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팬아메리칸 게임

덤프버전 :



팬아메리칸 게임
Pan American Games
파일:팬아메리칸 게임 로고.svg
시작 연도1951년 (하계 팬아메리칸 게임[1])
1990년 (동계 팬아메리칸 게임[2][3])
주최 위원회범아메리카 스포츠 기구
(Pan American Sports Organisation)
최다 개최국멕시코 (1955, 1975, 2011)
캐나다 (1967, 1999, 2015)
최다 개최지멕시코 멕시코시티 (1955, 1975)
캐나다 위니펙 (1967, 1999)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역대 대회
2.1. 하계 팬아메리칸 게임
2.1.1. 역대 대회 로고
2.2. 동계 팬아메리칸 게임
3. 종목
4. 참가국
5. 역대 팬아메리칸 게임 1위 국가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4년마다 열리는 아메리카 대륙 전체 국가들을 위한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이며, 범아메리카 스포츠 기구가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감독 아래 주관하고 있다. 동계 팬아메리칸 게임은 첫 대회인 1990년 동계 팬아메리칸 게임 이후로 열리지 않고 있으며 청소년 팬아메리칸 게임과 각종 지역 대회도 열리고 있다. 대회에서는 미국이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북미와 남미의 강호들이 출전하는 축구 종목이 큰 볼거리이다. 특히나 대륙이 대륙인 만큼 오직 축구 한종목에 한해서는 올림픽 뺨칠 정도로 수준이 높다.[4][5]

축구도 인기지만, 최종 보스는 바로 육상이다. 육상에서 정말 미국 vs 기타 국가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진다. 미국캐나다, 자메이카, 콜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6개국이 육상 종목에서 강세를 띈다. 육상 종목 세계신기록은 팬아메리칸 게임에서 대거 나온다. 태권도는 시드니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종목으로 채택되기 이전인, 1991 아바나 팬아메리칸 게임부터 도입되었다.#

선수들은 각자 본국의 올림픽위원회에 의해 선발된다. 예를 들어 캐나다, 미국 국적의 선수는 각각 캐나다, 미국 올림픽위원회를 거쳐 팬아메리칸 게임에 출전하게 된다. 흔히 선수의 국가(國歌)와 국기가 메달 시상식에 쓰이며, 각 나라의 메달 현황을 보여주는 표도 쓰인다.

호주뉴질랜드가 관심없어하는 퍼시픽 게임과는 달리,[6] 미국은 상대가 될 만한 나라들이 있어서 적극 참가하고 있다. 미국은 매 대회마다 어마어마한 수의 메달을 쓸어가고 있다. 쿠바캐나다도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도 순위권을 지키고 있다.

청소년 올림픽의 영향으로 2021년부터 주니어 팬아메리칸 게임을 개최하고 있다.


2. 역대 대회[편집]



2.1. 하계 팬아메리칸 게임[편집]




회기연도개최국개최도시주경기장
11951아르헨티나부에노스 아이레스 팬아메리칸 게임엘 모누멘탈
21955멕시코멕시코시티 팬아메리칸 게임에스타디오 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
31959미국클리블랜드 팬아메리칸 게임
시카고 팬아메리칸 게임
솔저 필드
41963브라질상파울루 팬아메리칸 게임이스타지우 두 파카엠부
51967캐나다위니펙 팬아메리칸 게임위니펙 스타디움
61971콜롬비아칼리 팬아메리칸 게임에스타디오 올림피코 파스쿠알 게레로
71975칠레
멕시코
산티아고 팬아메리칸 게임
멕시코시티 팬아메리칸 게임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81979푸에르토리코산후안 팬아메리칸 게임에스타디오 히람 비손
91983베네수엘라카라카스 팬아메리칸 게임에스타디오 올림피코
101987칠레
에콰도르
미국
산티아고 팬아메리칸 게임
키토 팬아메리칸 게임
인디애나폴리스 팬아메리칸 게임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
111991쿠바아바나 팬아메리칸 게임에스타디오 파나메리카노
121995아르헨티나마르델플라타 팬아메리칸 게임에스타디오 호세 마리아 미넬라
131999캐나다위니펙 팬아메리칸 게임캐너드 인스 스타디움
142003도미니카 공화국산토도밍고 팬아메리칸 게임에스타디오 올림피코 펠릭스 산체스
152007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 팬아메리칸 게임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162011멕시코과달라하라 팬아메리칸 게임에스타디오 아크론
172015캐나다토론토 팬아메리칸 게임로저스 센터
182019페루리마 팬아메리칸 게임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리마
192023칠레산티아고 팬아메리칸 게임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칠레
202027콜롬비아바랑키야 팬아메리칸 게임


2.1.1. 역대 대회 로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팬아메리칸 게임/대회 로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동계 팬아메리칸 게임[편집]




3. 종목[편집]






4. 참가국[편집]


입장 순서 : A, B, C, D, E, G, H, 자메이카, 멕시코, 니카라과, P, S, 트리니다드 토바고, U, V, 개최국
[ 참가국 목록 ]



5. 역대 팬아메리칸 게임 1위 국가[편집]


연도국가
1951년아르헨티나
1955년미국
1959년미국
1963년미국
1967년미국
1971년미국
1975년미국
1979년미국
1983년미국
1987년미국
1991년쿠바
1995년미국
1999년미국
2003년미국
2007년미국
2011년미국
2015년미국
2019년미국
사실상 1회와 11회 빼고 미국이 우승하는 게임이다.. 그들만의 리그..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6:38:10에 나무위키 팬아메리칸 게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2] 아르헨티나 라스레냐스[3] 1회만에 폐지[4] 1951년 원년대회부터 1983년까진 아마추어 선수들이 나섰으나, 1987년부터 남미는 U-20팀, 북중미는 U-23팀으로 실력에 따른 차등 연령제한을 도입하기 시작했고, 점차 북중미의 축구실력이 올라오며 연령 제한이 조정되어 현재는 U-22 대표팀 + 3장의 와일드카드 선수로 구성된 올림픽과 동일한 기준의 대표팀을 구성해 본선 대회를 치른다. 남미와 북중미의 U-20 선수권 대회를 예선으로 활용하며 개최대륙이 남미면 남미 3장, 북중미 4장, 북중미에서 개최되면 남미 4장, 북중미 3장으로 출전권을 배분한다.[5] 여자축구는 1999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아시안게임과 마찬가지로 각국의 국가대표팀이 그대로 출전한다. 남자와 마찬가지로 8개국이 출전하며 출전권 배분 방식도 남자축구와 동일하다.[6] 어쩔 수 없는 게 호주, 뉴질랜드와는 달리 다른 오세아니아 국가들 사이의 체급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두 나라가 퍼시픽 게임에 참가한다면 대회가 완전히 두 나라의 전국체전이 되어버린다. 이에 호주와 뉴질랜드는 계속해서 윗동네 아시안 게임에 적극 참여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다른의견으로는 아예 팬아메리칸 게임처럼 아시안 게임과 퍼시픽 게임을 합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