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웨이둥

덤프버전 :


허웨이둥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공산당 문장 옐로.svg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펼치기 · 접기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ee1c25> 중국공산당 중앙혁명 군사위원회 부주석
(1937년-1949년)
||
||<width=33%> 주더
(제6ᆞ7기) ||<width=33%> 저우언라이
(제6ᆞ7기) ||<width=33%> 왕자샹
(제6ᆞ7기) ||
|| 류사오치
(제6ᆞ7기) || 펑더화이
(제7기) || ||
||<-3><bgcolor=#ee1c25>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1954년-)
||
|| 린뱌오
(제8ᆞ9기) || 허룽
(제8기) || 녜룽전
(제8ᆞ9ᆞ10ᆞ11ᆞ12기) ||
|| 천이
(제8ᆞ9기) || 류보청
(제8ᆞ9ᆞ10ᆞ11기) || 쉬샹첸
(제8ᆞ9ᆞ10ᆞ11ᆞ12기) ||
|| 예젠잉
(제8ᆞ9ᆞ10ᆞ11ᆞ12기) || 덩샤오핑
(제10ᆞ11기) || 양상쿤
(제12ᆞ13기) ||
|| 자오쯔양
(제13기) || 류화칭
(제13ᆞ14기) || 장첸
(제14기) ||
|| 츠하오톈
(제14ᆞ15기) || 장완녠
(제4ᆞ15기) || 후진타오
(제15ᆞ16기) ||
|| 궈보슝
(제16ᆞ17기) || 차오강촨
(제13기) || 쉬차이허우
(제16ᆞ17기) ||
|| 시진핑
(제17기) || 판창룽
(제18기) || 쉬치량
(제18ᆞ19기) ||
|| 장유샤
(제19ᆞ20기) || 허웨이둥
(제20기) || ||
||<-3><bgcolor=#ee1c25>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파일:중국 공산당 문장 옐로.svg
중국공산당
중앙영도기구
||
[ 펼치기 · 접기 ]

중앙위원회
총서기시진핑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중앙위원회 총서기
중앙군사위 주석
국가주석
시진핑
국무원 총리리창
전국인대 상무위원장자오러지
전국정협 주석왕후닝
겸 중앙서기처 제1서기차이치
겸 중앙기율검사위 서기리시
국무원 상무부총리딩쉐샹
위원딩쉐샹 · 시진핑 · 마싱루이 · 왕이 · 왕후닝 · 인리 · 스타이펑 · 류궈중 · 리시 · 리창 · 리간제 · 리수레이
리훙중 · 허웨이둥 · 허리펑 · 장유샤 · 장궈칭 · 천원칭 · 천지닝 · 천민얼 · 자오러지 · 위안자쥔 · 황쿤밍 · 차이치
중앙위원회 기능부서
중앙판공청 주임차이치중앙조직부장천시
중앙통일전선공작부장스타이펑중앙선전부장리수레이
중앙대외연락부장류젠차오중앙사회공작부장우한성
중앙정법위 서기천원칭
중앙위원회 사무기관
중앙정책연구실 주임장진취안중앙대만공작판공실 주임쑹타오
중앙항오공작판공실 주임샤바오룽
중앙서기처
제1서기차이치
서기스타이펑 · 리간제 · 리수레이 · 천원칭 · 류진궈 · 왕샤오훙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시진핑부주석장유샤 · 허웨이둥
위원장성민 · 먀오화 · 류전리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리시
부서기류진궈 · 장성민 · 샤오페이 · 위훙추 · 푸쿠이 · 쑨신양 · 류쉐신 · 장푸하이
상무위원왕아이원 · 왕훙뤼 · 류진궈 · 류쉐신 · 쉬뤄더 · 쑨신양 · 리시 · 리신란 · 샤오페이·
장성민 ·장푸하이 · 천궈창 · 자오스융 · 허우카이 · 인바이 · 위훙추 · 푸쿠이 · 무훙위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펼치기 · 접기 ]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 군사위원회 부주석
(1945년-1954년)
주더류사오치저우언라이
펑더화이청첸린뱌오
가오강류보청허룽
천이뤄룽환쉬샹첸
녜룽전예젠잉
중화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부주석
(1954년-1975년)
주더
(제1기)
펑더화이
(제1ᆞ2기)
린뱌오
(제1ᆞ2ᆞ3기)
류보청
(제1ᆞ2ᆞ3기)
허룽
(제1ᆞ2ᆞ3기)
천이
(제1ᆞ2ᆞ3기)
덩샤오핑
(제1ᆞ2ᆞ3기)
뤄룽환
(제1ᆞ2기)
쉬샹첸
(제1ᆞ2ᆞ3기)
녜룽전
(제1ᆞ2ᆞ3기)
예젠잉
(제1ᆞ2ᆞ3기)
청첸
(제1ᆞ2ᆞ3기)
장즈중
(제1ᆞ2ᆞ3기)
푸쭤이
(제1ᆞ2ᆞ3기)
룽윈
(제1기)
웨이리황
(제2기)
차이팅카이
(제2ᆞ3기)
뤄루이칭
(제3기)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1983년-)
쉬샹첸
(제6기)
예젠잉
(제6기)
양상쿤
(제6ᆞ7기)
자오쯔양
(제7기)
류화칭
(제8기)
츠하오톈
(제8ᆞ9기)
장완녠
(제8ᆞ9기)
후진타오
(제9ᆞ10기)
궈보슝
(제10ᆞ11기)
차오강촨
(제10기)
쉬차이허우
(제10ᆞ11기)
시진핑
(제11기)
판창룽
(제12기)
쉬치량
(제12ᆞ13기)
장유샤
(제13ᆞ14기)
허웨이둥
(제14기)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5%> 부주석*1
장유샤 ||<width=25%> 부주석*1
허웨이둥 ||||
||<width=25%> 기율검사위원회 비서 겸 중앙군위위원
장성민 || 정치공작부 주임 겸 중앙군위위원
먀오화*2 ||<width=25%> 국방부장 겸 중앙군위위원
리상푸*3 ||<width=25%> 연합참모장 겸 중앙군위위원
류전리 ||
||<-4><bgcolor=#eee,#191919>*1 : 주석은 중국 국가주석으로 군사 계급이 없다.
*2 : 해군상장, 해군정치위원이 되기 전까지 단 한 번도 해군에서 근무해본 경험이 없는 육군 출신이다.
*3 : 전략지원부대 출신이다.
||







