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켄싱턴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의 지역에 대한 내용은 켄싱턴(필라델피아) 문서
켄싱턴(필라델피아)번 문단을
켄싱턴(필라델피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중부캠던(Camden) · 시티 오브 런던(City of London)[1] · 켄싱턴-첼시(Kensington and Chelsea) · 이즐링턴(Islington) · 서더크(Southwark) · 시티 오브 웨스트민스터(City of Westminster) · 램버스(Lambeth)
동부바킹-대거넘(Barking and Dagenham) · 벡슬리(Bexley) · 그리니치(Greenwich) · 해크니(Hackney) · 헤이버링(Havering) · 루이셤(Lewisham) · 뉴엄(Newham) · 레드브리지(Redbridge) · 타워 햄리츠(Tower Hamlets) · 월섬 포레스트(Waltham Forest)
북부바넷(Barnet) · 엔필드(Enfield) · 해링게이(Haringey)
남부브롬리(Bromley) · 크로이던(Croydon) · 킹스턴어폰템스(Kingston upon Thames) · 머튼(Merton) · 서튼(Sutton) · 원즈워스(Wandsworth)
서부브렌트(Brent) · 일링(Ealing) · 해머스미스-풀럼(Hammersmith and Fulham) · 해로(Harrow) · 힐링던(Hillingdon) · 하운즐로우(Hounslow) · 리치몬드어폰템스(Richmond upon Thames)

[1] 그레이터 런던 소속의 보로는 아니다.

그레이터 런던 제58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버킹버터시베커넘버몬시&올드사우스워크베스널그린&보우
데임 마거릿 홋지 마셔 드 코르도바밥 스테워트네일 코일러샤너라 알리
벡슬리히스&크레이포드베런트 센트럴브렌트 노스브렌트포드&이슬워스브롬리&크리슬허스트
데이비드 에버넷던 버틀러배리 가디너루스 캐드버리밥 네일
캠버웰&페컴찰스턴&웰링턴첼시&풀럼칭포드&우드포드그린치핑 버넷
해리엇 허먼엘리옷 콜번그레그 핸즈이언 덩컨 스미스테레사 빌리어스
COL&웨스트민스터크로이던 센트럴크로이던 노스크로이던 사우스더겐햄&래인햄
니키 아이켄사라 존스스티브 리드크리스 필립존 크루더스
덜위치&웨스트노우드얼링 센트럴&액턴얼링 노스얼링 사우설이스트 햄
헬렌 해이스루파 후크제임스 머래이버랜드라 샤르마스테판 팀스
에드먼튼엘섬엔필드 노스엔필드 사우스게이트에리스&템스메드
케이트 오사모어클리브 에포드퍼이얼 클라크밤보스 챌럼보스어베나 애셔
펠섬&헤스턴핀칠리&골더스그린그리니치&울위치HN&스토크 뉴잉턴해크니사우스&쇼어디치
시마 말호트라마이크 프리어매튜 페니쿡다이앤 애봇메그 힐리어
해머스미스햄프스테드&킬번해로우 이스트해로우 웨스트혼시&우드 그린
앤드류 슬로터튤립 시디크밥 블랙맨개러스 토머스캐서린 웨스트
하예스&핼링턴헨든홀본&세인트 판크라스혼처치&업민스터일포드 노스
존 맥도넬매튜 오포드키어 스타머줄리아 로페즈웨스 스트리팅
일포드 사우스이즐링턴 노스IS&핀스버리켄싱턴킹스턴&서비턴
샘 태리제러미 코빈에밀리 손베리펠리시티 부컨에드 데이비
르위셤 데프포드르위셤 이스트르위셤 웨스트&펜지레이턴&완스테드미쳠&모든
비키 폭스크로프트자넷 데이비엘리 리브스존 크라이어쇼베인 맥도나
올드 벡슬리&시드컵오핑턴포플러&라임하우스푸트니리치먼드 파크
루이 프렌치개러스 베이컨엡사나 베굼플러 앤더슨사라 올니
롬포드라이슬립&노스우드&피너스트리섬서튼&쳠투팅
앤드루 로신델데이비드 시몬즈벨리베이로 애디폴 스컬리로세나 앨린 칸
토트넘트위크넘억스브릿지&SR복설월섬스토
데이비드 래미무니라 윌슨스티브 터크웰플로렌스 에셜로미스텔라 크리시
웨스트햄웨스트민스터 노스윔블던
린 브라운카렌 벅스티픈 해먼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선거구
파일:영국 의회 흰색 아이콘.svg
켄싱턴
Kensington
||
인구62,784명 (2010)
상위 국가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상위 카운티파일:그레이터 런던 시기.svg 그레이터 런던
의원 (MP)

펠리시티 부컨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58대 영국 총선



1. 개요[편집]


Kensington

그레이터 런던의 켄징턴을 관할하는 선거구이다. 2010년 총선때 켄징턴-첼시 선거구에서 켄징턴이 단독 선거구로 분구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스펠링 읽기로는 켄싱턴으로 착각되나 실제 발음은 켄징턴에 가깝다.

시티즈 오브 런던&웨스트민스터와 마찬가지로 고소득층의 비율이 높다. 시티즈 오브 런던&웨스트민스터영국/정치, 영국/경제의 중심이고, 역사가 깊어 한국으로 치면 서울 종로구, 서울 중구의 특성이 강하다면, 반면 켄싱턴과 인근 첼시(런던)는 런던의 부촌지역으로 고급 저택과 아파트가 많은데다 도심과 가까운 서울 강남3구의 특성을 갖고 있다.

켄징턴은 보수당을 제외한 정당이 단 한번도 당선된 적이 없던 우파의 텃밭이었다. 심지어 노동당이 초압승을 거둔 1997년까지 이 선거구만은 사수했다.

