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3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23년 문서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23년번 문단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23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600000><colcolor=#ffcc00>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라쿠텐 로고.svg 라쿠텐 ||
|| 일본시리즈 우승
||2013 ||
|| 리그 우승 ||2013 ||
||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9 · 2013 · 2017 · 2019 · 2021 ||
|| 시즌별 요약 ||2013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2 · 2023 ||
|| 현역 선수 경력 ||다나카 마사히로/선수 경력 · 아사무라 히데토/선수 경력 ||
||<|2> 경기장 ||1군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 · 2군 라쿠텐 이글스 이즈미 연습장 · 리후시중앙공원야구장 ||
||지방 홈구장 코마치 스타디움(아키타현) · 이와테 모리오카 볼파크(이와테현) · 야마가타 야구장(야마가타현)
· 하루카유메 구장(아오모리현) · 요크 카이세이잔 스타디움(후쿠시마현) ||
|| 홈 중계 채널 ||파일:J SPORTS 1 로고.svg 파일:J SPORTS 2 로고.svg 파일:J SPORTS 3 로고.svg 파일:J SPORTS 4 로고.svg (1~4 유동적 편성) ||
|| 주요 인물 ||감독 이시이 카즈히사 · 선수회장 노리모토 타카히로 · 주장 아사무라 히데토 ||
||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오릭스-라쿠텐 분배 드래프트 ||
|| 틀 문서 ||<bgcolor=#6000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영구 결번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라쿠텐 산하 구단
||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Tohoku Rakuten Golden Eagles
東北(とうほく楽天(らくてん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
구단 법인명㈜라쿠텐 야구단
(株式会社楽天野球団)
창단2004년 10월 29일(19주년)
연고지미야기현 센다이시
구단 연고지 변천미야기현 (2005~)
구단명 변천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05~)
홈 구장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 (2005~2010, 2012~)
홋토못토 필드 고베 (2011)[1]
2군 구장리후시중앙공원야구장
모기업라쿠텐
감독98 이마에 토시아키(今江敏晃)
선수회장14 노리모토 타카히로(則本昂大)
주장3 아사무라 히데토(浅村栄斗)
킷 스폰서미즈노
마스코트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마스코트.svg
클러치 & 클러치나
구단기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구단기.svg
역대
한국인 선수
김병현 (2011)
김무영 (2016)
역대
한국계 선수
카네다 마사히코(김정언)[2] (2005~2006)
카네토 노리히토(유헌인)[3] (2013~2017)
홈 경기 중계 채널파일:J SPORTS 4 로고.svg
링크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심볼.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일본시리즈 우승 (1회)
2013
퍼시픽리그 우승 (1회)
2013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1회)
2013
포스트시즌 진출 (5회)

1. 개요
2. 구단 역사
3. 팀 컬러
4. 관중수 추이
5. 홈구장
6. 유니폼
7. 응원가
8. 이야깃거리
9. 주요 선수들
9.1. 현역
9.2. OB
9.3. 구단 출신 메이저리거
10. 역대 감독
11. 역대 성적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프로야구단. 연고지는 미야기현 센다이시. 홈 구장은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미야기 구장)이다.

2004년에 있던 일본프로야구 재편 문제의 해결책으로 50년 만에 새로 창단된 구단으로, 오릭스-라쿠텐 분배 드래프트와 기존 팀들의 무상 트레이드 지원으로 선수단을 편성한 2005년부터 퍼시픽 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현재 일본프로야구 12개 구단 중 가장 나중에 생긴 구단이다. 창단된 이후로 빠르게 신인 선수들을 육성하고 정착시켜 나가며 팀 컬러를 확립, 2013년 일본시리즈 우승의 업적을 가지고 있다.

줄인 명칭이 좀 따로 노는 편인데, 장내 아나운서나 공식 홈페이지 도메인 쪽은 라쿠텐 이글스를 쓰지만, 언론이나 중계에서는 도호쿠 라쿠텐을 쓴다. 대한민국의 경우는 아직 지역명 부착이 활성화되지 않은 관계로 전자에 가깝다. 골든이글은 도호쿠 지역 산에 서식하는 일본 야생에서 가장 크고 강한 맹금류검독수리를 의미하며, 응원가에도 狗鷲(イヌワシ)가 들어간다.

