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푸껫 국제공항

덤프버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51931 10%, #F4F5F8 10%, #F4F5F8 15%, #2D2A4A 15%, #2D2A4A 85%, #F4F5F8 85%, #F4F5F8 90%, #A51931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태국|[[파일:태국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태국
관련 문서
}}}}}}
<^|1><height=32><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푸껫 국제공항
Phuket International Airport

ท่าอากาศยานภูเก็ต
파일:phuket-intrnational-airport.jpg
IATA: HKT / ICAO: VTSP
개요
국가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주소푸껫주 탈랑군
เลขที่ 222 หมู่6 ตำบลไม้ขาว อำเภอถลาง จังหวัดภูเก็ต
종류민용공항
운영회사태국공항공사
허브 항공사방콕 항공, 녹에어, 타이 에어아시아, 타이항공
개항1976년
활주로
제1활주로09/27 3000m 아스팔트
고도25m (82 ft)
좌표북위 08도 06분 48초
동경 98도 19분 01초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지도


1. 개요
2. 운항 노선
2.1. 국제선 (1터미널)
2.2. 국내선 (2터미널)
3. 사건사고


1. 개요[편집]


태국 푸껫주 탈랑군에 소재한 국제공항.

태국에서는 수완나품 국제공항, 돈므앙 국제공항에 이어 3번째로 규모가 큰 공항이다. 터미널은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터미널에서는 국제선, 제2터미널은 국내선을 운영한다. 전세계적인 휴양지인 푸껫에 위치한 공항답게 이용객 중 관광객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으며, 그로 인해 아시아 노선뿐만 아니라 유럽/러시아/튀르키예/호주[1] 등 다양한 지역의 노선을 운영한다.

국내에서는 대한항공, 진에어에서 푸껫 - 서울(인천)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파일:Thai Airways B747-4D7 HS-TGZ.jpg

그렇게 잘 알려진 것은 아니지만 이 공항도 프린세스 줄리아나 국제공항급의 접근 경로를 가진 공항이다. 활주로 바로 뒤의 Nai Yang 해변의 바로 위를 착륙하는 항공기들이 지나간다. 타이항공이 저렇게 한때 보잉 747을 방콕-푸껫 국내선에 투입했었지만 최근의 항공기 매각으로 인해 더 이상 보기 힘들듯 하다. 대신 러시아 항공사[2]들이 대형기를 많이 보내고 있으며 코로나 사태가 정리되면 로시야 항공이 747을 다시 보낼 듯 하다.[3] 참고로 한국 국적기들은 스케쥴이 새벽이라 저런 광경은 보기 힘들다.


2. 운항 노선[편집]



2.1. 국제선 (1터미널)[편집]


보면 알 수 있듯 중국, 러시아 노선의 비중이 아주 높다. 의외로 일본 직항 노선이 없다.
항공사편명취항지
대한항공KE서울(인천)
진에어LJ서울(인천)
아에로플로트SU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에어아시아AK쿠알라룸푸르, 피낭
아주르 에어KC크라스노야르스크(예밀야노보), 모스크바(도모데도보)
베이징 서우두항공JD싼야
캐세이드래곤항공KA홍콩
중국동방항공MU청두, 항저우, 쿤밍, 난징, 닝보, 타이위안, 시안
중국남방항공CZ창사, 광저우, 난닝, 선전, 우한, 정저우
충칭항공OQ충칭
에델바이스 에어KC취리히
에미레이트 항공EK두바이
에티하드 항공EY아부다비
엘알LY텔아비브
핀에어AY헬싱키
파이어플라이KC피낭
하이난항공HU베이징(서우두), 하이커우, 선전
허베이항공KC스자좡
에바항공BR타이베이(타오위안)
홍콩 익스프레스UO홍콩
제트스타 항공JQ멜버른, 시드니
제트스타 아시아3K싱가포르(창이)
길상항공HO난징, 상하이(푸둥)
쿤밍항공KC쿤밍
럭키에어KC쿤밍, 정저우
마한항공KC테헤란(이맘호메이니)
말레이시아 항공MH쿠알라룸푸르
말린도항공OD쿠알라룸푸르
미얀마 내셔널 항공UB양곤
미얀마 국제항공8M양곤
네오스KC밀라노(말펜사)
뉴 겐 항공KC항저우, 후허하오터, 우시
녹에어DD베이징(서우두), 청두, 난닝, 난퉁
노드 윈드 항공KC이르쿠츠크, 하바롭스크, 크라스노야르스크(예밀야노보), 미네랄니예보디, 노보시비리스크, 상트페테르부르크, 블라디보스토크
오케이 항공KC톈진, 시안, 항저우
페가스 플라이KC블라고베셴스크, 이르쿠츠크, 하바롭스크, 크라스노야르스크(예밀야노보), 노보시비리스크, 야쿠츠크, 예카테린부르크
카타르 항공QR도하
로씨야 항공KC모스크바(브누코보)
로열 플라이트KC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스쿠트 항공TR싱가포르(창이)
산둥항공SC창사, 지난, 칭다오(자오둥), 샤먼
선전항공ZH청두, 광저우, 선전
쓰촨항공3U충칭, 청두
실크에어MI싱가포르(창이)
춘추항공9C청두, 닝보, 상하이(푸둥), 양저우
타이 에어아시아KC홍콩, 쿤밍, 마카오, 씨엠립, 싱가포르(창이), 우한, 자카르타
타이항공TG베이징(서우두), 프랑크푸르트, 홍콩, 코펜하겐, 스톡홀름
타이 라이언 에어KC창사, 청두, 충칭, 항저우, 허페이, 난징, 상하이(푸둥), 톈진, 시안, 정저우
타이 스마일KC광저우, 란저우
텐진항공KC충칭, 톈진
톰슨 항공KC버밍엄, 런던(개트윅), 맨체스터, 코펜하겐, 헬싱키(반타)
터키 항공TK이스탄불
비엣젯항공VJ호치민
샤먼항공MF푸저우, 샤먼


2.2. 국내선 (2터미널)[편집]


항공사편명취항지
방콕 항공KC방콕(수완나품), 치앙마이, 핫야이, 꼬사무이, 파타야
녹에어KC방콕(돈므앙)
뉴 겐 항공KC낫콘라차시마
타이 에어아시아KC방콕(돈므앙), 치앙마이, 콘 카엔, 파타야, 우돈타니
타이항공TG방콕(수완나품)
타이 라이언 에어KC방콕(돈므앙)
타이 스마일KC방콕(수완나품), 치앙마이
타이 비엣젯 에어KC방콕(수완나품), 치앙라이


3. 사건사고[편집]


타이항공이 도입한 A350-900이 수완나품을 출발하여 푸껫에 도착하던 도중 사고를 낸 적이 있다.

지금은 영업정지 수순에 들어간 항공사인 오리엔트 타이 항공의 자회사인 원투고 항공 269편 사고로 89명이 사망한 사고가 일어난 적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6:53:16에 나무위키 푸껫 국제공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유럽 노선 중 일부는 계절편인 경우도 있다.[2] 푸껫은 안탈리아, 몰디브, 후르가다와 더불어 러시아인들에게 인기가 많은 휴양지이다.[3]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제재로 서방제 항공기 부품 수입이 막혀버려 747 투입은 다시 불투명해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