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승준(정치인)

덤프버전 :

파일:정선군 CI(1998-2013).svg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수 파일:정선군 CI.svg
민선4기 민선5기 민선6기
39대
유창식
40대
최승준
41대
전정환
민선6기 민선7·8기 민선9기
41대
전정환
42·43대
최승준
현직

제40·42·43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수
최승준
崔乘俊 | Choi Seung-jun
파일:최승준민선8기.jpg
출생1956년 7월 13일 (66세)
강원도 정선군 정선면
현직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수
재임기간제40대 강원도 정선군수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42·43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수
2018년 7월 1일 ~ 현직
링크파일:정선군 CI.svg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표영옥
자녀슬하 1녀
학력정선초등학교 (졸업)
정선중학교 (졸업)
정선종합고등학교 (졸업)
신구대학교 (전문학사)
대원대학교 (사회복지학 / 전문학사)
종교천주교 (세레명: 다니엘)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군의원 선수2
군의원 대수4, 5
약력정선청년회의소(JC) 회장
정선경찰서 청소년지도위원회 위원장
정선 중 · 고 · 정보공고 총동문회 부회장
정선병원 자문위원회 위원장
정선신협 이사장
정선군사회복지협의회 초대회장
정선군장학회이사장
정선군체육회장
제4-5대 정선군의회 의원
제5대 정선군의회 의장
제40·42대 강원도 정선군수(민선5·7기)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이다. 당적은 더불어민주당이다.


2. 생애[편집]


1956년, 강원도 정선군 정선면에서 태어났다. 정선초등학교, 정선중학교, 정선종합고등학교(현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신구대학교, 대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강원도 정선군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강원도 정선군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정선군의회 의장을 지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강원도 정선군수 선거에 출마하여 현직 군수인 한나라당 유창식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강원도 정선군수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전정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강원도 정선군수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재선 임기 중에는 정선군 농어촌버스를 완전 공영화를 이뤘고 구간요금을 폐지했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강원도 정선군수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며 3선에 성공하였다. 이로서 김원창 전 군수와 더불어 유이한 3선 정선군수가 되었다. 다만 최승준 군수는 중간에 1번 낙선을 하여 3선 연임은 아니기에 다음 선거에서 한번 더 출마할 수 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5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강원 정선 1
무소속

3,379 (22.31%)낙선 (4위)
2002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강원 정선 정선읍3,032 (49.01%)당선 (1위)초선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강원 정선 가
ta-hash-start=w-8462aabd1f45abacfa90cb0f15b8199e[[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92 (15.72%)재선[1]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강원 정선군수
ta-hash-start=w-fad94b6c51898ae498b5517f22a7ab9f[[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13,510 (56.40%)초선
2014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acb8c320b3374282c35a75ed95843067[[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0,809 (45.51%)낙선 (2위)
2018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2,942 (57.7%)당선 (1위)재선
2022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10,901 (51.01%)3선


4. 둘러보기[편집]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0%><rowbgcolor=#E61E2B> 강릉 ||<width=20%> 동해 ||<width=20%> 삼척 ||<width=20%> 속초 ||<width=20%> 원주 ||
|| 김홍규 || 심규언 || 박상수 || 이병선 || 원강수 ||
||<bgcolor=#004EA2> 춘천 ||<rowbgcolor=#E61E2B> 태백 ||<bgcolor=#004EA2> 고성 || 양구 || 양양 ||
|| 육동한 || 이상호 || 함명준 || 서흥원 || 김진하 ||
||<rowbgcolor=#E61E2B> 영월 ||<bgcolor=#004EA2> 인제 ||<bgcolor=#004EA2> 정선 || 철원 || 평창 ||
|| 최명서 || 최상기 || 최승준 || 이현종 || 심재국 ||
||<bgcolor=#E61E2B> 홍천 ||<bgcolor=#E61E2B> 화천 ||<bgcolor=#E61E2B> 횡성 ||<|2><-2>||
|| 신영재 || 최문순 || 김명기 ||
||<-5>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파일:강원도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0%><bgcolor=#808080> 강릉 ||<width=20%><bgcolor=#E61E2B> 동해 ||<width=20%><rowbgcolor=#004ea2> 삼척 ||<width=20%> 속초 ||<width=20%><bgcolor=#004ea2> 원주 ||
|| 김한근 || 심규언 || 김양호 || 김철수 || 원창묵 ||
||<rowbgcolor=#004ea2> 춘천 || 태백 || 고성 || 양구 ||<bgcolor=#E61E2B> 양양 ||
|| 이재수 || 유태호 || 함명준 || 조인묵 || 김진하 ||
||<bgcolor=#E61E2B> 영월 ||<rowbgcolor=#004ea2> 인제 || 정선 ||<bgcolor=#E61E2B> 철원 || 평창 ||
|| 최명서 || 최상기 || 최승준 || 이현종 || 한왕기 ||
||<bgcolor=#004ea2> 홍천 ||<bgcolor=#E61E2B> 화천 ||<bgcolor=#004ea2> 횡성 ||<|2><-2>||
|| 허필홍 || 최문순 || 장신상 ||
||<-5> * 권한대행. ||
||<-5>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8기 ||



파일:강원도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0%><bgcolor=#C9252B> 춘천 ||<width=20%><bgcolor=#C9252B> 강릉 ||<width=20%><bgcolor=#0082CD> 원주 ||<bgcolor=#C9252B> 삼척 ||<width=20%><bgcolor=#C9252B> 동해 ||
|| 이광준 || 최명희 || 원창묵 || 김대수 || 김학기 ||
||<rowbgcolor=#C9252B> 속초 ||<bgcolor=#C9252B> 태백 ||<bgcolor=#808080> 고성 || 양구 ||<bgcolor=#0082CD> 양양 ||
|| 채용생 || 김연식 || 황종국 || 전창범 || 정상철 ||
||<rowbgcolor=#C9252B> 영월 ||<bgcolor=#C9252B> 인제 ||<bgcolor=#0082CD> 정선 || 철원 ||<bgcolor=#0082CD> 평창 ||
|| 박선규 || 이순선 || 최승준 || 정호조 || 이석래 ||
||<bgcolor=#808080> 홍천 ||<bgcolor=#C9252B> 화천 ||<bgcolor=#0082CD> 횡성 ||<|2><-2>||
|| 허필홍 || 정갑철 || 고석용 ||
||<-5>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




[1] 당시 열린우리당 후보 3명, 한나라당 후보 3명을 포함해 무려 14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그래서 1위임에도 최종득표율이 높지 않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