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페이시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16
현급행정구
시할구 45, 현급시 9, 50
허페이시
성도
合肥市
수산구
蜀山区
야오하이구
瑶海区
루양구
庐阳区
바오허구
包河区
차오후시
巢湖市
창펑현
长丰县
페이둥현
肥东县
페이시현
肥西县
루장현
庐江县
우후시
芜湖市
주장구
鸠江区
징후구
镜湖区
이장구
弋江区
완즈구
湾沚区
판창구
繁昌区
우웨이시
无为市
난링현
南陵县
벙부시
蚌埠市
벙산구
蚌山区
룽쯔후구
龙子湖区
위후이구
禹会区
화이상구
淮上区
화이위안현
怀远县
우허현
五河县
구전현
固镇县
화이난시
淮南市
톈자안구
田家庵区
다퉁구
大通区
셰자지구
谢家集区
바궁산구
八公山区
판지구
潘集区
서우현
寿县
펑타이현
凤台县
마안산시
马鞍山市
위산구
雨山区
화산구
花山区
보왕구
博望区
당투현
当涂县
한산현
含山县
허현
和县
화이베이시
淮北市
샹산구
相山区
두지구
杜集区
례산구
烈山区
쑤이시현
濉溪县
퉁링시
铜陵市
퉁관구
铜官区
이안구
义安区
자오구
郊区
쭝양현
枞阳县
안칭시
安庆市
다관구
大观区
잉장구
迎江区
이슈구
宜秀区
퉁청시
桐城市
첸산시
潜山市
화이닝현
怀宁县
타이후현
太湖县
쑤쑹현
宿松县
왕장현
望江县
웨시현
岳西县
황산시
黄山市
툰시구
屯溪区
황산구
黄山区
후이저우구
徽州区
서현
歙县
슈닝현
休宁县
이현
黟县
치먼현
祁门县
추저우시
滁州市
랑야구
琅琊区
난차오구
南谯区
톈창시
天长市
밍광시
明光市
라이안현
来安县
취안자오현
全椒县
딩위안현
定远县
펑양현
凤阳县
푸양시
阜阳市
잉저우구
颍州区
잉둥구
颍东区
잉취안구
颍泉区
제서우시
界首市
린취안현
临泉县
타이허현
太和县
푸난현
阜南县
잉상현
颍上县
쑤저우시
宿州市
융차오구
埇桥区
당산현
砀山县
샤오현
萧县
링비현
灵璧县
쓰현
泗县
루안시
六安市
진안구
金安区
위안구
裕安区
예지구
叶集区
훠추현
霍邱县
수청현
舒城县
진자이현
金寨县
훠산현
霍山县
보저우시
亳州市
차오청구
谯城区
궈양현
涡阳县
멍청현
蒙城县
리신현
利辛县
츠저우시
池州市
구이츠구
贵池区
둥즈현
东至县
스타이현
石台县
칭양현
青阳县
쉬안청시
宣城市
쉬안저우구
宣州区
닝궈시
宁国市
광더시
广德市
랑시현
郎溪县
징현
泾县
지시현
绩溪县
징더현
旌德县
부지급행정구 부지급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의 성도
허페이시
合肥(Héféi(Shì | 合肥市(Ho5fei2 shr4
Hefei City
시정부 소재지안후이성 허페이시 수산구 둥류루100호
安徽省合肥市蜀山区东流路100号
지역화둥
면적11,434.25km²
하위 행정구역4구 1현급시 4현
시간대UTC+8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9,369,800명 (2020)
인구밀도820명/km²
HDI0.817 (2016)
서기위아이화(虞爱华)
시장뤄윈펑(罗云峰)
GRDP전체$3,551억 4,300만 (2020)
1인당$28,684 (2020)
상징시화목서, 석류꽃
시목태산목
차량번호皖A
행정구역 약칭
행정구역코드340100
지역전화번호0551
우편번호230000
ISO 3166-2CN-AH-01

홈페이지

파일:Hefei_montage.png
1. 개요
2. 역사
3. 교통
3.1. 철도
3.2. 지하철
3.3. 공항
4. 출신 인물
5. 산업
6. 기타



1. 개요[편집]


중국 안후이성 중부 차오후호(巢湖) 북쪽에 있는 성도(省都). 삼국지의 여느 주요 지역들과 같이 한국인들에겐 한국 한자음인 '합비'로 잘 알려진 곳.