파일:허웨이둥둥둥둥.png
1957년 5월생. 중극 푸젠성 난핑현 출신.
1972년 12월 푸젠성 난핑에서 중학교를 졸업한 뒤 징집돼 입대했다.
1981년 육군지휘대학을 졸업하고 2001년 국방과학기술대를 다녔다.
정찰분대 전사부터 시작하여, 육군지휘대학 생도, 정찰참모, 정찰대대 교도관, 정찰처 부처장, 처장, 사단 참모장, 제92차량화보병여단장, 제82차량화보병사단장을 역임했다.
2007년 6월 31집단군 참모장을 지냈다.
2008년 7월 31집단군 부군장으로 소장으로 진급했다.
2013년 1월 난징군구 부참모장으로 승진했다.
2013년 7월, 장쑤성 군구 사령관이 되었다.
2014년 3월, 상하이 경비구 사령관으로 근무했다
2015년 2월 난징군구 정치부 주임으로 승진한 주셩링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상하이시위원회 상무위원 이 되었다.
2016년 5월 서부전구 부사령관 겸 서부전구육군사령관 을 지냈다.
2017년 7월, 중장 으로 진급했다.
2018년 2월 24일,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에 선출되었습니다.
2019년 12월 허웨이둥은 상장으로 진급하여 퇴역하는 류웨준 장군의 후임으로 동부전구 사령관이 되었다. 당시 63세가 가까워 부전구급 은퇴 연령이었다.
2022년 9월 신화일보(新華日報)를 통해 린샹양(林向陽) 장군이 죽은 군인의 기념일에 동부전구사령관 자격으로 참석하여 허웨이둥(卫衛東)이 사임했음을 밝혔다.
2022년 3월, 허웨이둥은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5차 회의에 참석하여 중앙군사위원회 완장을 착용했다. 같은 해 9월 21일 베이징에서 열린 국방 및 군 개혁 세미나에 참석하는 동안 '중앙군사위원회 합동작전지휘센터'가 인쇄된 완장을 착용했는데, 이는 그가 이미 연합지휘센터에 취임했음을 의미한다.
2022년 10월 23일 중국공산당 제20기 1중전회에서 허웨이둥은 제20기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자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이 되었다.