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시모토 켄토

덤프버전 :


하시모토 켄토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J1리그 엠블럼.svg

파일:p158031_t2894_2022_0_003_000.png
FC 로스토프 No. -
하시모토 켄토
橋本拳人 | Kento Hashimoto
출생1993년 8월 16일 (30세)
도쿄도 이타바시구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신체183cm, 72kg
포지션수비형 미드필더
유소년FC 도쿄 (2006~2011)
소속 구단FC 도쿄 (2012~2020)
로아소 구마모토 (2013~2014 / 임대)
J리그 U-22 (2014~2015 / 임대)
FC 로스토프 (2020~2023)
비셀 고베 (2022 / 임대)
SD 우에스카 (2022~2023/ 임대)
SD 우에스카 (2023~)
국가 대표1경기 (일본 U-19 / 2012)
1경기 (일본 U-23 / 2016)
15경기 1골 (일본 / 2019~ )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수상
4.1. 대회 기록
4.2. 개인 수상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의 축구 선수. 소속 구단은 SD 우에스카.


2. 클럽 경력[편집]


5살에 축구를 시작한 하시모토 켄토는 형의 영향으로 FC 도쿄 아카데미에 입학하였다. 이후 FC 도쿄 U-18에서 핵심선수로 활약하였다. 2011년에는 1군팀의 훈련에도 참가하기 시작하였다.

2.1. FC 도쿄[편집]


2012년에 공식 1군 선수로 승격된 이후에 여러 경기에서 벤치멤버에 포함되었으나, 경기에 뛰지는 못하였다. 2013년에는 안정된 플레이와 패스를 할 수 있도록 주로 센터백으로 연습을 거듭하고 평가를 높이고 있었다.

2.1.1. 로아소 구마모토 (임대)[편집]


이후 5월에는 출전기회를 모색하기 우해 로아소 구마모토로 임대 이적하였다. 5월 3일 J2리그 미토와의 경기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선발 출장하여 인상적인 활약으로 팀에 녹아들었고, 팀이 3백을 기용할 때는 센터백으로 기용되기도 하였다. 이후에 시존 종료시까지 임대를 연장하였고, 10월에는 중국 톈진에서 개최되는 동아시아 대회에 일본 U-20 대표에도 참가하였으나, 부상으로 낙마하였다. 11월 초에는 무릎 반월판 쪽에 수술을 받았다. 이후 2014년에도 구마모토에서 임대생활을 계속하였으며 J2리그에서 가장 많은 태클 수를 기록하였다.

2.1.2. 임대 복귀 후[편집]


2015 년부터 FC 도쿄에 복귀했다. 15 라운드 마츠모토와의 경기에서 J1 리그 첫 선발로 첫 출전을 기록해 첫 슛이 첫 득점이 되는 진기록을 만들어내면서 첫 출전 경기에서 첫 승리를 장식했다. 단단한 수비로 승리를 지키는 역할도 있었지만, 공격적인 본능도 있어서 공격적인 역할도 부여받았다.

이후에도 부상자가 속출하는 FC 도쿄에서 오른쪽 풀백을 포함하여 어느 포지션에서든 뛰면서 팀을 구원해냈다.

2017년 4월 1일 사간도스 전에서 시즌 첫 골을 기록했다. 7월 8일, 18라운드 가시마 앤틀러스 전에서 2득점을 기록하며 연패행진을 끊어내는데 기여했다.

2018년 이시카와 나오히로가 입고 있던 18번을 착용하였다. 5월 5일, 13라운드 가와사키 프론탈레 전에서 선제골을 기록하였고, 이 클럽의 J1 리그 통산 800번째 골이 되었다.

2019년 4월 6일 6라운드 시미즈 전에서 J1 통산 100 경기를 달성했다. 같은 해 처음으로 J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된다.

2.2. FC 로스토프[편집]


2020년 7월 9일, 80만 유로의 이적료로 FC 로스토프로 이적한다. 계약기간은 4년.