한자 표기가 楽天(일본 신자체), 즉 樂天(일본 구자체, 중화권정체자)/乐天(간체자)[4]인 탓에 이 단어를 중국어 명칭으로 사용하는 롯데와 혼란이 있다. 중화권에서 보기엔 롯데가 프로야구 팀을 세 개(NPB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와 치바 롯데 마린즈, KBO 리그롯데 자이언츠) 거느리고 있는 것처럼 오해하기 딱 좋다. 그래서 라쿠텐이 이 구단을 인수한 이후 치바 롯데는 '롯데' 부분의 중국어 표기를 羅德/罗德[5]으로 바꿨다. 그런데 이번에는 중화권에서 치바 롯데는 별개 모기업 밑에 있는 구단이고,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와 롯데 자이언츠가 롯데그룹 산하의 형제 구단인 것으로 착각하기 쉽게 되었다.[6] 거기에 2020 시즌부터 라미고 몽키스가 라쿠텐 산하로 들어가면서 도호쿠와 키타칸토[7], 코신에츠 일부 지역에서 독보적인 인기를 자랑하는 팀이다.

2. 구단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팀 컬러[편집]


팀 컬러는 인스턴트 야구.

야구 내적으로는 투타가 조화된 야구를 하는 팀이다. 홈 구장인 미야기 구장은 일본내 구장 중 파크팩터가 가장 중립에 가까운 구장으로, 한국 KIA 타이거즈의 챔피언스 필드와 사이즈가 거의 같다. 기아 홈구장도 KBO에선 가장 중립구장이라고 평가받는 구장으로 투타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밸런스가 잘 맞는 홈구장을 쓰고 있고 이에 걸맞는 팀 컬러.

과거엔 이와쿠마 히사시, 다나카 마사히로 같은 메이저리그에서도 1선발급인 에이스들이 있어 투수력 위주의 야구라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그건 그 선수들이 유독 뛰어났을 뿐 그런 와중에도 타선에는 야마사키 타케시, 앤드류 존스와 같은 강타자들이 버티고 있었으며 현재도 아사무라 히데토와 같은 강타자가 있어 타선도 무시할 수 없는, 투타 박자가 잘 맞는 밸런스 야구를 하는 팀.

팀 운영은 현재는 좀 방향성이 이상하다는 평가를 듣기도 하는 편. 이는 모기업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다. 본래 라쿠텐 회장 미키타니 히로시는 젊은 나이에 성공한 재벌로 각종 스포츠 사업에 통 큰 투자를 하기로 유명한 사람인데, 이는 스포츠 마케팅적 효과도 있지만 회장 개인의 명예욕과 과시욕도 한몫한다. 일본 내에서도 과시욕이 강한 사람이란 평을 듣는 사람으로 한국으로 치면 정용진, 김택진 구단주와 비슷한 사람이다.

이글스의 창단도 이와 관련이 있는데 이글스의 창단에는 미키타니 회장의 프로야구 구단주란 명예가 갖고 싶다는 욕심 또한 큰 이유였던 것. 덕분에 창단 이후에는 야구에 큰 관심을 가지며 현역 메이저리거인 앤드류 존스를 영입하는 등 통 큰 투자를 해왔고 창단 8년만에 일본시리즈 우승을 거두는 등 아주 잘 나갔다.

그러나 2013년 우승 이후 이제 일본에서 이룰 것은 다 이뤘다고 생각했는지 투자의 방향을 축구로 돌려 FC 바르셀로나 등의 해외 명문 축구팀 메인 스폰서로 나서고, 일본 내에서도 J리그 구단 빗셀 고베를 사들이고 현역 유럽리그 스타인 이니에스타를 영입하는 등 완전히 축구로 관심이 쏠리며 야구단에 지원이 줄었다. 오죽하면 이글스 선수단 전체 연봉이 이니에스타 한명보다 못하다고 팬들이 불평할 정도.

거기에 라쿠텐 그룹 역시 2010년대 후반 통신과 인터넷사업에서 큰 적자를 내고 있으며, 본업인 쇼핑몰 역시 아마존에 점점 파이를 빼앗기며 돈벌이가 예전만 못한 상황이라 더더욱 야구단에는 투자가 줄고 있다. 오죽하면 MLB에서 복귀하는 프랜차이즈 스타인 창단멤버 이와쿠마의 연봉을 못 맞춰줘서 교진에 빼앗길 정도.

