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라피룬(2000년 태풍)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1.1. 진로 경과
2. 기록


1. 개요[편집]




2000년 태풍
제11호 개미제12호 프라피룬 → 제13호 마리아

2000년 제12호 태풍 프라피룬
위성사진파일:TyphoonPrapiroon200008300225Z.jpg
진로도파일:Prapiroon_2000_track.png
활동 기간2000년 8월 27일 3시 ~ 2000년 9월 1일 21시
영향 지역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루손섬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류큐 열도, 규슈, 홋카이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전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남동부[1], 북동부[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전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전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연해주
태풍 등급1등급[JTWC]
10분 등급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대형(직경 1,500 km)
최저 기압965 hPa
최대 풍속1분 평균39 m/s
10분 평균36 m/s
피해사망7명
실종26명
피해총액143억원

2000년 8월 31일~9월 1일 대한민국에 내습한 태풍. 당시 서해안으로 북상했는데, 이는 흑산도에 순간최대풍속 58.3 m/s ( = 209.88 km/h) 라는 매미 이전에 역대급 기록(당시 재산피해 역대 5위)으로 피해를 발생시키고 갔으며 26명의 인명피해가 났었다. 매미의 관측 사상 최고 기록은 60.0 m/s ( = 216 km/h)이다. 덤으로 북한에도 엄청난 피해가 났었다. 이후 대한민국엔 사오마이가 북상하여 영남 지방에 엄청난 피해가 났었다.

8월 27일 오키나와 남쪽 먼 바다에서 발생해, 커브를 그리며 바로 서해안으로 직격하였고, 수도권, 전라남북도 등의 지역을 8월 31일~9월 1일에 직격하면서 강풍 피해를 많이 입혔다. 그리고 2010년 9월 2일에 곤파스, 2012년에 볼라벤, 2019년 9월 6~7일에 링링, 2020년 8월 26~27일의 바비도 이 진로와 비슷하게 갔다.[3] 이후 북한 옹진반도 부근에 상륙해 북한 지역을 관통하고 연해주 부근에서 소멸하였다. 카테고리 1이 전성기라 약한 태풍일 듯한 느낌이 들지만 이 태풍은 특이하게 대한민국 부근에서 전성기를 맞았다. 거기에 빠른 속도를 합쳐, 서해안에 매미 이전 관측사상 최대 풍속이 기록될 수 있었다.

여담으로 이 태풍으로 인해 제주도에서 토네이도가 발생해 관측된 바 있다.


1.1. 진로 경과[편집]


발표 시각1분풍속10분풍속SSHSJMA
8월 24일 9시25kn-TD미발생
8월 24일 15시20knLPA
8월 24일 21시
8월 25일 3시25knTDTD
8월 25일 9시
8월 25일 15시
8월 25일 21시
8월 26일 3시
8월 26일 9시
8월 26일 15시30kn
8월 26일 21시
8월 27일 3시35kn35knTS
8월 27일 9시40kn
8월 27일 15시
8월 27일 21시
8월 28일 3시50kn
8월 28일 9시
8월 28일 15시
8월 28일 21시55kn
8월 29일 3시45kn
8월 29일 9시55kn60kn
8월 29일 15시55kn
8월 29일 21시
8월 30일 3시65knC1
8월 30일 9시70kn60kn
8월 30일 15시75kn65kn
8월 30일 21시70kn
8월 31일 3시
8월 31일 9시70kn
8월 31일 15시
8월 31일 21시65kn60kn
9월 1일 3시45kn55knTS
9월 1일 9시40kn50kn
9월 1일 15시35kn45kn
9월 1일 21시30kn-TD소멸
9월 2일 3시소멸 및 감시 종료

2. 기록[편집]


