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크리스티안 린트너

덤프버전 :



독일연방공화국 제20대 연방재무장관
크리스티안 볼프강 린트너
Christian Wolfgang Lindner
파일:Christian Lindner profile.jpg
출생1979년 11월 11일 (45세)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부퍼탈
국적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재임기간제20대 연방재무장관
2021년 12월 8일 ~ 현직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볼프강 린트너 (Wolfgang Lindner)
배우자다그마 로젠펠트 (Dagmar Rosenfeld, 2011년 결혼; 2020년 이혼)
프랑카 레펠트 (Franca Lehfeldt, 2022년 결혼)
학력파일:Seal_of_the_University_of_Bonn.png 본 대학교 (정치학 / 학사)
파일:Seal_of_the_University_of_Bonn.png 본 대학교 (정치학 / 석사)
종교가톨릭 (냉담자)
소속 정당
자민당

의원 선수3 (하원)
지역구비례대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경력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자유민주당 집행위원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원
자유민주당 세대 간 문제, 가족 및 통합 대변인
자유민주당 사무총장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회 자유민주당 원내부대표
자유민주당 혁신, 과학 및 기술 대변인
제17대 독일 연방하원의원
가족, 이민자 통합 및 문화에 관한 실무 그룹 자유민주당 대표단원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원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자유민주당 대표
자유민주당 대표
제19 · 20대 독일 연방하원의원
자유민주당 원내대표
군사경력
복무독일 공군 예비군
2002년 ~ 현재
최종계급소령
최종보직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사령부 연락관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독일의 정치인.

자유민주당의 연방 당대표로 사회민주당·동맹 90/녹색당과 함께 구성한 숄츠 내각 연립정부의 일원이며, 해당 내각의 연방 재무부 장관으로 재직 중이다.

2. 생애[편집]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부퍼탈에서 태어나 본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했다. 2000년 21세의 나이로 최연소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2009년에는 연방의회 의원에 선출, 자유민주당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2012년 주의회로 복귀한 이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자유민주당의 대표로 선출되었다.

제18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이 원외정당으로 추락하는 참패를 당한 이후 연방 자유민주당 대표에 선출되었으며, 제19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이 원내로 복귀한 이후에는 연방의회로 복귀하여 활동하고 있다. 선거 이후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자민당, 녹색당과의 자메이카 연정 추진을 공식화하였으나 최종적으로 린트너가 협상을 결렬시킴으로써 자메이카 연정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기민련 내에서 "독일 민주주의를 사보타주한 나르시스트"라는 극단적인 비판을 받았다.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를 앞두고는 아르민 라셰트가 새롭게 당권을 쥔 기민련과 밀착하며 자메이카 연정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1] 선거 결과 기민련은 패배했지만 본인의 자민당은 독일을 위한 대안을 제치고 제4당으로 부상하면서 연정의 캐스팅보트[2] 지위를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이후에는 사민당, 녹색당과 연정 협상을 진행하였고, 최종 합의 결과 린트너 대표 본인이 재무장관에 내정되는 등 자민당이 4개 부처의 장관직을 차지하게 될 예정이다.

12월 8일, 숄츠 내각이 공식 출범하면서 재무장관으로 취임하였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지역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0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회 선거비례대표
자민당

721,558 (9.8%)당선초선
2005508,266 (6.2%)재선
2009제17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6,316,080 (14.56%)초선
2012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회 선거670,082 (8.6%)3선
2017제19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4,999,449 (10.75%)재선
2021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5,319,952 (11.46%)3선[3]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자민당

1995 - 현재정계입문
입당

5. 여담[편집]


  • 병역은 대체복무(Zivildienst)로 이행했으나 이후 독일 공군의 예비역 장교가 되었고, 현재 예비역 소령 계급을 가지고 있다.

  • 2008년부터 교제한 기자 다그마 로젠펠트(Dagmar Rosenfeld)와 2011년 결혼하였으나 2020년에 이혼하였고, 2022년에 기자 프랑카 레펠트(Franca Lehfeldt)와 결혼했다.