덕분에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중하위권을 전전하며 하루살이 운영을 하는 팀이다. 비싼 용병도 없고 선수 드래프트도 그냥 그때그때 구멍을 때워 줄 선수를 뽑으며, 특히 대졸 사회인처럼 나이많은 선수나 육성선수처럼 기대치가 낮은 선수는 기량이 빨리 올라오지 못하면 연봉이나 아끼자고 빠르게 짤라버리는 것으로도 악명높은 구단. 구단이 흥행이 잘 되어 돈을 벌어온다면 모르겠지만 낙후되고 인구도 적은 도호쿠 지역의 특성상 관중도 적어 돈 나올 구멍도 없기에 그저 모기업의 지원만 바라봐야 하는 구단이다. 모기업 사정이 좀 나아지거나 미키타니 회장이 다시 야구에 관심을 갖게 되면 사정은 달라지겠지만, 아직은 요원하고 그냥 그때그때 시즌을 때워가는 식으로 인스턴트 야구를 하고 있는 구단.

그래도 2010년대 쭉 하위권에 머무르다 보니 신인은 괜찮게 뽑아서 천천히나마 리빌딩이 진행되어 2020년대 들어서는 거의 매년 3위 자리를 두고 다투는 정도까지는 성적이 올라왔기에 미래는 기대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4. 관중수 추이[편집]


연도별총 관중일일 평균
2009년1,203,169명16,711명
2010년1,141,640명15,856명
2011년1,168,188명16,225명
2012년1,177,793명16,358명
2013년1,281,087명17,793명
2014년1,450,233명20,142명
2015년1,524,149명21,467명
2016년1,620,961명22,513명
2017년1,770,108명24,931명
2018년1,726,004명23,972명
2019년1,821,785명25,659명
2020년236,084명3,935명
2021년615,237명8,545명
2022년1,331,131명18,748명
2023년1,358,512명18,868명


5. 홈구장[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미야기 구장#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주요 지방 경기장[8]


6. 유니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유니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창단 10년이 조금 넘은 신생구단이지만 이벤트 유니폼이 많이 나와 그것을 정리한 항목이 단일 항목으로 분리되었다.


7. 응원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응원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이야깃거리[편집]


















9. 주요 선수들[편집]



9.1. 현역[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선수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2. OB[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역대 선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3. 구단 출신 메이저리거[편집]




10. 역대 감독[편집]


||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2005년 ~ 현재
||
||<width=20%> 1대
타오 야스시
파일:일본 국기.svg
(2005) ||<width=20%> 2대
노무라 카츠야
파일:일본 국기.svg
(2006~2009) ||<width=20%> 3대
마티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2010) ||<width=20%> 4대
호시노 센이치[1]
파일:일본 국기.svg
(2011~2014)
||<width=20%> 5대
오쿠보 히로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2015) ||
||<width=20%> 6대
나시다 마사타카
파일:일본 국기.svg
(2016~2018)[A] ||<width=20%> 7대
히라이시 요스케
파일:일본 국기.svg
(2018~2019)[A] ||<width=20%> 8대
미키 하지메
파일:일본 국기.svg
(2020) || 9대
이시이 카즈히사
파일:일본 국기.svg
(2021~2023) ||<bgcolor=#e0ffdb,#073300> 10대
이마에 토시아키
파일:일본 국기.svg
(2024~) ||
||<-5>
[1] 2014년 5월 26일~7월 25일까지 건강문제로 휴양. 휴양기간 중엔 사토 요시노리(5월 26일~7월 1일)/오쿠보 히로모토(7월 2일~24일)가 각각 감독대행을 역임.[A] A B 2018년 시즌 도중인 6월 17일 성적부진으로 사퇴. 잔여시즌은 히라이시 요스케가 감독대행을 역임했으며 시즌 종료 후 정식 감독 취임.
||




