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 (2015, 2016)
学戦都市{{{#!html <span style="text-shadow: 0 -.5px 0 #83c559, .5px 0 #83c559, 0 .5px #83c559, -.5px 0 #83c559, -.5px -.5px #83c559, .5px -.5px #83c559, .5px .5px #83c559, -.5px .5px #83c559, 0 0 2px #83c559, 0 0 6px #83c559">アスタリスク}}}
파일:external/41.media.tumblr.com/tumblr_o39kwjdUU31umt03ao3_r1_1280.jpg
파트 2 키 비주얼 ▼
파일:external/36.media.tumblr.com/tumblr_o50h7azjEk1umt03ao1_1280.jpg
작품 정보 ▼

장르판타지, SF, 이능력 배틀
원작미야자키 유(三屋咲ゆう)
캐릭터 원안okiura
총감독오노 마나부
감독세토 켄지
캐릭터 디자인카와카미 테츠야
세트 디자인모리오카 켄이치(森岡賢一)
프롭 디자인미마타 히로시(三股浩史)
메카닉 디자인니시오카 시노부(西岡 忍)
액션 설계토쿠다 히로타카
미술 감독와타나베 유키히로(渡辺幸浩)
미술 설정나메가타 토시하루(行方利晴)
오오히라 츠카사(大平 司)
색채 설계마츠야마 아이코(松山愛子)
촬영 감독카나니시 코스케(中西康祐)
스기야마 다이키(杉山大樹) (파트 1)
카미죠 토모야(上條智也) (파트 2)
CG 감독쿠도 나오(工藤菜央)
편집고토 마사히로(後藤正浩)
음향 감독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음악라스무스 페이버
음악 제작플라잉 독(フライングドッグ)
치프 프로듀서카시와다 신이치로
야루기 쇼(万木 壮)
제작총괄오치코시 토모노리(落越友則)
카토 준(加藤 淳)
프로듀서우메모토 소이치로(梅本聡一郎)
이케모토 마사히토(池本昌仁)
후타미 요스케(二見鷹介)
이토 쇼세이(伊藤将生)
니시데 마사유키(西出将之)
사토 이사오(佐藤 功)
하야시 요헤이(林 洋平)파트 1
→카나니와 코즈에(金庭こず恵)파트 2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야마다 켄시로(山田賢志郎)
애니메이션 제작A-1 Pictures
제작애스터리스크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2015. 10. 03. ~ 2015. 12. 19.파트 1
2016. 04. 02. ~ 2016. 06. 18.파트 2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애니맥스
(토) 20:30파트 1
(토) 22:30 (파트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맥스 코리아
(토) 23:00 (파트 1)
(일) 23:00파트 2
스트리밍Laftel 파트 1, 파트 2
네이버 시리즈온 파트 1, 파트 2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24화 (분할 2쿨)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4. 음악
4.1. 주제가
4.1.1. 파트 1
4.1.2. 파트 2
4.2. 삽입곡
5. 회차 목록
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6.2. 기타 국가
7. 평가
8. 흥행



1. 개요[편집]


라이트 노벨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2015년 10월부터 4분기 애니메이션과 2016년 2분기분할 2쿨 방영. 파트 1과 파트 2를 합쳐 24화로 끝났다. 총감독은 오노 마나부, 감독은 세토 켄지.

1부는 원작 1권 ~ 3권, 2부는 원작 4권 ~ 6권까지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2. 등장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설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설정@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음악[편집]



4.1. 주제가[편집]



4.1.1. 파트 1[편집]



4.1.1.1. OP[편집]

파트 1 OP
Brand-new world
TV ver.
Full ver.
노래니시자와 시에나
작사
작곡WEST GROUND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영상 디렉션야마시타 토시유키
모션 그래픽스우에다 노조미(上田 希)
마스다 츠바사(増田 翼)
코타니 세이고(小谷聖悟)
연출오오시마 히로유키(大嶋博之)
작화감독카와카미 테츠야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오프닝이 푸른 강철의 아르페지오, 칸코레와 비슷하다고 반응하는 팬들이 있는데 본 오프닝의 작곡가는 해당 작품들의 오프닝을 담당한 West Ground이다. 최근에는 나노 전담 작곡, 편곡에서 벗어나서 플라잉독을 비롯한 빅터에 속해있는 가수들에게 곡을 주는 전속이 된 듯...


