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

덤프버전 :

파일:비마니_로고.svg
현역 아케이드 기종 ▼
다른 작품 문서 ▼


||
[ 펼치기 · 접기 ]

2011년2011-2012년2012년2013년
파일:KAC_2011.svg.png파일:KAC_Asia_logo.png파일:KAC_2012.svg.png파일:KAC_2013.svg.png
KAC 2011KAC AsiaKAC 2012KAC 2013
2014-2015년2015-2016년2016-2017년2017-2018년
파일:KAC_The_4th.svg.png파일:KAC_The_5th.svg.png파일:KAC_The_6th.svg.png파일:KAC_logo_the_7th.png
The 4th KACThe 5th KACThe 6th KACThe 7th KAC
2018-2019년2019-2020년2020-2022년2023년
파일:kac8th_titlelogo.png파일:kac9th_titlelogo.png파일:kac_10thlogo.png파일:kac_new_가로.png
The 8th KACThe 9th KACThe 10th KACKAC 2023



파일:kacnewlogo.png
KONAMI Arcade Championship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
지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
운영 주체코나미 어뮤즈먼트
약칭KAC
경기장지역 별 오락실(2011,2012)
도쿄 미드타운 홀(2011,2013)
Discovery Park(Asia)
마쿠하리 멧세(4th~9th)
esports 긴자 studio(9th~10th)
도쿄 빅 사이트(2023)
중계 플랫폼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3~2023) 파일:ustreamlogo.png(2011,2012) 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5th~8th)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ustreamlogo.png 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한국에서
3. 역대 대회
4. 역대 기록
4.1. 참가 종목
4.2. 역대 우승자
4.3. 우승 횟수
4.4. 연속 우승
4.5. 다종목 우승자
5. 여담



1. 개요[편집]


코나미에서 주최하는 e스포츠 대회. 이름을 줄여서 KAC, 한국에서는 영문 약칭을 그대로 읽은 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코나미에서 발매된 다양한 아케이드 게임의 대회이다. 2011년 첫 대회가 열렸다.

코나미에서는 태고적 beatmania 2ndMIX 시절 오프라인 전국 대회인 '비트매니아 배틀 오브 더 클라이막스'를 열었고, 2006년, 2008년에는 BEMANI 시리즈 플레이어들을 대상으로 한 탑랭커 결정전을 열기도 했지만, 탑랭커 결정전과 다른점은 '아케이드 챔피언쉽'이라는 명칭 답게 기존에 BEMANI 시리즈 뿐 아니라 비(非) BEMANI 시리즈도 종목으로 추가되었다는 점이 다른 점이다. 다만 여전히 BEMANI 시리즈 중심이라는 것은 변하지 않고 있다. 10회 대회까지 BEMANI 외 게임 중 개근한 게임은 마작 파이트 클럽 하나 뿐이다.

대회 일정이 모두 끝난 뒤 진행되는 BEMANI 아티스트들의 라이브도 본 대회의 전통으로 자리잡고 있다. 다만 대회를 JAEPO 내에서 개최하게 된 4회 대회부터는 이전에 비해 라이브가 부실해졌다는 평이 많다.


2. 한국에서[편집]


한국은 KAC 2011에는 참가하지 못하였으나, KAC 2011의 연장선격 대회인 KAC Asia부터 본격적으로 참가하게 되었으며 KAC 2012부터는 아시아 지역이 통합되며 일본 선수들과 겨루게 되었다. 그 이후 The 6th KAC부터는 BEMANI 시리즈의 모든 게임이 한국에 정발되어 모든 종목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KAC Asia부터 아시아 통합 이후 한국 선수가 우승을 거둔 종목은 아래와 같다.
종목횟수Asia201220134th5th6th7th8th9th10th[2]2023
사운드 볼텍스4<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 -
유비트7★★[3]<lightgray,#383b40> -
리플렉 비트3<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
댄스 댄스 레볼루션4<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 -
비트매니아 IIDX3<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 -
뮤제카1<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
노스텔지어2<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lightgray,#383b40> -<lightgray,#383b40>

9th 종료 후 기준 BEMANI 시리즈 종목에서 한국인이 한번도 우승하지 못한 종목은 팝픈뮤직[4]기타도라(기타프릭스, 드럼매니아 둘 다)[5], 댄스러시[6], 댄스 에볼루션[X], 비트스트림[X], 미라이다갓키[X]가 있다.