대수이름재임기간연수비고
1타오 야스시2005년1년구단 사상 최초의 감독
2노무라 카츠야2006년~2009년4년팀 역사상 최초의 A클래스,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감독
3마티 브라운2010년1년
4호시노 센이치2011년~2014년4년팀 역사상 최초의 퍼시픽리그, 일본시리즈 우승 감독
2014년 5월 26일~7월 24일까지 건강문제로 휴양[27]
5오쿠보 히로모토2015년1년2015년 시즌 도중 사임
6나시다 마사타카2016년~2018년 6월2년6개월킨테츠 최후의 감독
2017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
2018년 시즌 도중 사임
7히라이시 요스케2018년 6월 ~ 2019년1년6개월2018 시즌은 감독 대행
8미키 하지메2020년1년
9이시이 카즈히사2021년~2023년3년

보면 알겠지만, 5대까진 홀수 대엔 무능한 감독들이 1년을 맡고, 짝수 대엔 유능한 감독들이 4년을 맡아 팀을 상위권으로 이끄는 징크스가 이어진다. 나시다 감독은 부임 2년차에 CS에 진출하며 이 징크스를 이어가는 가 했으나 3년차에 팀 전력이 붕괴하면서 시즌 도중 퇴임했고, 잔여 시즌을 지휘한 히라이시 감독대행이 정식 감독으로 승격한 2019년 팀의 클라이막스 시리즈 진출을 이끌었며 '무능한 감독'의 징크스는 깼지만 시즌 종료 후 감독직에서 물러나며 '1년을 맡는' 징크스는 이어지게 되었다. 대신 히라이시는 클라이막스 상대팀감독의 부름을 받고 소뱅 1군종합타격코치로 영전해서 요미우리를 2년연속 4대0 떡실신 시키는 공을 세우게 된다.

11. 역대 성적[편집]


­리그 우승[28]
­2위
­3위
B클래스

연도정규시즌 순위최종순위[29]팀이름경기수승률포스트시즌[30]
20056위/6팀6위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13638971.281
20066위/6팀6위13647854.356
20074위/6팀4위14467752.472
20085위/6팀5위14465763.461
20092위/6팀2위14477661.538퍼스트 스테이지 (2-0 vs 소프트뱅크)
세컨드 스테이지 (1-4 vs 닛폰햄)
20106위/6팀6위14462793.440
20115위/6팀5위14466717.482
20124위/6팀4위144676710.500
20131위/6팀우승14482593.582파이널 스테이지 (4-1 vs 롯데)
일본시리즈 (4-3 vs 요미우리)
20146위/6팀6위14464800.444
20156위/6팀6위14357833.407
20165위/6팀5위14362783.443
20173위/6팀3위14377633.550퍼스트 스테이지 (2-1 vs 세이부)
파이널 스테이지 (2-4 vs 소프트뱅크)
20186위/6팀6위14358823.414
20193위/6팀3위14371684.511퍼스트 스테이지 (1-2 vs 소프트뱅크)
20204위/6팀4위12055578.491
20213위/6팀3위143666215.516퍼스트 스테이지 (0-1-1 vs 롯데)
20224위/6팀4위14369713.493
20234위/6팀4위14370712.496
NPB 통산 19시즌리그우승 1회26881220139078.467일본시리즈 우승 1회


12. 둘러보기[편집]


파일:라쿠텐 로고.svg
라쿠텐 산하 구단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170><bgcolor=#a40931> 파일:비셀 고베 엠블럼.svg ||<width=170><bgcolor=#900000>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width=170><bgcolor=#900000> 파일:라쿠텐 몽키스 로고.svg ||
||<bgcolor=#ffffff> 비셀 고베 ||<bgcolor=#600000>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bgcolor=#600000> 라쿠텐 몽키스 ||