  • 가톨릭 가정에서 태어났으나 18세 이후 교회에 거의 출석하지 않는다고 한다.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 당시에 우크라이나가 조기에 무너질 것으로 판단하고 친러 괴뢰정권과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고 주독 우크라이나 대사가 폭로했다.#

  • 탈원전에 대해 반대한다. 린트너 뿐 아니라 자민당 주류 견해는 원전 유지인 것으로 보인다.#

  • 메르켈에 반대하는 등 경제적으로는 확고한 우파 성향이지만, 1980년대 이후로 침체된 사회자유주의(좌파자유주의) 계파를 되살리려고 했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장.svg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제20대 연방의원
[ 펼치기 · 접기 ]

87구88구89구90구91구
올리버 크리셔[1]클라우디아 몰빌프리트 욀러스토마스 라헬게오르크 키펠스
92구93구94구95구96구
데틀레프 자이프사나에 압디스벤 레만롤프 뮈체니히카트린 울리히
97구98구99구100구101구
엘리자베트 빙켈마이어-베커노르베르트 뢰트겐카르스텐 브로데서헤르만-요제프 테브로케칼 라우터바흐
102구103구104구105구106구
헬게 린트잉고 섀퍼클라우스 비너페터 바이어토마스 야르촘벡
107구108구109구110구111구
안드레아스 림쿠스헤르만 그뢰에귄터 크링스안스가 헤펠링마르틴 플룸
112구113구114구115구116구
슈테판 루엔호프라이너 켈너[2]얀 디렌배르벨 바스마흐무트 외즈데미르
117구118구119구120구121구
디르크 푀펠제바스티안 피들러디르크 하이덴블루트마티아스 하우어프랑크 슈바베
122구123구124구125구126구
브라이언 닉홀츠마르쿠스 퇸스옌스 슈판미하엘 게르데스안네 쾨니히
127구128구129구130구131구
마크 헨리히만안야 칼리첵마리아 클라인-슈마잉크헤닝 레바움랄프 브링크하우스
132구133구134구135구136구
빕케 에스다슈테판 슈바르체아힘 포스트위르겐 베르크한크리스티안 하제
137구138구139구140구141구
카르스텐 린네만티모 시자노스키악셀 에체베리아악셀 섀퍼미셸 뮌테페링
142구143구144구145구146구
옌스 파익자비네 포쉬만올리버 카츠마렉미하엘 테브스한스-위르겐 티스
147구148구149구150구
프리드리히 메르츠폴커 클라인플로리안 뮐러파울 치미악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뤼디거 루카센카이 고트샬크파비안 야코비마르틴 레너요어크 슈나이더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미하엘 에스펜딜러마티아스 헬페리히로거 베캄프하랄트 바이엘오이겐 슈미트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요헨 하욱슈테판 코이터아르민 라셰트세랍 귈러아스트리트 팀머만-페히터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자비네 바이스카타리나 도스 산토스 피른하버미하엘 브라일만케르스틴 피어레게슈테판 나케
비례 21비례 22비례 23비례 24비례 25
올리버 폭트케르스틴 라돔스키후베르트 휘페위르겐 하트크리스티안 린트너
비례 26비례 27비례 28비례 29비례 30
마리-아그네스 슈트락-침머만알렉산더 그라프 람스도르프[3]마르코 부쉬만요하네스 포겔비잔 지르-사라이
비례 31비례 32비례 33비례 34비례 35
오토 프리케라인하르트 후벤프랑크 섀플러니콜레 베스티히칼하인츠 부젠
비례 36비례 37비례 38비례 39비례 40
마르쿠스 헤르브란트베른트 로이터칼-율리우스 크로넨베르크카트린 헬링-플라크리스티안 자우터
비례 41비례 42비례 43비례 44
올라프 인 데어 벡옌스 토이트리네만프레트 토텐하우젠카타리나 빌콤
비례 45비례 46비례 47비례 48비례 49
브리타 하셀만이레네 미할리치야노쉬 다멘카타리나 드뢰게펠릭스 바나착
비례 50비례 51비례 52비례 53비례 54
얀-니클라스 게젠휘스울레 샤우브스로빈 바게너니케 슬라빅라미야 카도르
비례 55비례 56비례 57비례 58비례 59
오펠리아 닉막스 룩스카이 게링자라 나니마익 아우센도르프
비례 60비례 61비례 62비례 63비례 64
샤히나 감비르카트린 헤네베르거안네-모니카 슈팔렉마르쿠스 쿠르트라우라 크라프트
비례 65비례 66비례 67비례 68