4.1.1.2. ED[편집]

파트 1 ED
Waiting for the rain
TV ver.
Full ver.
노래사카모토 마아야
작사라스무스 페이버 [1]
작곡
편곡
스트링 편곡라스무스 페이버
Martin persson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영상 코디네이터칸다 토모타카(神田智隆)
원화나카지마 아츠코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1.2. 파트 2[편집]



4.1.2.1. OP[편집]

파트 2 OP
The Asterisk War
TV ver.
Full ver.
노래니시자와 시에나
작사
작곡WEST GROUND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영상 디렉션야마시타 토시유키
모션 그래픽스우에다 노조미(上田 希)
마스다 츠바사(増田 翼)
코타니 세이고(小谷聖悟)
콘티야마시타 토시유키
세토 켄지
연출세토 켄지
작화감독카와카미 테츠야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5월 27일에 여는 노래인 니시자와 시에나의 'The Asterisk War' 가 발매되었다. 여는 노래 역시 여타 다른 노래들 만큼이나 평이 좋다.


4.1.2.2. ED[편집]

파트 2 ED
愛の詩-words of love-
사랑의 시-words of love-
TV ver.[오류]
Full ver.
노래치스가 하루카[실비아]
작사야마다 토시아키(山田稔明)
작곡라스무스 페이버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영상 디렉션나카니시 코스케(中西康祐)
작화감수카와카미 테츠야
화면설계온센 나카야
원화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월 27일, 치스가 하루카의 '愛の詩 -words of love-' 가 발매되었다.


4.2. 삽입곡[편집]


8화 삽입곡[br]愛の太陽[br]사랑의 태양
TV ver.
Full ver.
노래실비아 류네하임 (CV. 치스가 하루카)
작사이와사토 유호(岩里祐穂)
작곡라스무스 페이버
편곡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19화 삽입곡[br]Lonely Feather
TV ver.
Full ver.
노래실비아 류네하임 (CV. 치스가 하루카)
작사라스무스 페이버
작곡
편곡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월 27일, 치스가 하루카의 '愛の詩 -words of love-' 가 발매되었다. 여기에는 애니에서 배경음으로 삽입되었던 곡인 '사랑의 태양' 도 포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Lonely Feather' 역시 19화에서 실비아가 진면목을 드러내는 장면에서 삽입되었다. 작화와 더불어서 원작 이상의 임팩트를 일으켰다.덤으로 2쿨의 평가와 실비아의 인기를 올려줬고, 그 대신 다른 히로인들의 인기를 떨어뜨렸다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2]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파트 1
#01華焔の魔女
화염의 마녀
나카모토 무네오
(中本宗応)
세토 켄지카와카미 테츠야日/韓:
2015.10.03.

하이라이트
#02セル=ベレスタ
흑로의 마검
이마이즈미 켄이치타케모토 다이스케
(武本大介)
나카시마 리에
(中島里恵)
이시카와 요이치
(石川洋一)
코바야시 토시미츠日/韓:
2015.10.10.

하이라이트
#03二人の休日
두 사람의 휴일
코사야
(こさや)
쿠사야
(くさや)
후쿠시마 토요아키
(福島豊明)
요시다 하지메
(吉田 肇)
타케우치 아키라
(竹内アキラ)
와타나베 케이스케
(渡邊敬介)
日/韓:
2015.10.17.

하이라이트
#04解き放たれし者
해방된 자
오노 마나부토비타 츠요시
(飛田 剛)
이와이 유우키
(岩井優器)
카와카미 테츠야日/韓:
2015.10.24.

하이라이트
#05疾風刃雷
질풍인뢰
키자와 유키토
(木澤行人)
아오야기 류헤이
(青柳隆平)
키타무라 토모유키
(北村友幸)
아사이 아키토
(浅井昭人)
日/韓:
2015.10.31.

하이라이트
#06素顔の少女
맨얼굴의 소녀
무로이 후미에
(室井ふみえ)
이와타 카즈야
(いわたかずや)
카와시마 나오
(川島 尚)
와타나베 마유미
(渡辺真由美)
코바야시 토시미츠日/韓:
2015.11.07.

하이라이트
#07決意と決闘
결의와 결투
오오시마 히로유키
(大嶋博之)
우쿨렐레 젠지로
(ウクレレ善似郎)
하시구치 하야토
(橋口隼人)
카와카미 테츠야日/韓:
2015.11.14.