3. 역대 대회[편집]


||
[ 펼치기 · 접기 ]

2011년2011-2012년2012년2013년
파일:KAC_2011.svg.png파일:KAC_Asia_logo.png파일:KAC_2012.svg.png파일:KAC_2013.svg.png
KAC 2011KAC AsiaKAC 2012KAC 2013
2014-2015년2015-2016년2016-2017년2017-2018년
파일:KAC_The_4th.svg.png파일:KAC_The_5th.svg.png파일:KAC_The_6th.svg.png파일:KAC_logo_the_7th.png
The 4th KACThe 5th KACThe 6th KACThe 7th KAC
2018-2019년2019-2020년2020-2022년2023년
파일:kac8th_titlelogo.png파일:kac9th_titlelogo.png파일:kac_10thlogo.png파일:kac_new_가로.png
The 8th KACThe 9th KACThe 10th KACKAC 2023





4. 역대 기록[편집]



4.1. 참가 종목[편집]


BEMANI 시리즈
대회종목총 종목 수
jbRbIIDXpm<Yellow> DM<Yellow> GFDDRSDVXBM[7]DEBS<Crimson> MSCNosDRS
KAC 2011<Yellow><Yellow>7
KAC Asia6
KAC 201210
KAC 201311
The 4th KAC11
The 5th KAC<Crimson>11
The 6th KAC9
The 7th KAC8
The 8th KAC9
The 9th KAC9
The 10th KAC9
KAC 20238
참가 횟수1271211121212102422244-



4.2. 역대 우승자[편집]


||




4.3. 우승 횟수[편집]


코나미 아케이드 챕피언쉽 우승 횟수 순위 (종목 무관)
순위선수우승 횟수우승 종목
1위TATSU★★★★★★★★★★★★
12회
팝픈뮤직(2011,2012,2013,4th 팝픈,4th 오쟈마,5th 남성,6th 남성,7th 남성,8th 남성,9th 남성,10th 프리, 2023 프리)
2위ぎるたん.★★★★★
5회
기타프릭스(2012,5th,7th,8th,10th)
FEFEMZ*유비트 시리즈(2013)
DanceDanceRevolution(4th,5th,7th,8th)
S&YSN-Y유비트 시리즈(7th 팀,8th 개인,8th 팀,9th 팀,10th)
8322팝픈뮤직(5th 여성,6th 여성,8th 여성,9th 여성, 2023 여성)
3위DOLCE.★★★★
4회
beatmania IIDX(2011,2013,5th)
BEMANI Master(2012)
4위REMILIA★★★
3회
사운드 볼텍스(2012)
노스텔지어(7th,8th 베이직)
HO4.KT-YBEMANI Master(2013)
미라이다갓키(2013,4th)
A.K.R-Y유비트 시리즈(4th, 6th 개인,6th 팀)
CORBY.QS유비트 시리즈(5th,6th 팀,9th 개인)
A7STA4A.유비트 시리즈(7th 개인,7th 팀,8th 팀)
ANYA.유비트 시리즈(7th 팀,8th 팀,9th 팀)
CR*ROKA.유비트 시리즈(7th 팀,8th 팀,9th 팀)
U*TAKAbeatmania IIDX(7th,8th,10th 프리)

TATSU가 팝픈에서 단 한번도 우승을 놓치지 않고 절대강자로 자리잡으며 2위와의 격차를 무려 2배 차이로 따돌리고 있다. TATSU가 은퇴하지 않는 이상, 아니 은퇴하더라도 긴 시간이 지나야 기록이 깨질 것으로 보인다.

