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리토리아

덤프버전 :

아프리카의 국가별 수도
[ 펼치기 · 접기 ]

북아프리카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트리폴리 깃발.png 트리폴리파일:라바트 깃발.png 라바트파일:튀니스 깃발.png 튀니스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하르툼 문장.png 하르툼파일:알제 문장.png 알제파일:카이로 깃발.svg 카이로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서사하라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Seal_of_Tifarti.svg.png 티파리티파일:mr-nou.gif 누악쇼트
동아프리카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아스마라지부티모가디슈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주바아디스아바바캄팔라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나이로비키갈리기테가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도도마릴롱궤마푸투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빅토리아포트루이스모로니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안타나나리보하르게이사
서아프리카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프라이아아부자바마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와가두구니아메반줄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다카르비사우코나크리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프리타운몬로비아야무수크로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아크라 깃발.svg 아크라로메포르토노보
중앙아프리카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야운데은자메나방기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Bandeira_São_Tomé.png 상투메말라보리브르빌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브라자빌파일:킨샤사 휘장.png 킨샤사루안다
남아프리카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빈트훅 가보로네파일:하라레 깃발.png 하라레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루사카파일:프리토리아 깃발.png 프리토리아
행정

파일:케이프타운 깃발.png 케이프타운
입법

블룸폰테인
사법
마세루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로밤바
왕정·입법

파일:음바바네 상징.jpg 음바바네
행정
아메리카의 수도 | 아시아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유럽의 수도



프리토리아
Pretoria
파일:프리토리아 깃발.png파일:프리토리아 문장.jpg
깃발문장
||
국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하우텡 주
면적687㎢
인구741,651명 (2011년)
2,921,488명(광역권)
인구밀도1100명/㎢
시장랜달 윌리엄스


1. 개요
2. 역사
3. 지리
4. 기후
5. 주민
6. 교통
7. 교육
8. 자매 결연 도시
9. 여담




1. 개요[편집]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행정 수도이며[1] 남아프리카 연방 성립 전 트란스발 공화국의 수도이기도 했다.[2] 1994년 이전에는 트란스발주의 주도였다.

남아공 최대 도시인 요하네스버그와는 50km 가량 떨어져 남아공 내 최대 도시화 지역인 하우텡(Gauteng) 주 / 수도권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미국으로 치면 요하네스버그는 뉴욕시, 프리토리아는 워싱턴 D.C., 케이프타운은 LA 같은 포지션.


2. 역사[편집]


프리토리아는 1855년 보어인 마르티뉘스 프레토리위스(Marthinus Pretorius)에 의해 건설되었는데, 영국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여 보어인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맡았던 마르티누스의 아버지 안드리어스 프레토리위스(Andries Pretorius)의 이름을 따서 도시 이름이 지어졌다.

1881년 제1차 보어 전쟁을 끝맺는 프리토리아 협약이 이곳에서 체결되었다. 이후 1902년 제2차 보어 전쟁을 끝맺는 베레니징 조약도 이곳에 체결되었다.

1910년 새로 탄생한 남아프리카 연방의 행정 수도가 되었으며 1961년 공화제 전환 이후에도 행정 수도 지위를 유지하여 현재에 이른다.

2005년, 프리토리아 시의회에서 도시 이름을 '츠와네(Tshwane)'로 개명을 결의하여 공표하였으나, 보어인들의 격렬한 반대로 좌절되는 대신, 프리토리아를 포함하는 메트로폴리탄 도시권의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츠와네는 도시 가운데를 흐르는 아피어스 강(Apies)의 츠와나어 명칭이다.


3. 지리[편집]


해발 약 1,339m의 고도에 있으며 마갈리즈베르그(Magaliesberg} 산맥에 둘러싸여있다.


4. 기후[편집]


기후는 Cwa지만 한국과 달리 여름에도 일교차가 크다.(1월 평균 최저 15.7℃/최고 28.4℃)[3] 고지대에 위치한지라 겨울이 생각보다 쌀쌀하다. 시내 가로수 8만여 주(株)를 자카란다 나무(세번째 사진)로 심어놔 봄[4]이면 자카란다 꽃이 만개하면서 보라빛으로 물들어 장관을 연출한다. 11월에 우기가 되면 비와 함께 꽃이 떨어져 장엄한 최후를 맞는다고.#


5. 주민[편집]


주요 언어로는 아프리칸스어, 영어 등이 있다.

2011년 기준 백인이 52.5%, 흑인이 42%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백인이 많은 도시이자 보어인의 중심지인 만큼 백인비율이 다른 남아공의 도시들보다 훨신 높다.


6. 교통[편집]


요하네스버그와 프리토리아 사이에 전철이 놓여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은 돈 없는 사람들이나 이용하고, 돈있는 사람들은 자가용이나 광역급행철도인 하우트레인을 이용하는 편이다.


7. 교육[편집]


프리토리아의 주요 대학으로는 1873년 설립되어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대학인 남아프리카 대학교[5], 1908년 설립되어 남아프리카에서 유일한 수의학 학부가 있으며 북미 이외의 지역에서 최초로 MBA프로그램을 시작한 프리토리아 대학교, 세 개의 테크니콘이 합쳐져 탄생한 츠와네 공과대학교가 있다.


8. 자매 결연 도시[편집]




9. 여담[편집]


요하네스버그, 케이프타운에 비해 인지도가 낮다. 물론 블룸폰테인에 비할 바는 아니다. 애초에 프리토리아 자체가 남아공 역사에선 아프리카너들의 본진이자 수도같은 곳이라 한국인 비롯한 다른 외국인들은 자연스럽게 이민이나 유학가도 영아권 남아공 문화에 크게 노출되지 아프리카너권 문화는 여전히 거리가 머니 덜 알려진듯 하다.

1945년 남아프리카 연방 의회에 의해 설립되어 현재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연구개발기관으로 전체 아프리카 연구개발 예산의 약 10%를 차지하는 과학 및 산업 연구 위원회(CSIR)가 이곳에 있다.

기업인 일론 머스크가 이곳 출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12:53:56에 나무위키 프리토리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아공은 수도가 행정(프리토리아), 사법(블룸폰테인), 입법(케이프타운)이 각각 나뉘어져 있다. 대한민국으로 치면 청와대, 대법원, 국회의사당이 각각 다른 도시에 있는 격.[2] 케이프타운은 케이프 식민지, 블룸폰테인은 오라녜 자유국의 수도였다.[3] 사실 남아공에서 가장 푹푹 찌는 동네는 더반(Durban)이다.[4] 남반구는 계절이 반대여서 9~11월을 의미한다. 원산지는 중남미지만 19세기 초에 도입되었다.[5] 과거에는 희망봉 대학교라고 불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