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켓몬 스타디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양에서 발매된 포켓몬 스타디움 시리즈의 첫번째 작품에 대한 내용은 포켓몬 스타디움 2 문서
포켓몬 스타디움 2번 문단을
포켓몬 스타디움 2#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포켓몬 스타디움
ポケモンスタジアム
파일: 빈 가로 이미지.svg
제작파일:포켓몬 로고.svg
HAL 연구소
크리쳐스
유통파일:닌텐도 로고.svg
플랫폼파일:NINTENDO 64 로고_좌우.svg
장르-
발매파일:일본 국기.svg 1998년 8월 1일
판매량-
#

1. 개요
2. 모드
3. 시스템
4. 평가
5. 기타



1. 개요[편집]


닌텐도 64로 발매된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외전작이자 포켓몬 스타디움 시리즈의 첫번째 작품.

최초의 콘솔용 배틀 시뮬레이션 + 포켓몬 보관 + 콘솔 환경에서 포켓몬을 돌릴 수 있는 툴. GB용 포켓몬 1세대 게임 팩을 연결해서 닌텐도 64(N64) 콘솔에서 포켓몬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본가 시리즈에서 잡은 포켓몬을 이 게임에 불러와서 도감에서 3D 디자인을 보거나, 잡았던 포켓몬을 옮겨와서 박스로 관리하고, 키웠던 포켓몬을 옮겨서 좀더 화려하고 좋은 환경에서 대전을 즐길 수 있다는 콘셉트이었다.


2. 모드[편집]




3. 시스템[편집]




4. 평가[편집]


최초의 포켓몬 스타디움 시리즈임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부분으로 인해 평가는 좋지 않은 편이다. 좋게 쳐줘도 이후 작품을 위한 프로토 타입이란 평가가 전부.

우선 151마리의 포켓몬중에서 등장 포켓몬은 전부 40마리[1]뿐이었다. 이는 포켓몬 리그에 등장했던 포켓몬을 중심으로 거기에 없는 포켓몬을 더한 결과물인데 그렇다보니 대부분은 최종진화형 포켓몬처럼 실전에서 정말로 쓰일만한 포켓몬들에 버터플은 안 되는데 독침붕은 된다거나 라이츄는 못 쓰는데 피카츄는 쓸 수 있는 등 뭔가 이상한 점도 있었다.

GB용 소프트가 없어도 일단 렌탈 포켓몬들을 가지고 놀 수 있긴 하지만 한계가 있고, 진화 전의 포켓몬에게는 고위력의 기술들이 있지만 진화 후의 포켓몬은 위력이 낮은 기술만 가지고 있는 등 괴랄한 육성상태에 좌절하게 된다. 다양한 포켓몬을 쓰게 하려는 나름의 밸런싱인듯 하지만 이는 포켓몬 스타디움 시리즈 전반에서 나타나는 단점.


5. 기타[편집]


  • 현재에 와서 특별히 기록할 만한 점은 포켓몬 1세대를 N64에서 할 수 있다는 점과[2][3], 파도타기를 자기가 기른 피카츄에게 가르칠 수 있는 유일한 게임이라는 점이다.

  • 이 시리즈는 닌텐도HAL 연구소, 크리쳐스가 공동 개발한 작품인데 닌텐도 EAD(정보개발본부)[4] 쪽이 주가 돼서 제작했다. 포켓몬 박스 루비&사파이어와 더불어서 포켓몬스터이 나온지 25년이 다 되가는 현재까지도 (알려진 게임 중에서는) 닌텐도 정보개발본부가 제작한 유일한 포켓몬 게임 시리즈다. 미야모토 시게루, 이와타 사토루, 이시하라 츠네카즈, 미키 켄지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 1편임에도 반쪽짜리 게임성으로 발매된 이유로 추정되는 부분은 원래 이 게임이 64DD로 개발중이었는데 64DD 발매의 연기와 카트리지 용량의 한계 등으로 컷 되었다는 설과 64DD로 확장팩을 발매할 예정이었는데 이것 역시 무산되었다고 하는 설이다. 실제로 64DD를 셋트하면 관련 경고문이 나오는 등 64DD용으로 개발되었다는 흔적이 나온다. 사실 1도 128Mb로 결코 적은 용량은 아니지만 이후 256Mb로 용량을 늘려 1세대의 151마리의 포켓몬을 모두 사용 할 수 있는 '포켓몬 스타디움 2'가 나온다. 1은 일본에서만 발매되었으며 해외에서는 '포켓몬 스타디움 2'가 '포켓몬 스타디움(1)'으로, '포켓몬 스타디움 금은'이 '포켓몬 스타디움 2'로 발매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2 01:23:07에 나무위키 포켓몬 스타디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포켓몬스터/대전/1세대의 '닌텐도 컵 98' 항목 참고. 항목의 33마리 외의 레벨 제한으로 빠진 7마리는 이상해꽃, 리자몽, 거북왕, 썬더, 파이어, 프리져, 망나뇽.[2] 그 전에 나왔던 콘솔인 슈퍼 패미컴에서는 슈퍼 게임보이를 이용해서 게임보이 게임을 TV에서 플레이 가능했는데 N64에서는 이러한 주변기기가 발매되지 않았다.(게임보이 혹은 GBA를 지원하는 Wide-Boy 64 시리즈가 있었으나, 게임개발 및 스크린샷 촬영을위한 목적으로 개발자와 언론사에게만 제공되었다) 다음 세대 콘솔인 게임큐브에서는 GBA 휴대용 게임을 돌릴 수 있는 주변기기 게임보이 플레이어가 나온 바 있다.[3] 다만 N64에서 포켓몬 적/녹/청/피카츄 버전을 하기에는 이 게임에 배속 옵션이 없기에 스타디움2나 스타디움 금은이 더 추천된다.[4] 미야모토 시게루가 수장으로 있었던 닌텐도 내부의 소프트웨어 개발 부서로 슈퍼 마리오 시리즈, 젤다의 전설 시리즈, 스타폭스 시리즈, 동물의 숲 시리즈 등 닌텐도의 간판격 타이틀 대부분이 이 부서에서 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