4.4. 연속 우승[편집]


코나미 아케이드 챕피언쉽 연속 우승 순위
순위선수연승 횟수우승 종목
1위TATSU11연패팝픈뮤직(2011,2012,2013,4th 팝픈,5th 남성,6th 남성,7th 남성,8th 남성,9th 남성,10th 프리, 2023 프리)
2위S&YSN-Y3연패유비트 시리즈(7th 팀,8th 팀,9th 팀)
ANYA.
3위HO4.KT-Y2연패미라이다갓키(2013,4th)
NICHAN.T리플렉 비트 시리즈(2013,4th)
XD2.BOT사운드 볼텍스(2013,4th)
FEFEMZ*DanceDanceRevolution(4th,5th)
DanceDanceRevolution(7th,8th)
8322팝픈뮤직(5th 여성,6th 여성)
팝픈뮤직(8th 여성,9th 여성)
U*TAKAbeatmania IIDX(7th,8th)
A7STA4A.유비트 시리즈(7th 팀,8th 팀)
REMILIA노스텔지어(7th,8th 베이직)
ぎるたん.기타프릭스(7th,8th)
MINI사운드 볼텍스(8th,9th)
yukitani노스텔지어(8th 리사이틀,9th 리사이틀)

TATSU가 전후무후한 기록인 무려 11연패를 달성하며 그 뒷순위와의 격차를 압도적으로 벌려놓고 있다.
8322는 The 7th KAC, the 10th KAC에서 우승을 놓쳐 단독 2위에 오르지 못했다. 만약 7th에서 우승했으면 5연승, 10th에서 우승했으면 4연승이 된다.


4.5. 다종목 우승자[편집]


코나미 아케이드 챕피언쉽 역대 다종목 우승자
선수종목 개수우승 종목
DOLCE.2종목beatmania IIDX(2011,2013,5th)
BEMANI Master(2012)
REMILIA사운드 볼텍스(2012)
노스텔지어(7th,8th 베이직)
HO4.KT-YBEMANI Master(2013)
미라이다갓키(2013,4th)
FEFEMZ*유비트 시리즈(2013)
DanceDanceRevolution(4th,5th,7th,8th)

두 종목 이상 우승한 플레이어는 단 네명. 아직까지 세 종목 이상 우승을 거둔 플레이어는 없다.


5. 여담[편집]


로고의 별 개수는 해당 회차의 종목 개수와 같으며, 2011, 2012 때는 로고 하단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었으나 2013부터 왕관 위를 둥글게 감싸고 있다. 그러나 10th부터 모종의 이유로 별이 사라졌다. 또한 2011부터 2013까지는 검은 왕관 속에 해당 대회의 년도가, 그 이후로 부터는 해당 대회의 회차가 들어간다.

2023년에는 11월에 추가 JAEPO가 개최되면서 다시 이전의 연도제로 돌아갔으며[8], 로고도 새롭게 바뀌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5:31:35에 나무위키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KAC Asia는 예외로 홍콩에서 개최[2] 일본 한정 개최로 한국 선수 참가 불가[3] 개인전과 단체전이 있었는데 모두 우승했다.[4] 워낙 독보적으로 잘 하는 전설이 왕조를 쓰고 있는지라 적어도 남자부 탈환은 시간이 걸린다.아니 일단 8322부터 넘어서야 할 일이다.[5] 유일하게 우승자는커녕 본선 진출자도 없는 종목. 일단 시리즈가 정발되지 않은 기간(드럼매니아는 XG 이후 4년, 기타프릭스는 3rd 이후 16년)사이의 갭이 너무 큰데다가(드럼매니아/기타프릭스 한국 최강인 GR_DDX나 harist도 내로라하는 실력자들이지만 일본 본토의 초고수들은 그야말로 인외의 영역 수준) 정발 이후에도 기체가 많지 않아서 그만큼 유저도 많지 않다. 게다가 아시아 시드를 따로 배정하지 않고 전통의 강호들이 많은 관서 지방과 예선 지역을 같이 묶어서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경쟁에서도 불리하다.[6] 퍼포먼스의 퀄리티까지 보는 일본 예선, 본선과 달리 아시아 예선은 게임 스코어만으로 순위를 결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불리하다. 다만 8th부터 추가된 신생 종목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 지켜볼 일이다.[X] A B C 한국에 정식 발매되기 전 폐지[7] BEMANI Master[8] 단 홈페이지 주소는 https://p.eagate.573.jp/game/kac/kac11/로 넘버링이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