파일:external/www.bestcollegechina.com/the_Hefei_City_Location_in_Map.jpg

성도임에도 현대의 중국에서는 매우 저개발된 지역의 하나이다. 동부 해안지역에서는 가장 가난한 동네다.[1] 중국에서 손꼽는 명문대인 중국과학기술대학 (중국판 KAIST)이 여기에 위치해있다.


2. 역사[편집]


예로부터 중원(中原)과 강남(江南)을 잇는 교통의 요지로서 노주(蘆州)라 불렀으며 합비라는 지명은 한나라 때부터 불렸다.[2] 하지만 본격적으로 성이 제대로 구축된 건 위나라유복양주 자사로 부임한 다음부터. 유복이 아니었으면 합비는 성다운 성도 되지 못했을 것이고, 합비공방도 벌어질 수 없었을 것이다.

삼국지에서는 장강의 항구 중 하나이자 양주-형주 일대의 국경이 되는 요충지 중 하나였고, 그렇기 때문에 손권이 노리고 위가 무슨 일이 있어도 지키려고 했다. 위-진 측면에도 대오공격의 최적의 군사위치였다. 위나라명장 장료가 수천 명의 병사 중 800명의 정예 보병으로 오나라의 10만 대군을 발라버린 합비 공방전을 벌였던 장소로 유명하며, 만총의 제안으로 만든 합비신성도 있다. 장료 사망 이후 손권이 또 쳐들어갔으나 이번에는 만총이 손권을 쳐발라버렸다. 손권을 비롯한 오나라의 후계자들이 오매불망 얻고 싶어했던 곳. 한편 남북조 시대의 남조 국가들은 최약체였던 진(陳)나라조차도 잠시 합비를 소유할 정도로 이 합비 지역을 계속 장악하고 있었으니 그 소망을 이룬 셈? 일부 남조 국가들은 합비를 넘어 후한시대의 청주, 서주 지역까지 차지했지만 북방진출은 쉬운 일이 아니었고 북조의 역량에 점차 밀리게 되었다.

3. 교통[편집]


물가에 비해 택시 요금이 저렴하므로 버스와 함께 시민의 다리 역할을 한다. 택시 대수는 많지만, 통근 시간대는 승차율이 높아서 간단히 잡히지 않는다. 공항·호텔 이외에서는 영어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영문 명칭의 시설에 가는 때는 한자명을 따로 알려 줘야 한다.

드문 사례이지만 허페이(합비)는 성청 소재지임에도 교통이 많이 뒤쳐져 있으며, 철도의 중심지는 120킬로미터 떨어진 벙부시(蚌埠市,방부시)이다. 장기적으로 볼 때 합비는 쇠퇴하고 방부는 뜨는 추세를 면치 못할 것이다.

3.1. 철도[편집]


철도는 징강고속철도와 직결되는 허벙고속철도, 상항고속철도, 허푸고속철도, 화이난철도, 닝시철도, 허주철도등이 경유하고 있다.

3.2. 지하철[편집]


허페이 지하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허페이 지하철을 2012년 착공, 2016년 기준으로 1,2호선이 운영되고 있으며 3,4,5호선이 공사중에 있다.

3.3. 공항[편집]


허페이에는 현재 2개의 공항이 있다.


4. 출신 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분류:허페이시 출신 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산업[편집]


합비는 전통적으로 농업이 기반이었으며 등의 곡물생산과 면화재배가 성행하였다. 그러다 1955년에 사영기업(私營企業)인 상해의 전펑(振豊) 면방직 공장이 옮겨오면서부터 공업도시로 발달하여 알루미늄·고무·플라스틱·화학비료·전기(電機) 등 공업이 일어났으며, 인구도 급격히 늘었다. 시가지는 난페이강(南底河)의 곡류부에 위치하여 해자(垓字)에 둘러싸인 구시가에는 샤오야오진(逍遙津) 공원 등이 있다.


6.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0:01:18에 나무위키 허페이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어디까지나 중국 동부 해안지대가 중국 경제력 상위권이기 때문에 그렇다. 당장 허페이시 1인당 GDP만 봐도 중국에서는 절대 못사는 동네가 아니다. 물론 어느정도 조작이 의심되는게, 2015년 허페이 1인당 GDP는 11,000달러였다. 아무리 성장률이 높아도 5년 만에 2배를 뛰어넘는다는 게 상식적으로는 힘들긴 하다.[2] 처음에는 合淝라고 표기했다가 이후 合肥로 바뀌었다.[3] 우징 아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