하이라이트
#08二人の休日②
두 사람의 휴일 2
오노 마나부타카토 사토시
(高藤 聡)
테지마 노리코
(手島典子)
데노 요시노리
(出野義則)
日/韓:
2015.11.21.

하이라이트
#09鳳凰星武祭
봉황성무제
스가와라 유키에
(菅原雪絵)
코지마 마사시
(小島正士)
모리 히로타카하카마타 유지
(袴田裕二)
이토 히데키
(伊藤秀樹)
日/韓:
2015.11.28.

하이라이트
#10吸血暴姫
흡혈폭희
토코로 토모카즈
(ところともかず)
토비타 츠요시아사이 아키토
이와이 유우키
키타무라 토모유키
카와카미 테츠야日/韓:
2015.12.05.

하이라이트
#11力と代償
힘과 대가
오오시마 히로유키아사미 마츠오
(浅見松雄)
미나미 신이치로
키노시타 유미코
(木下由美子)
후쿠시마 토요아키
이토 히데키日/韓:
2015.12.12.

하이라이트
#12グラヴィシーズ
패궤의 혈겸
오노 마나부사가 사토시
(嵯峨 敏)
하리바 유코
(針場裕子)
이시카와 요이치
하시구치 하야토
카와카미 테츠야日/韓:
2015.12.19.

하이라이트
파트 2
#13万有天羅
만유천라
키자와 유키토세토 켄지토쿠다 히로타카키도 타카유키
(木藤貴之)
하리바 유코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6.04.02.
韓: 2016.04.03.

하이라이트
#14悪辣の王
악랄의 왕
오오시마 히로유키토비타 츠요시이시도 노부하루
(石堂伸晴)
하시모토 코헤이
(橋本航平)
오가와 에리
(小川エリ)
이토 히데키
日: 2016.04.09.
韓: 2016.04.10.

하이라이트
#15追憶闘破
추억투파
아오야기 류헤이하시구치 하야토
이시카와 요이치
코바야시 토시미츠日: 2016.04.16.
韓: 2016.04.17.

하이라이트
#16譲れぬ想い
물러설 수 없는 마음
토리이 타카시
오노 마나부
사가 사토시카와사키 레이나
(川崎玲奈)
우쿨렐레 젠지로
토리이 타카시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6.04.23.
韓: 2016.04.24.

하이라이트
#17悪辣の繰り糸
악랄의 덫
이나이 진
(稲井 仁)
토쿠다 히로타카하카마타 유지
소부 유코
(蘇武裕子)
후루즈미 치아키
(古住千秋)
토쿠다 히로타카
[메카]
-日: 2016.04.30.
韓: 2016.05.01.

하이라이트
#18奔走
동분서주
스가와라 유키에후카자와 마나부
(深澤 学)
타케시타 켄이치
(竹下健一)
키도 타카유키
하리바 유코
나가노 미하루
(永野美春)
코바야시 토시미츠日: 2016.05.07.
韓: 2016.05.08.

하이라이트
#19戦律
전율
오오시마 히로유키오노다 타카유키
(小野田貴之)
카와카미 테츠야
이토 히데키
日: 2016.05.14.
韓: 2016.05.15.

하이라이트
#20覇凰決戦
패황결전
아오야기 류헤이이시카와 요이치
하시구치 하야토
하카마타 유지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6.05.21.
韓: 2016.05.22.

하이라이트
#21決着
결판
나카모토 무네오오노 마나부토쿠다 히로타카
오노 마나부
카와사키 레이나
오노다 타카유키
토쿠다 히로타카
카와이시 모모
(川石もも)
日: 2016.05.28.
韓: 2016.05.29.

하이라이트
#22リーゼルタニア
리젤타니아
토비타 츠요시이시도 노부하루
하시모토 코헤이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6.06.04.
韓: 2016.06.05.

하이라이트
#23孤毒の魔女
고독의 마녀
오마타 신이치사가 사토시후루즈미 치아키
소부 유코
우쿨렐레 젠지로
오노다 타카유키
나가노 미하루
코바야시 토시미츠日: 2016.06.11.
韓: 2016.06.12.