2020년 8월 8일, FC 탐보프를 상대로 후반 막판에 교체출전하며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데뷔전을 치른다. 8월 23일에는 우파를 상대로 헤딩골을 넣으면서 데뷔골로 팀의 1대0 승리를 이끌었다. 3일 후 우랄 전에서도 득점에 성공하며 팀의 1대0 승리를 이끈다. 9월 27일 아르세날 툴라와의 경기에서도 혼자 2득점에 성공하였고 팀은 3대2로 승리하였다. 10월 18일 아흐마트 그로즈니를 상대로 득점에 성공하였고, 팀은 3대0으로 승리하였다.

성공적인 전반기를 보냈지만, 어째서인지 후반기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선수명단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로만 에레멘코와 다비드 토셰프스키가 팀을 떠나면서 다시 등록되었다.

2.2.1. 비셀 고베 (임대)[편집]


로스토프와 계약을 중단한 후 비셀 고베로 임대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2022년 6월 30일까지.

2.2.2. SD 우에스카 (임대)[편집]


2022년 7월 18일, 우에스카로 임대 이적했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2019년 3월 16일, 볼리비아를 상대로 선발 출전하며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른다.


4. 수상[편집]



4.1. 대회 기록[편집]





4.2. 개인 수상[편집]


  • J1리그 베스트 일레븐: 2019
  • J리그 우수선수상: 2019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SD 우에스카 2023-24 시즌 스쿼드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비고
1파일:스페인 국기.svgGK알바로 페르난데스Alvaro Fernandez1998.04.26 (26세)186cm, 75kg
3파일:스페인 국기.svgDF이반 마르토스Ivan Martis1997.05.15 (27세)182cm, 68kg
4파일:스페인 국기.svgDF루벤 풀리도Rubén Pulido2000.09.02 (23세)184cm, 82kg
5파일:스페인 국기.svgDF미겔 루레이로Miguel Loureiro1996.11.21 (27세)180cm, kg
6파일:스페인 국기.svgMF하비 미에어Javi Mier1999.02.04 (25세)176cm, kg
7파일:스페인 국기.svgFW제라드 발렌틴Gerard Valentin1993.07.28 (30세)177cm, 75kg
8파일:카메룬 국기.svgFW패트릭 소코Patrick Soko1997.10.31 (26세)176cm, kg
9파일:스페인 국기.svgFW우고 바예호Hugo Vallejo2000.02.15 (24세)185cm, 80kg
10파일:일본 국기.svgMF하시모토 켄토Kento Hashimoto1993.08.16 (30세)183cm, 72kg
11파일:스페인 국기.svgMF호아킨 무뇨스Joaquín Muñoz1999.03.10 (25세)172cm, kg
12파일:스페인 국기.svgDF후안호 니에토Juanjo Nieto1994.10.03 (29세)174cm, kg
13파일:스페인 국기.svgGK후안 페레스Juan Pérez1996.07.15 (27세)191cm, kg
14파일:스페인 국기.svgDF호르헤 풀리도Jorge Pulido1991.04.08 (33세)184cm, 72kg주장
15파일:프랑스 국기.svgDF제레미 블라스코Jérémy Blasco1999.02.12 (25세)185cm, 79kg
16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FW호반니 볼리바르Jovanny Bolívar2001.12.16 (22세)175cm, 71kg
17파일:프랑스 국기.svgMF엔조 롬바르도Enzo Lombardo1997.04.16 (27세)174cm, kg
18파일:스페인 국기.svgFW라파 트레사코Rafa Tresaco2000.08.24 (23세)175cm, 71kg
19파일:감비아 국기.svgFW아부 칸테Abou Kanté1994.08.11 (29세)184cm, 77kg
20파일:스페인 국기.svgDF이그나시 발라라사Ignasi Vilarrasa1999.08.23 (24세)183cm, kg
21파일:스페인 국기.svgMF마르크 마테우Marc Mateu1990.06.16 (33세)180cm, kg
22파일:스페인 국기.svgMF이케르 코르타하레나Iker Kortajarena2000.06.21 (23세)182cm, kg