파일:미야기현 문장_White.svg
||



[1]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때문에 미야기 구장을 못 쓰게 되어 잠시 옮겼다.[2] (金田政彦). 재일교포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3] (金刃憲人). 재일교포 3세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4] 중국어 풀네임은 東北樂天金鷲/东北乐天金鹫.[5] 굳이 일본 신자체대로 옮길 경우 羅徳. 일본 신자체에서는 '큰 덕' 자의 心 위에 一을 삭제했다. 보통 간체자가 신자체보다 획이 간단한 경우가 많지만 신자체가 더 간단한 경우 중 하나가 이 글자이다. 간체자에서는 원래의 德이 유지되고 있다.[6] 한때 중국어 위키백과에서 롯데 자이언츠도 羅德으로 고친 羅德巨人(간체 변환 시 罗德巨人)으로 바꿨었다가 현재는 乐天巨人(정체 변환 시 樂天巨人)으로 되돌린 상태이다. 현재는 羅德巨人이나 罗德巨人을 검색하면 乐天巨人 문서로 리다이렉트된다.[7] 키타칸토는 우츠노미야역을 중심으로 한 도호쿠 신칸센의 영향으로 문화적으로 센다이와 가깝다.[8] 2020년에는 이들 중 아키타와 아오모리에서 1경기씩 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로 취소. 해당 경기들은 센다이에서 하는 것으로 재배치될 예정이다.[9] 2023년에 새롭게 개장한 구장. 기존의 이와테 현영 야구장이 시설 노후화로 인해서 대체되었다.[10] 야구장 바로 옆에 나카야마정에서 운영하는 공영 온천호텔 <유라라>가 있다.[11] 다만 지바 롯데도 사사키 로키 등 도호쿠 출신 선수들을 많이 영입했다.[12] 한국으로 치자면 NC 다이노스두산 베어스 선수들을 많이 빼돌리는 것을 생각해 보면 쉽다.[13] "요미우리 자이언츠 응원가를 군가라고 하면, 라쿠텐도 그 종류에 들어갈거야." "군가를 만든 게 잘못이라고 생각하는데." 등의 반응이다.[14] 구단 설립 당시 마케팅을 담당하는 라쿠텐 스포츠 프로퍼티를 모닝구무스메 소속사인 업프론트그룹과 합작하여 설립한 덕분. 설립 후 업프론트내 팀들이 응원가를 한차례씩 담당했었다. 이후 2010년 7월 1일에 라쿠텐 골든이글스가 라쿠텐 스포츠 프로퍼티를 완전히 인수 합병하여 업프론트와는 결별, 이후부터는 응원가 같은 거 없다.[15] 이 글에서 참조했다.[16] 우리나라로 치면 몽골이나 청나라에게 탈탈 털리는 사극이라고 할 수 있다.[17] 거꾸로 생각하면 셔틀런에서 일개 단장에게 밀릴 정도로 선수들의 기초체력이 약하다는 의미도 된다.[18] 사실 그런 드립이 나올 만도 한 게 트위터를 보면 선수들과 친하며 구단 내 관계자와 외부 이해관계자들의 소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심지어 팬들과의 관계도 좋은 게, 팬들이 타치바나 사장 이름이 마킹된 유니폼을 만들어 주기도 할 정도였다.[19] 실제로 라쿠텐과 같은 산업 내에 속한 아마존닷컴도 전자상거래를 통해 얻은 데이터분석 기술이 핵심역량이다.[20] 현재는 다른 구단들도 분석 시스템 및 통계를 도입한 상태이다.[21] 한국프로야구에서는 삼성 라이온즈, 두산 베어스 등에서도 트랙맨 분석시스템을 도입했다.[22] 이 역시 세이버메트릭스와 관련이 있다.[23] 오쿠보는 세이부 코칭스태프 시절에도 폭력, 고압적인 태도 등으로 문제를 일으켰다.[24] 대신 라쿠텐의 경우 이미 모회사부터 FC 바르셀로나,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유니폼 스폰서십을 할 만큼 재정기반이 안정된 글로벌 대기업이며, 연고이전 문제 및 입지 나쁜 야구장, 사기꾼이 아킬레스건이 되는 넥센과 달리 20세기에 프로야구와는 거리가 먼 지역이었던 안정된 지역기반교통 편리한 홈구장이 있다.[25] 이는 2018년부터 응원단장으로 온 진 토시오의 양행이 크다. 그의 전 소속팀 치바 롯데 마린즈에서도 앰프로 응원을 유도했다.[26] 구단에서는 빗셀과 콜라보를 하고 있으나 정작 팬들은 지역 특성상 같은 새 마스코트인 베갈타 센다이와 친하다.[27] 5월 26일~7월 2일까진 사토 요시노리가, 7월 3일~7월 23일까진 오쿠보 히로모토가 감독대행을 맡음.[28] 볼드체는 일본시리즈 우승이다.[29] 2006년까지는 플레이오프 결과도 반영하므로 정규시즌 순위와 다를 수 있다.[30] A클래스는 포스트시즌 진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21:12:49에 나무위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