하이라이트
#24再会
재회
세토 켄지키도 타카유키
이시카와 요이치
하시구치 하야토
카와사키 레이나
카와카미 테츠야
카와카미 테츠야日: 2016.06.18.
韓: 2016.06.19.

하이라이트


6. 해외 공개[편집]



6.1. 대한민국[편집]


국내 수입은 애니맥스 코리아이고 동시방영만 되었다.[3]. 10월부터 애니맥스에서 1화가 방영됐다. 같은 날 방영하는 낙제기사의 영웅담의 1화와 내용이 거의 동일할 정도로 겹치기 때문에 소소하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4]


6.2. 기타 국가[편집]


2016년 6월 4일. 북미판 BD판도 확정됐는데, 이쪽은 영어더빙까지 해서 발매한다. 배급은 '샬롯'과 '토라도라!', '4월은 너의 거짓말' 등을 배급했던 애니플렉스 USA가 담당한다. #.


7. 평가[편집]


동분기 연출 및 작화에 있어서 상당히 좋은 평을 받고 있다. 분할이라고 해도 파트 2인 점이나 작화나 진행이 괜찮은 점을 보니 꽤나 예산을 쓴 듯. 전개도 나름 깔끔하다는 평. 전투 때나 설명 때, 기술용어가 따로 표시 된다. 다만 아야토가 속박에서 해방되는 뱅크신이 자주 나와 시간벌기를 하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다.

예고편은 클로디아가 전담하고 있었으나 어느 시점에서 사야도 등장하고 있다. 파트 2에서는 알디와 림시도 출연한다. 특이점은 Live 2D를 이용한 모션을 구현해놓았다는 것. 어지간한 공식 애니 중에 거의 최초일지도? 사실 예고편이 예고편이 아니리 거의 개그씬. 대부분 예고가 아니라 다른 이야기만 한다. 클로디아의 아야토 찬양, 서로 싸우다가 예고 이야기는 하지도 못하고 끝난다던가...

파트 1 방영 후의 평가는 미적지근하다. 2010년대 중반의 학원 판타지물 중에서는 놀라울 정도의 고퀄리티와 뛰어난 작화, 수려한 CG로 기대치를 모았지만 이 작품은 수많은 인물들과 떡밥들이 얽혀 후반부에 터지는 작품이기 때문에 전개가 평탄하다는 것이다. 갈등도 딱히 갈등으로 와닿지도 않고 전투신도 고퀄이지만 박진감이 없어서 심심하다는 것이 주된 평. 내용면에서 살펴보면 이리네가 파트 1의 최종보스라는 게 임팩트가 떨어졌는데 오히려 前 서열 1위였던 키린과의 싸움이 인상에 남았다는 시청평도 있었다.

거기다 학전도시는 마지막 화에서 아야토가 온갖 사력을 다하는 장면이 거친 선으로 그려지며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3D를 이용하여 완전히 딴사람이 된 얼굴이 되어 시청자들에게 평이 엇갈리고 있다. 하지만 요즘 나오는 양산형 학원배틀물 중에서 작화 부분은 아주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파트 2 1화가 방영되자, 평가는 대체로 호평이다. 특히 파트 1에는 전투신이 좀 미적지근했다는 평이었는데, 파트 2 1화에서 보여준 전투신은 이 단점을 많이 개선했다는 평가가 많다. 다만 작품 자체가 호불호가 꽤 갈리는 편이라, 파트 2 1화의 평도 상당히 박하게 주는 시청자들도 있다. 별로 발전한 점을 못 느끼겠다던가, 파트 1과 달라진 게 없다던가, 문제점이 뭔지 제대로 찾지 못했다라고 하지만 그래도 보는 사람들은 대부분 파트 1보다 많이 발전했고, 전투신이 좀 별로였다는 단점을 많이 개선했다고 본다.

특히 오프닝은 엄청난 호평이다. 노래도 오프닝 영상도 파트 1 때보다 훨씬 더 좋아졌다는 평. 파트 1 때도 오프닝만큼은 대부분 호평이었는데, 파트 1 오프닝을 훨씬 더 뛰어넘었다는 평. 그래서 파트 2 1화까지해서 작화팀이 갈리고 있다는 소리도 들린다.

엔딩도 나름 평가가 괜찮은데, 히로인들의 사복 복장의디자인에 호평.

