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켓몬스터/인기투표

덤프버전 :


1. 개요
2. 포켓몬 총선거 720
3. Pokémon of The Year 2020
4. Pokémon Day 2021


1. 개요[편집]


포켓몬스터인기투표에 대해 정리하는 문서. 애니메이션 마스코트를 뽑는 인기투표[1]와 같이 이전에도 인기투표가 여러 번 있었다.


2. 포켓몬 총선거 720[편집]


파일:포켓몬 총선거 720.jpg
투표 대상전국도감 1번 ~ 720번
진행 기간2016년 4월 16일 ~ 5월 8일
결과 발표2016년 6월 7일

볼케니온: 기계왕국의 비밀의 개봉을 앞두고 치러진 인기투표. 전국의 포켓몬센터와 극장에서 투표권을 입수해 참여할 수 있었다. 당시 방영 중이던 포켓몬스터 XY&Z의 에이스 포켓몬 개굴닌자가 36235표로 1위를 차지했고, 극장판을 보러온 관객에게 배포되었다. 꼴찌를 한 720위 바오키도 포켓몬센터와 포켓몬스토어에서 배포되었다.

주로 아동층이 투표했기 때문에, 당시 방영 중인 포켓몬스터 XY&Z에 출연한 개굴닌자와 지가르데의 순위가 높았고, 극장판의 주역인 전설의 포켓몬환상의 포켓몬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또, 일본에서 인기가 많은 1세대 포켓몬인 뮤와 리자몽, 이브이가 상위권에 오른 것도 특징. 주로 일본 아동층들이 투표한 것이기 때문에 포켓몬 팬들의 전체적인 선호도와는 차이가 있다. 전체적인 선거 규모도 아래 두 선거와는 차이가 있다.

참고로 투표 시작 전 카운트다운 당시 포켓몬들이 하나씩 늘어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나 지금은 웬만하면 보기가 어렵다.

1위
개굴닌자
2위
아르세우스
3위
4위
피카츄
5위
님피아
6위
게노세크트
7위
레쿠쟈
8위
지가르데
9위
리자몽
10위
메로엣타
11위
뮤츠
12위
이브이
~ 100위까지의 목록



전체 순위 보기


3. Pokémon of The Year 2020[편집]


파일:Pokémon of The Year 2020.jpg
투표 대상전국도감 1번 ~ 890번
진행 기간2020년 2월 5일 ~ 2월 14일
결과 발표2020년 2월 27일

시리즈 발매 24주년이 되는 「Pokémon Day」를 기념하는 인기투표로, 구글에서 「포켓몬 투표」를 검색하면 나오는 투표 기능을 이용해 참가할 수 있었다. 세대별로 한 마리씩 투표가 가능했고 전 세계에서 동시 투표를 받았다. 개굴닌자가 140559표를 받으며 또다시 1위에 당선되었다. 세대별로 한 마리씩 투표하는 시스템 때문에 인기가 상대적으로 균등한 1세대, 2세대, 8세대 포켓몬들이 손해를 봤고, 루카리오나 개굴닌자, 따라큐 같이 세대 내에서 인기가 몰리는 포켓몬들이 수혜를 얻었다.

주로 멋있는 디자인의 포켓몬들과 사기 포켓몬들이 인기투표 상위권을 차지했다.




















세대세대별 TOP 30 포켓몬들의 표 총합전체 30위 내의 세대별 분포
1세대5467775/30
2세대6661843/30
3세대6798196/30
4세대6442095/30
5세대5295594/30
6세대6363773/30
7세대5975314/30
8세대6196694/30

세대별로 뽑았기 때문에 표 자체는 균등한 편이다. 그리고 이러한 투표 방식 때문에 3세대는 상위권 포켓몬들에게 표가 몰리고 5세대는 상위 30개 포켓몬들이 표를 덜 받고 그 몫을 하위권들이 받았을 뿐, 세대별 인기도 차이는 알 수 없다. 또, 6세대 포켓몬은 개굴닌자, 님피아, 킬가르도 세 마리가 무려 25만 표 넘게 받으면서 6세대 포켓몬 표의 대부분을 가져갔다. 또, 지방별 30위를 서로 비교하면 6세대 포켓몬인 개구마르의 표가 가장 적었다. 최상위권 포켓몬과 나머지 포켓몬 간의 격차가 심함을 알 수 있다. 반면, 8세대 포켓몬은 아직 팬층이 본격적으로 생기기 전이라 그런지 각각의 포켓몬들이 비교적 균등하게 표를 나눠가졌다. 이는 인기가 상대적으로 균등한 1세대와 2세대 포켓몬도 마찬가지.


4. Pokémon Day 2021[편집]


파일:Pokémon Day 2021.webp
투표 대상전국도감 1번 ~ 898번
진행 기간2021년 2월 19일 ~ 2월 22일
결과 발표2021년 2월 27일

2020년 총선거와 달리 일본어 트위터로 투표할 수 있었다. 2020년 총선거 방식의 문제점을 수용했는지 이번에는 세대별로 투표하지 않고, 해시태그 '#(투표할 포켓몬 일칭)にきめた'를 게시하는 방식으로 투표했다.[2] 데덴네가 68396표를 얻으며 새롭게 1위를 차지했다. 일본어 트위터로 투표했기 때문에 투표인원이 2020년에 비해 1/6로 줄어들었다. 일본 내의 포켓몬 선호도를 확인하는 선거로 보는 것이 맞을 듯.

주로 귀여운 디자인의 포켓몬들과 밈이 많은 포켓몬들[3]이 인기투표 상위권을 차지했다. 반면 사기 포켓몬들은 상대적으로 부진했다.[4]일본과 해외 간의 포켓몬 선호도 차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

특히, 관동 부문1위와 전체 5위의 순위가 이 모양이 된 이유는 일본판 파맛 첵스 사건코일 1위 사건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세대세대별 TOP 30 포켓몬들의 표 총합전체 30위 내의 세대별 분포
1세대1959155/30
2세대515830/30
3세대1937856/30
4세대1316025/30
5세대2522207/30
6세대1396354/30
7세대794542/30
8세대726051/30

2020년 총선거와는 달리 1세대, 5세대 포켓몬들이 약진했다. 반면 2세대 포켓몬은 TOP 30 안에 한 마리도 못 들고 표도 가장 적게 받았다. 7세대와 8세대 역시 부진한 편. 일본에서는 1,3,5세대 포켓몬의 인기가 많고, 2,7,8세대 포켓몬의 인기가 적다고 볼 수 있다.

6세대 포켓몬은 여기에서도 최상위권 포켓몬과 나머지 포켓몬 간의 격차가 심했다.

[1] 여기에서 피카츄가 1위를 차지하면서 지우의 파트너가 되었다.[2] 'にきめた'는 '로 정했다'라는 뜻.[3] 데덴네, 코일, 플라이곤, 매시붕[4] 일본은 실전에서 인기가 좋은 포켓몬들을 혐오하는 경향이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