23파일:스페인 국기.svgMF오스카르 시엘바Oscar Sielva1991.06.08 (32세)178cm, 78kg
24파일:가나 국기.svgFW사무엘 오벵Samuel Obeng1997.05.15 (27세)183cm, 74kg
26파일:적도 기니 국기.svgMF알렉스 발보아Alex Balboa2001.03.06 (23세)cm, kg
구단 정보
구단주: 아구스틴 라사오사 / 감독: 안토니오 이달고 / 홈 구장: 에스타디오 엘 알코라스
출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6월 28일
[각주]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마에카와 다이야
(Daiya Maekawa)
1994년 9월 8일 (29세)10파일:일본 국기.svg 비셀 고베
스즈키 자이온
(Zion Suzuki)
2002년 8월 21일 (21세)30파일:벨기에 국기.svg 신트트라위던 VV
노자와 타이시 브랜든
(Taishi Brandon Nozawa)
2002년 12월 25일 (21세)00파일:일본 국기.svg FC 도쿄
DF타니구치 쇼고
(Shogo Taniguchi)
1991년 7월 15일 (32세)241파일:카타르 국기.svg 알 라이얀 SC
이타쿠라 코
(Ko Itakura)
1997년 1월 27일 (27세)221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모리시타 료야
(Ryoya Morishita)
1997년 4월 11일 (27세)10파일:일본 국기.svg 나고야 그램퍼스
마치다 코키
(Koki Machida)
1997년 8월 25일 (26세)50파일:벨기에 국기.svg 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마이쿠마 세이야
(Seiya Maikuma)
1997년 10월 16일 (26세)30파일:일본 국기.svg 세레소 오사카
이토 히로키
(Hiroki Ito)
1999년 5월 12일 (25세)131파일:독일 국기.svg VfB 슈투트가르트
스가와라 유키나리
(Yukinari Sugawara)
2000년 6월 28일 (23세)8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Z 알크마르
미우라 소타
(Sota Miura)
2000년 9월 7일 (23세)00파일:일본 국기.svg 방포레 고후
후지이 하루야
(Haruya Fujii)
2000년 12월 26일 (23세)00파일:일본 국기.svg 나고야 그램퍼스
MF/FW이토 준야
(Junya Ito)
1993년 3월 9일 (31세)5013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드 랭스
아사노 타쿠마
(Takuma Asano)
1994년 11월 10일 (29세)489파일:독일 국기.svg VfL 보훔
미나미노 타쿠미
(Takumi Minamino)
1995년 1월 16일 (29세)5117파일:모나코 국기.svg AS 모나코 FC
이토 료타로
(Ryotaro Ito)
1998년 2월 6일 (26세)00파일:벨기에 국기.svg 신트트라위던 VV
도안 리츠
(Ritsu Dōan)
1998년 6월 16일 (25세)417파일:독일 국기.svg SC 프라이부르크
우에다 아야세
(Ayase Ueda)
1998년 8월 28일 (25세)197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다나카 아오
(Ao Tanaka)
1998년 9월 10일 (25세)246파일:독일 국기.svg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오쿠누키 칸지
(Kanji Okunuki)
1999년 8월 11일 (24세)00파일:독일 국기.svg 1. FC 뉘른베르크
카와무라 타쿠무
(Takumu Kawamura)
1999년 8월 28일 (24세)00파일:일본 국기.svg 산프레체 히로시마
나카무라 케이토
(Keito Nakamura)
2000년 7월 28일 (23세)44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드 랭스
사노 카이슈
(Kaishu Sano)
2000년 12월 30일 (23세)10파일:일본 국기.svg 가시마 앤틀러스
호소야 마오
(Mao Hosoya)
2001년 9월 7일 (22세)21파일:일본 국기.svg 가시와 레이솔
일정친선경기2024년 1월 1일(월)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출처: 일본축구협회 공식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2월 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