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군력/국가별 군함 총합

덤프버전 :

분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해군력

1. 개요
2. GFP 기준 해군력 분석
3. 실제 유효 전력 중심으로 비교
3.1. 대공 교전 능력 중심으로 비교
3.2. 배수량 중심으로 비교
4.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이 항목은 국가별 해군의 총합에 대하여 기술하는 항목이다.

전 세계 해군력은 특히 연안국 등 특수한 지리적 환경을 갖춘 경우에만 획득 가능하며, 더우기 그러한 지리적 특성조차도 주변국의 제한을 받지 않는 대양과 직접 이어진 경우에만 대규모의 강력한 해군력을 획득, 보유, 유지할 정치적 명분을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지리적, 지정학적, 정치적 입지를 고루 갖춘 국가는 전 세계 220여개 국 가운데 40여개 국에 불과하며 이들 국가들이 전 세계 해군력의 98%를 운용하고 있다.


2. GFP 기준 해군력 분석[편집]


터키인들이 중심이 되어 미국의 CIA 팩트북과 미 재무부의 그린북 자료를 가지고 정리한 GFP라는 싸이트의 자료가 하기된 내용의 출처이다.

국가별 군함 단순 총합
순위국가군함 총합
(비전투함 포함)
구축함호위함잠수함
1위중국777504679
2위러시아603151164
3위북한492936
4위미국4909268
5위콜롬비아453411
6위이란398629
7위이집트31698
8위태국2927
9위인도285101317
10위인도네시아28275
11위이탈리아2494128
12위핀란드246
13위대한민국202131721
14위알제리20188
15위멕시코1895
16위미얀마18751
17위프랑스180111110
18위볼리비아173
19위일본1553720
20위터키1491612
21위모로코1216
22위대만1174224
23위그리스1161311
24위방글라데시11272
25위브라질11276
26위필리핀1032
27위파키스탄10089
28위영국8861311
29위폴란드8723
30위카타르86
31위독일80106
32위스페인77112
33위나이지리아751
34위아랍에미리트75
35위덴마크749
36위칠레6984
37위이스라엘655
38위베트남6596
39위카메룬64
40위캐나다64124
41위네덜란드6364
42위스웨덴635
43위노르웨이6246
44위말레이시아61102
45위이라크60
46위페루6075
47위온두라스59
48위앙골라57
49위레바논57
50위시리아56

2021년 현황


3. 실제 유효 전력 중심으로 비교[편집]


기본적으로 영문위키의 척수, 톤수, 무장 스펙 데이터를 참고하여 작성됨.


3.1. 대공 교전 능력 중심으로 비교[편집]


대공 교전 능력 중심으로 비교
순위국가준이지스 이상
수상 전투함
일반 수상 전투함(동시교전능력 제한적)
대공 미사일 사거리
40km 이상
대공 미사일 사거리
20km 이상 ~ 40km 미만
1위미국92
2위중국30352
3위일본14148
4위호주11
5위이탈리아1024
6위프랑스91
7위러시아71~7[1]7
8위인도712
8위영국611
9위싱가포르68
10위대한민국5611
11위스페인56
12위대만416
13위네덜란드42
14위노르웨이4
16위이집트344
17위독일341
18위덴마크32
19위이스라엘2
20위모로코11
21위터키124
22위캐나다12
23위그리스49
24위이란4
25위태국3
26위칠레22
27위폴란드2
28위바레인1
29위페루7
30위포르투갈5
31위브라질5
32위남아프리카공화국4
33위아르헨티나4
34위사우디아라비아3
35위불가리아3
36위뉴질랜드2
37위알제리2
38위벨기에2
39위인도네시아2
40위파키스탄2
41위베네수엘라2
42위나이지리아1
43위멕시코1

2021년 현황, 순위는 단순 금은동 방식, 원양초계함·항공모함 등은 제외


3.2. 배수량 중심으로 비교[편집]


GFP 분류보다는 해상 상태(sea state)[2] 6 혹은 7인, 민간 상선이 항행할 수 있는 최악의 해상 환경(파고 4~6 m/ 파고 6~9 M;유의 파고가 아닌 평균 파고)에서도 해상 무력을 현시할 수 있는 함정 규모인 5,000톤급 이상의 함정을 따로 분류하는 것이 현대 해전이 필요로 하는 전술 장비의 구비 수준과 구사할 수 있는 함정의 전술 능력을 이해하는데 더 편리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수상 전투함 배수량 중심으로 비교
순위국가5,000톤 이상
수상 전투함
3,000톤 이상 ~ 5,000톤 미만
수상 전투함
1,000톤 이상 ~ 3,000톤 미만
수상 전투함
1위미국9223
2위중국393280
3위일본3486
4위러시아14710
5위인도13168
6위이탈리아13324
7위대한민국10187
8위프랑스10612
9위독일746
10위영국61218
11위스페인5615
12위덴마크543
13위대만422
14위네덜란드424
15위노르웨이4
16위호주38
17위이집트362
18위루마니아34
19위칠레17
20위모로코124
21위터키1610
22위그리스14
23위캐나다12
24위파키스탄72
25위브라질62
26위싱가포르6
27위알제리53
28위포르투갈52
29위아르헨티나47
30위멕시코41
31위남아프리카공화국4
32위사우디아라비아38
33위미얀마26
34위폴란드22
35위뉴질랜드2
36위벨기에2
37위에콰도르2
38위태국18
39위바레인1
40위나이지리아1
42위인도네시아17
43위방글라데시11
44위베트남11
45위페루9
46위이란9
47위콜롬비아6
48위이스라엘5
49위말레이시아4
50위북한4
51위불가리아4
52위필리핀3
53위베네수엘라2
54위우루과이1
55위리비아1
56위아제르바이잔1
57위아랍에미리트1

2021년 현황, 순위는 단순 금은동 방식, 원양초계함·항공모함 등은 제외


4.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8:20:03에 나무위키 해군력/국가별 군함 총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스테레구시급 초계함 6척의 9M96 계열 미사일 탑재 여부에 따라 달라짐[2] WMO(세계 기상학기구)가 제안하고 IMO(국제해사기구)가 인정하고 있는 글로벌 스탠다드이다. 해상 상태 분류, 0~9까지 10단계로 구분되어 있으며 황천과는 반대로 숫자가 올라갈수록 해상 기상이 악화된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