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패트릭 헨리

덤프버전 :

파일:미국 국장 (원형).svg
건국의 아버지들
[ 펼치기 · 접기 ]

앤드루 애덤스존 애덤스새뮤얼 애덤스토머스 애덤스
존 앨솝에이브러햄 볼드윈존 배니스터조사이아 바틀렛
리처드 바셋건닝 베드퍼드 주니어데이빗 브렐리에드워드 비들
존 블레어리처드 블랜드윌리엄 블라운트사이먼 보름
카터 브랙스턴제이콥 브룸피어스 버틀러캐럴턴의 찰스 캐럴
대니얼 캐럴리처드 캐스웰새뮤얼 체이스에이브러햄 클라크
윌리엄 클링건조지 클라이머존 콜린스슈테판 크레인
토머스 쿠싱프랜시스 대나조나단 데이턴사일러스 딘
존 드 하트존 디킨슨윌리엄 헨리 드레이턴제임스 두에인
윌리엄 듀얼엘리퍼릿 다이윌리엄 엘러리윌리엄 퓨
토머스 피츠시먼스윌리엄 플로이드나다니엘 폴섬벤저민 프랭클린
크리스토퍼 개즈던조셉 갤러웨이엘브리지 게리니콜라스 길먼
나다니엘 고램버튼 그윈넷리먼 홀알렉산더 해밀턴
존 핸콕존 핸슨코르넬리우스 하니트벤저민 해리슨
존 하트존 하비패트릭 헨리조셉 휴이스
토머스 헤이워드 주니어새뮤얼 홀텐윌리엄 후퍼프랜시스 홉킨슨
슈테판 홉킨즈티투스 호스머찰스 험프리스새뮤얼 헌팅턴
리처드 허슨제러드 잉거솔존 제이토머스 제퍼슨
토머스 존슨윌리엄 새뮤얼 존슨루퍼스 킹제임스 킨제이
존 랭던에드워드 랭워시헨리 로렌스프랜시스 라이트풋 리
리처드 헨리 리프랜시스 루이스필립 리빙스턴윌리엄 리빙스턴
제임스 러벌아이작 로우토머스 린치헨리 머천트
제임스 매디슨존 매튜스제임스 매켄리토머스 매킨
아서 미들턴헨리 미들턴토머스 미플린거버니어 모리스
루이스 모리스로버트 모리스존 모턴토머스 넬슨 주니어
윌리엄 파카로버트 트리트 페인윌리엄 패터슨에드먼드 펜들턴
존 펜찰스 코츠워스 핑크니찰스 핑크니페이튼 랜돌프
조지 레드조셉 리드대니얼 로베르도시저 로드니
조지 로스벤저민 러시에드워드 러틀리지존 러틀리지
나다니엘 스커더로저 셔먼제임스 스미스조너선 베이야드 스미스
리처드 스미스리처드 돕스 스페이트성 토머스 제니퍼의 대니얼리처드 스톡턴
토머스 스톤존 설리번조지 테일러에드워드 텔페어
매튜 손턴매튜 틸먼니콜라스 반 다이크조지 월턴
존 월턴새뮤얼 워드조지 워싱턴존 웬트워스 주니어
윌리엄 휘플존 윌리엄스윌리엄 윌리엄스휴 윌리엄슨
제임스 윌슨헨리 위스너존 위더스푼올리버 월코트
조지 위스조지 메이슨



초대·6대 버지니아 주지사
패트릭 헨리
Patrick Henry
파일:440px-Patrick_henry.jpg
출생1736년 5월 29일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버지니아 식민지
하노버 카운티 스터들리[1]
사망1799년 6월 6일 (향년 63세)
미국 버지니아 주 브루크닐
재임기간초대·6대 버지니아 주지사
1776년 7월 5일 ~ 1779년 6월 1일
1784년 12월 1일 ~ 1786년 12월 1일
서명파일:Patrick_Henry_Signature.png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Give me liberty, or give me death!

나에게 자유를 달라, 아니면 죽음을 달라!


미국정치인. 일명 건국의 아버지들 중 한 명이다. 변호사였던 그는 영국을 상대로 한 각종 소송을 맡았고 영국의 식민지정책을 비판하며 독립론자들의 지도자들 중 한 명이 되었고 독립전쟁 당시 버지니아군의 사령관으로 활약하였다. 이후 초대 버지니아 주지사를 맡았으며 독립이 된 후에 6대 버지니아 주지사를 맡게 되었다.

2. 생애[편집]


1736년 5월 29일 버지니아 식민지 하노버 카운티의 스터들리라는 곳에서 군인과 재판관 등을 지냈던 스코틀랜드계 출신인 존 헨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근처의 학교에서 초등교육을 받은 그는 아버지로부터 개인교습을 받으며 자랐고 농사도 하고 상점도 운영을 하며 젊은 시절을 보냈다. 1754년에는 새러 셸턴과 결혼을 하였고 그 후 변호사가 되기 위해 법률을 공부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1760년에 변호사 면허를 얻게 되면서 그는 변호사의 길을 걷게 되었다. 변호사였던 그는 날렵한 기지와 타고난 웅변술 등을 이용하여 각종 소송들을 모두 승소로 이끌게 되었다.[출처]

그가 활약한 대표적인 소송사건은은 바로 '사제의 소송'이었다. 그가 맡았던 소송은 흉년으로 인해 담배가격이 급상승하자 사제의 봉급을 인상시키며 담배가 아닌 현금으로 지급하게 한다는 법을 다룬 것이었다. 당시 영국은 이를 허락하고 있지 않았으며 이에 패트릭 헨리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가지고 태어났다는, 기본권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그는 승소할 수 있게 되었다.[출처]

그 후 헨리는 본격적으로 영국에 맞서는 행보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1765년 버지니아 식민지 의회에 하원의원이었던 그는 영국이 식민지에 대해 제정한 인지세법을 강력히 비판하고 나섰고 동시에 영국의회에 식민지세력을 대표하는 목소리가 없다면서 식민지의회에게 독자적인 입법권을 부여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영국에서 거의 모든 문제에서 초강경적 입장을 취했고 이로 인해서 반역자라는 공격도 받았다.[출처]

이후 그는 미국의 독립을 주장하며 대영강경론자들의 지도자들 중 한 사람으로서 영향력을 지니게 되었다. 그는 버지니아 연락위원회의 위원을 맡아 각 식민지간의 협력과 연락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보스턴 차 사건이 일어나자 영국이 만든 악법들을 철폐시키기 위해 1774년에 개최된 대륙회의에 버지니아 주 대표로 참석하였다. 1775년 영국과의 전쟁을 코앞에 둔 상황에서 헨리는 버지니아 민병대를 창설해야한다고 주장하였고 나에게 자유를 달라, 아니면 죽음을 달라는 유명한 어록을 남기게 되었다. 이후 버지니아 민병대가 창설되었고 패트릭 헨리는 버지니아군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하였다. 1776년에 그는 버지니아 주헌법의 작성에 참여하였고 같은 해 버지니아 주지사로 선출되어 3년간 주지사로서 재직하였다.[출처]

1780년 주의회에 진출한 이후 4년간 공직에서 활동하였고 1784년에 다시 주지사로 선출되었다. 한편 이 시절 반연방주의자였던 그는 연방헌법 비준에 반대하고 나섰다. 주지사에서 물러난 후 1787년에 그는 다시 주의회에 진출하였다. 1799년 그는 다시 주의원 후보로 출마하였고 당선되었으나 임기가 시작되기도 전에 브루크닐에 있던 자신의 집에서 위암으로 사망하였다.[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