그러나 2017년 제러미 코빈 노동당 대표가 돌풍을 일으키며 단 20표차로 노동당의 엠마 덴트 코드(Emma Dent Coad) 후보가 당선되는 이변을 일으켰다. 2019년에는 보수당 후보가 탈환하는데 성공했지만, 둘의 표차는 단 120표차에 불과했다. 심지어 범중도진보 정당인 노동당, 자민당, 녹색당의 득표율을 합치면 60%를 넘어었다.

다만 켄징턴의 인구구성이 본래 보수당에게 유리하지만은 않다는 것이 사실이다. 주택소유 여부 측면에서 봤을 때, 본래 유주택자는 보수당, 무주택자는 노동당 지지성향이 강하며, 이러한 정치적 구도가 더욱 굳어지고 있다.

실제로 영국 의회의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2019년 총선에서 보수당이 획득한 지역구들 중 86%가 전국 평균 이상의 주택소유 비율을 기록했지만, 노동당은 이러한 지역구들의 비율이 26%에 그쳤다고 한다. #

하지만 영국 의회의 공식 홈페이지에 수록된 자료에서 알 수 있듯 켄싱턴은 주택소유 비율이 34%에 불과해 영국 전체 평균인 64%는 물론이고 런던 평균인 48%에도 훨씬 못 미친다. #

또 시사주간지 Unherd와 여론조사기관 Focaldata의 심층 분석 여론조사 따르면, 켄싱턴은 북아일랜드를 제외한 영국 지역구 632개 중 왕실유지론 비율이 375등에 그쳐 왕실유지에 대한 지지가 상당히 낮은 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수당 지지자 = 왕실유지론자"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왕실유지에 반대하는 보수당 지지자를 찾기 매우 어려운만큼, 보수당 지지세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는 지역구라고 볼 수 있다. #

2.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영국 서민원 로고.svg 켄싱턴 지역구 역대 국회의원
연도선거의원 명정당
1974 ,(2월),제46회 총선브랜던 라이스 윌리엄스
(Brandon Rhys-Williams)


1988재보궐 선거던들리 피쉬번
(Dudley Fishburn)
1997-2001 : 켄싱턴&첼시 선거구로 조정
2010제55회 총선맬컴 리프카인트
(Malcolm Rifkind)


2015제56회 총선빅토리어 보윅
(Victoria Borwick)
2017제57회 총선엠마 덴트 코드
(Emma Dent Coad)


2019제58회 총선펠리시티 부컨
(Felicity Buchan)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제58대 영국 총선[편집]


켄싱턴
켄싱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보수당(영국) 흰색 아이콘.svg펠리시티 부컨16,7681위


38.32%당선
파일:노동당(영국) 흰색 아이콘.svg엠마 덴트 코드16,6182위


37.97%낙선
파일:영국 자민당 로고.png샘 자이마9,3123위


21.28%낙선
파일:녹색당(잉글랜드 웨일스) 흰색 아이콘.svg비비언 리첸스테인5354위


1.22%낙선
파일:브렉시트당 로고 white.png제이 애스턴3845위


0.88%낙선
CPA로저 필립스706위
기독교인민연대
0.16%낙선
TLW해리엇 고어477위
터치 러브 월드와이드
0.11%낙선
WRP스콧 도어288위
노동자 혁명당
0.06%낙선
유권자 수64,609투표율
67.73%
총 투표수43,762

보수당이 2년만에 다시 150표 차이로 켄싱턴 지역구를 탈환했다. 지난 총선에 비해 보수당과 노동당 후보가 모두 득표율이 감소했지만, 지난 총선 대비 브렉시트에 반대하던 진보 성향 유권자의 민심이 브렉시트에 대해 애매한 입장을 표하던 노동당보다는 확실하게 브렉시트를 반대하던 자민당쪽에 더 손을 들어주면서 보수당이 힘겹게 지역구를 탈환할 수 있었던 것.

물론 노동당으로서는 후보의 자폭으로 인한 쓴맛도 보게 된 것인데, 지난 총선에서 겨우 승리를 거둔 엠마 덴트 코드가 지역구 기반을 다지기는커녕 당선 직후부터 연이은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계속 구설수에 오른 바 있기 때문. 결국 이것 역시 노동당에 표를 던졌던 유권자의 표를 자민당으로 향하게 만든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

다만, 범보수(보수당+브렉시트당)의 득표율 합계(39.20%)보다 범중도진보(노동당+자민당+녹색당)의 득표율 합계(60.47%)가 압도적으로 더 높았기 때문에 다음 총선에서 노동당과 자민당이 야권 후보 단일화를 한다면 보수당으로서는 방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다만 자민당의 에드 데이비 대표는 야권 단일화 없이도 승리할 수 있다며 야권 단일화를 거부하고 있다. #

보수당이 추진하는 브렉시트가 런던의 금융업에 막대한 타격을 주고, 이로 인해 금융업에 종사하는 켄싱턴 주민들이 큰 피해를 입어 보수당 지지세의 회복을 어렵게 만들 것이라는 예측도 있지만, 영국을 대표하는 시사주간지인 이코노미스트는 이에 회의적인 입장이다. 본 주간지의 "브렉시트로 인해 발생한 런던의 금융업 일자리 감소의 정도는 매우 미미하다(Brexit has caused very few finance jobs to leave London)"는 기사는 런던의 금융업 일자리 감소는 당초 예상했던 정도보다 훨씬 적었다고 분석하며, 파리프랑크푸르트 같은 유럽의 다른 금융업 도시들은 런던의 대체재가 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5:38:21에 나무위키 켄싱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