자비네 그뤼츠마허루카스 베너안야 리버트미하엘 자허
비례 69비례 70
마티아스 비르크발트카트린 포글러
비례 71비례 72비례 73비례 74
자라 바겐크네히트세빔 다델렌안드레이 훙코크리스티안 라이
비례 75비례 76비례 77비례 78비례 79
스벤야 슐체제바스티안 하트만케르스틴 그리제디르크 비제우도 쉬프너
비례 80비례 81비례 82비례 83비례 84
베른하르트 달드룹나디네 헤젤하우스베티나 룩디트마 닐탄다그마 안드레스
비례 85비례 86비례 87비례 88비례 89
제시카 로젠탈볼프강 헬미히귈리스탄 육셀자라 라르캄프네자하트 바라다리
비례 90비례 91비례 92비례 93비례 94
찬다 마르텐스위르겐 코세예-원 리루이자 리치나-보데다니엘 링커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1] 2022년 의원직 사퇴하고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환경부 장관이 되었다. 미하엘 자허가 비례대표로 의원직 승계. [2] 2022년 사망. 비례대표로 다니엘 링커트가 의원직 승계[3] 2023년 의원직 사퇴하고 러시아 외교관으로 파견감. 카타리나 빌콤이 의원직 승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자유주의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주요 이념고전적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문화적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 중도주의 · 질서자유주의
연관 이념공화주의 · 국민자유주의* · 녹색 자유주의(Grüne) · 사회자유주의 · 자유주의 페미니즘(개인주의 페미니즘) · 자유지상주의
과거 이념급진주의 · 계몽주의 · 라이시테주의
연관 개념시장경제 · 자유국제주의 · 자유보수주의 · 진보주의 · 흑적금 국기단
주요 정당1차대전 이전독일국민협회 · 독일 인민당(1868년) · 독일 자유사상당 · 독일 자유사상인민당 · 독일 진보당 · 자유사상가 연합 · 자유주의연합 · 진보인민당
바이마르 공화국독일 국가당 · 독일 민주당 · 독일 인민당
전후 독일동맹 90/녹색당 · 자유민주당
인물구스타프 슈트레제만 · 기도 베스터벨레 · 랄프 다렌도르프 · 루돌프 폰 베니히센 · 루돌프 피르호 · 막스 베버 · 발터 라테나우 · 발터 셸 · 발터 오이켄 · 빌헬름 뢰프케 · 아날레나 베어보크 · 알렉산더 뤼스토 · 에두아르드 라스커 · 칼헤르만 훌락 · 크리스티안 린트너 · 테오도르 몸젠 · 테오도어 호이스 · 프리드리히 나우만 · 한스디트리히 겐셔
언론디 차이트 · 쥐트도이체 차이퉁 ·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단체프리드리히 나우만 자유재단 · 하인리히 뵐 재단(Grüne)
독일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독일에서 보수자유주의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으며, 독일에서 우파자유주의(Rechtsliberalismus)는 국민자유주의(Nationalliberalismus)와 동의어이다.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분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3:01:56에 나무위키 크리스티안 린트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러한 자민당의 태도 변화 이유를 묻는 질문에 린트너 대표는 "메르켈의 자메이카 연정이 아닌, 라셰트의 자메이카 연정이기 때문이다"는 취지로 답했다. 라셰트에 대한 자민당의 분명한 선호를 보여주는 대목. 다만 나중에 사민당이 1위를 차지한 이후에는 사민당-녹색당과의 신호등 연정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기는 했다.[2] 제1당인 사민당이나 제2당인 기민련 모두 제3당 녹색당과의 연정을 상정해도 과반에 미달해 자민당 없이 다수 정부를 구성할 수 없는 상황이다.[3] 독일 연방재무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