순간최대풍속(m/s)제주고산 38.8 제주 27.9 서귀포 23.1 성산 19.7
전남흑산도 58.3[4] 완도 31.4 여수 31.1 목포 30.0 광주 29.0 해남 27.8 장흥 26.2 고흥 20.6 순천 14.8
전북군산 23.0 부안 21.6 전주 19.0 남원 18.8 정읍, 장수 18.2 임실 16.6
충남서산 33.6 대전 28.0 부여 19.0 천안 17.6 보령 16.7 금산 15.5
충북청주 20.0 추풍령 19.9 충주 15.8 제천 15.3 보은 14.0
경기인천 32.8[5] 백령도 24.2 서울 22.4 동두천 22.1 수원 22.0 강화 20.0 이천 18.5 양평 14.3
강원 내륙 평지철원 20.0 영월 18.0 춘천 17.7 인제 16.7 홍천 16.4 원주 15.2
강원 동해안/산지대관령 26.0 동해, 태백 20.3 강릉 20.0 속초 19.5
경북 서부안동, 구미 13.6 대구 13.0 영주 12.3 문경 11.8 의성 10.6
경북 동부울릉 26.3 포항 20.2 울진 19.0 영덕 17.0 봉화 13.9 영천 13.3
경남 서부남해 22.1 거창 17.4 통영 17.0 합천 15.5 진주 15.0 산청 11.5
경남 동부부산 23.0 창원 18.1 밀양 16.9 거제 16.4 울산 16.0

비공식 순간풍속 기록(AWS)
전라홍도 40.7 거문도 40.5 고흥도화 37.9
수도권덕적도 40.6 과천관악 36.7

최대풍속(m/s)[6]제주고산 28.9 서귀포 16.1 제주 15.7 성산 14.1
전남흑산도 47.4 여수 26.4 완도 23.0 목포 21.4 해남 19.9 장흥 18.2 광주 16.9 고흥 16.2 순천 10.3
전북부안 15.2 군산 15.0 정읍 13.3 남원 13.1 전주 12.6 장수 11.4 임실 10.8
충청서산 22.5 대전 19.5 보령 15.5 부여 13.2 천안 13.0 추풍령 12.3 청주 11.9 금산 10.9 제천 10.6
경기백령도 19.9 인천 19.2 동두천 14.4 수원 13.3 서울 12.5 강화 11.8 이천 10.7 양평 10.3
강원대관령 18.3 태백 17.2 속초 12.7 동해 12.4 강릉 11.1 홍천 10.8 영월 10.7 철원 10.6 인제 10.0
경북울릉 16.8 포항 12.7 울진 12.1 영덕, 봉화 10.6 영천 10.0
경남부산 15.6 거제, 남해 15.3 통영 13.8 거창 12.7 창원 12.2 밀양 11.7 합천 10.1

강수량(mm)[7]전라해남 99.5 순천 81.0 흑산도 74.7 장흥 69.5 완도 67.1 남원 65.0 고흥 62.5 장수 61.0 임실 60.0 목포 57.4
충청/경기/강원강화 98.0 서산 70.3 철원 61.9 서울 57.9 대관령 51.2 인천 50.8
제주/경상제주 97.7 고산 91.7 산청 89.5 거창 59.5 창원 51.3

전형적인 바람태풍으로, 강수량으로 인한 피해보다는 강한 바람에 의해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 태풍 때문에 인명피해가 발생해 7명이 사망, 26명이 실종하는 인명피해가 나왔다.

[1] 저장성, 푸젠성, 광둥성, 장쑤성, 장시성, 안후이성, 상하이시, 산둥성[2]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JTWC] [JMA] [3] 그 중에서도 링링이 가장 비슷했다. 곤파스, 볼라벤은 오키나와를 직접 강타했고, 링링은 오키나와 왼쪽을 지났다.[4] 당시 태풍에 의한 순간최대풍속 1위를 기록했었으나, 3년 뒤에 발생한 태풍제주도에서 60.0m/s으로 기록하면서 현재는 2위로 떨어졌다.[5] 수도권에서 순간최대풍속 30m/s 이상을 기록한 태풍은 2020년 기준 2000년 태풍 프라피룬, 2010년 태풍 곤파스, 2019년 태풍 링링으로 세 개에 불과하다. 태풍이 곧바로 한반도 서해상으로 직격하는 경우가 굉장히 드문 편이고 그것도 서해상에서, 다른 곳도 아니고 수도권 최근접 당시 1등급 이상을 유지한 태풍은 더더욱 드물다. 게다가 전성기가 1등급이니 서해상에서 전성기를 맞았다.[6] 10분 평균 풍속[7] 8월 30일~9월 1일 누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