액션신이 괜찮아지면서, 대체로 '그래도 파트 2가 파트 1보다는 낫다.' 는 평가를 받고 있다. 파트 1 때는 액션신의 단점을 지적하면서 알디와 림시의 3D 작화도 부자연스럽다는 의견이 있었는데, 파트 2에서는 그 부자연스러움이 훨씬 덜 느껴지면서 액션신도 나름 훌륭하다고.

그리고 파트 2 7화에서 마지막 히로인 실비아의 진면목이 드러나는 A파트에서 '확실히 파트 1보다는 파트 2이 훨씬 낫다.' 는 평가에 종지부를 찍었다. 실비아의 전투신, 능력 및 노래신이 원작 이상이다. 성우 '치스가 하루카' 의 노래가 더해져 마지막으로 나온 히로인의 매력을 정말 잘 살려냈다. 작가도 이 장면에 대한 기대가 컸는데, 기대 이상으로 정말 만족스럽다고.

그런데 그 효과가 좀 지나쳐서, 실비아의 임팩트 덕분에 어느 정도 파트 2의 평가가 오르긴 했는데, 실비아가 나온 장면 바로 다음에 나오는 다른 히로인들의 취급이 조금 안 좋아진 경향이 있다. 이번 실비아의 등장과 그 작화 및 노래에 큰 감명을 받은 시청자가 '실비아와 기타 미만 잡' 이라는 말도 했을 정도. 그리고 마지막 화에서 실비아 데이트편이 안 나오자 절규했다고 한다.

파트 1과 파트 2 전부해서 24화로 끝났다. 다만 파트 2 12화, 즉 마지막화의 끝부분에 사취성무제 편의 중요 장면들[5]과 인물들[6], 그리고 왕룡성무제 편의 라스트 보스로 여겨지는 오펠리아가 나왔다. 그외에도 에르네스타의 뒤에 디르크와 코로나가 보인다던가, 팀 황룡에서는 샤오페이가 실루엣으로만 처리되었고 팀 란슬롯에서는 퍼시벌만 실루엣 처리되는 등 중요 인물들과 앞으로의 내용의 스포를 적절하게 섞어서, 각 장면들의 포인트를 의미있게 잘 표현했다.

원작을 본 사람도, 보지 않은 사람도 공통적인 심정은 '이제 막 재밌어지려고 하는데 아쉽다.' 이다. 특히 클로디아, 실비아의 매력의 포텐셜은 앞으로 전개되는 내용에 있기 때문에 특히나 더 이런 느낌이 강하다.

키린 팬들은 키린의 각성, 사야의 팬들은 사야의 고백, 클로디아 팬들은 클로디아의 진실, 실비아 팬들은 데이트, 아야토는 마지막 봉인이 풀린 후의 무용등의 중요 내용들이 다 이 뒤에 있기 때문에. 거기다 유쾌한 루살카 멤버들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8. 흥행[편집]


BD/DVD 평균 판매량은 2000여장으로 약간 아쉽다. 이렇게 되었기에 2기의 제작은 요원하고 결국 본편이 먼저 끝나버렸다.

내용들은 마지막화 끝부분에 대충 중요한 부분들만 추려서 요약, 정리해서 보여줬기 때문에, 2기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이 꽤 많다. 실제로 끝부분에 마무리한 듯한 느낌으로 끝냈고, 2기 광고나 발표는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 원작 내용이 끝나지 않았고 원작의 인기가 좋다면 후속작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인기도 없는데 완결권까지 떠서 이제는 가망 없다. 외국 사이트에 신빙성 제로인 3기 찌라시가 돌기는 한다.

[1] 스웨덴의 아티스트인데, 일본 애니메이션 주제곡을 재즈풍으로 리메이크를 해서 내놓기도 한다.[오류] '2기'가 아니라 '파트 2' 또는 '2쿨'이 맞다. 애니맥스의 오역으로 보인다.[실비아] 본 작품에서 실비아 류네하임의 성우를 맡고 있다.[2]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메카] [3] 최속 방송국이 애니맥스라서 일본 본사 측에서 판권을 준 것으로 추측.[4] 이로 인해 본작이 낙제기사 짝퉁이라거나, 아류작이라는 등 비난을 받았다. 다만 이는 본작에게 있어 다소 억울한 부분.[5] 실비아와 아야토의 데이트 장면 등.[6] 팀 황룡과 팀 란슬롯 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8:37:17에 나무위키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