공
제24대 국군제25대 국군초대 국왕제2대 국왕
헌공효공혜문왕무왕
제3대 국왕제4대 국왕제5대 국왕초대 황제
소양왕효문왕장양왕시황제
말대 황제말대 국왕
이세황제자영
추존
정공 · 이공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ece5b6
진비자
秦非子}}}'''
영(嬴)
조(趙)
비자(非子)
부친대낙(大駱)
생몰 기간음력기원전 ???년 ~ 기원전 858년
재위 기간음력기원전 ???년 ~ 기원전 858년

1. 개요 및 집안 내력
2. 생애



1. 개요 및 집안 내력[편집]


진나라의 시조. 하지만 이때는 부용국의 군주였으므로 초대 국군은 아니다. 달리 진영(秦嬴)이라고도 불린다. 오제중의 한 명인 전욱 고양씨, 하나라의 임시 군주였던 백익(伯益)상나라 말기 주왕 제신의 용맹한 장수였던 오래(惡來)의 자손으로 전해진다. 백익이 제순 유우씨의 치세때 말을 잘길러 영성(嬴)을 하사받아 그 후손이 영성을 자칭했다. 그리고 백익의 자손인 조보(造父)가 서나라언왕(偃王)을 물리치자[1] 서주 목왕은 공을 세운 그에게 조성을 봉읍으로 하사했고, 그 가문이 영성 조씨가 되었다.[2]


2. 생애[편집]


주효왕 연간(기원전 893년 ~ 기원전 886년)에 비자는 견구에 살았는데, 가축을 잘 길러 견수 사람이 효왕에게 보고하니 효왕은 견구와 위수의 말을 기르라고 명령하고, 비자를 진 땅을 도읍으로 하는 부용국의 군주로 삼았다. 그리고 영씨의 제사를 주관하게 해 진영이라고 불렀다.

기원전 858년, 진 비자가 죽고 그 아들이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진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2:17:56에 나무위키 진비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춘추시대에 가면 서나라는 초나라와 제나라의 영향을 받는 약소국으로 전락하지만, 당시에는 동이의 대표적인 국가라 할만큼 강성했다.[2] 그들의 다른 일파가 조나라 왕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